•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Teacher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17초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 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Teacher Recognized Toddler-teacher Relationships Compared with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 정미조;김희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9-112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how infant-teacher relationships perceived by teachers related to observed toddler-teacher and toddler-peer interactions in play. Participants were 57 2-year-old toddlers and their 8 teachers.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s were examined by questionnaire toddler-teacher and toddler-toddler interactions were observed and recorded during play.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Results were : (1) the perceived relationships of toddlers to multiple teachers in the classroom were very similar. (2) The pattern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interactions between toddlers and peers. (3) The more positive the toddler-teacher perceived relationship, the more positive the observed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between children and their peers.

  • PDF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따른 전문성 인식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According to the Infant Class's Teacher Sensitivity and Efficacy of Teaching Play)

  • 정혜진;박재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93-20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ther basic data to make nursery teachers' role clear and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ir expertise by investigating their sensitivity and expertise. To fulfill this aim,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targeting 180 nursery teachers responsible for infant classes in national, public, and private nursery schools. To measure the nursery teachers' sensitivity, Gerber's (2003) teacher sensitivity indicator is used. And to measure the efficacy of teaching play, the indicator, which was developed by E. Shin, Y. Yu and H. Park (2004), was used through modification and complement. Also for measuring the teacher's expertis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ized and modified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H. Yoon's (2010)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show that the teacher group with higher sensitivity in the infant class shows meaningfully higher professional ethics, higher performance, and higher recognition of expertise than the teacher group with lower sensitivity. And the teacher group with higher awareness of the efficacy of play shows higher professional ethics, higher performance, and higher recognition of expertise than the teacher group with lower sensitivity. too. Als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fant teacher's sensitivity, efficacy of teaching play, and recognition of expertise show that the teacher's sensitivity has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total points of social necessity, professional ethics, fairness, teacher's performance, and recognition of expertise. When we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we find that positive sensitivity and higher efficacy of teaching play make the infant class teacher's expertise recognition higher.

영유아-교사 애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1993년-2010년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 on Infant/Child-Teacher Attachment in Korea : 1993-2010)

  • 채진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7-528
    • /
    • 2010
  •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who attend daycare center, preschool or kindergarten and are taken care of by teachers during a day has skyrocke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on infant/child-teacher attachment in Korea. Thirty five studies (5 doctoral dissertations, 24 masters' theses, and 6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93 to 2010 were analyzed in the matter of the publication period, the related variables, and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dat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More than two-thirds of the research were from masters' these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in the late 2000s doubled compared to that in the 1990s. 2) Each study on infant/child-teacher attachment had at least one related variable regarding social, emotional, cognitive or physical development, but not language. The studies on infant/child-teacher attachment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have rapidly increased in the late 2000s. 3)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analyses and Attachment Q-set version 3.0. Difference analysis and relational analysi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many studies. There was only one study which was analysed with the advanced statistical methodology. The implication for a future study was also discussed.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Classes in Childcare Centers: Focus on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 정유정;김진욱
    • 아동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05-218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in Edu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 sensitivity, by classifying their personal psychological, socio-psychological,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Furthermore, it aimed to inquire the extent to which these variables influence teacher sensitiv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236 Educare Center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working in infant-caring facilities. Based 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for each variable. Results: Firstly, according to the correlations regarding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for sensitive interaction, emotional st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colleagues,and parents; mean working hours in other places; and mean daily personal time.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mean daily break time,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colleagues, and parents. Secondly, regarding the influences on teacher sensitivity to infant classes, for 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consisted in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were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emotional stability. Conclusion: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increas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Educare Center teachers will increase their sensitivity level. Furthermore, the quality of care will be improved.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이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 보육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hild Care-Work Ability Program on Efficacy of Child Care, Rol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김현지;한성민;전경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즉 보육시설에서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함으로써 보육효능감, 영아교사의 역할수행, 영아의 요구에 대한 교사민감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정읍시의 44명의 영아담당 보육교사들이다. 이들은 통제집단 22명과 실험집단 22명의 교사로 나뉘어졌다. 교사들은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로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육직무능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교사민감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결국, 보육효능감, 교사역할수행,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 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5-41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

영유아 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Emotional Labor of Infant Teachers Contributed to The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허윤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65-475
    • /
    • 2018
  •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감정 노동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매개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정적 상관관계가 성립됨을 보여 주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있어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성립 되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유아 교사의 직무수행 환경으로 인해 감정노동이 부득이한 상황임을 감안 할 때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교육행정업무 간소화 및 교육정책의 지속적 운영, 교사 권위 향상을 위한 홍보, 급여의 현실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영유아 교사의 근무 환경과 근무 동기를 강화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이직율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 영유아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향후 논의는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어 왔던 양적관점의 표면적 논의와 함께, 영유아 교사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이직의도, 감정노동 전반에 걸친 다양한 경험의 세계를 질적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동반될 필요가 있다.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fant Teachers' Susceptibility, Efficacy,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on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 유지연;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 교사 169명과 이들이 담임하고 있는 영아 중 한 명씩을 선정하게 하여 총 169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용 척도를 통해 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과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 하였다. 영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경력, 영아교사경력, 연령, 어린이집 유형, 학력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 모두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이 동시에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었다. 이들 변인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53%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아교사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높이기 위해 개개인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민감성 수준을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려고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효과검증 및 향후 과제 (A Study of Infant Care Teacher's Training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서소정;오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69-1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시대 사회적인 필요성에 입각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보건복지령에서 정하는 전문기관에서 위탁하여 실시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몇 년간 "영아기의 발달적 특수성, 보살핌과 가르침의 통합성, 영아보육에서의 포괄적 서비스제공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영아전문가과정(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을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내 한 영아전문가 과정의 실제를 소개하고, 본 과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영아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사후 교사효능감과 영아발달지식수준이 사전에 비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영아교사 현직 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정책적, 제도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Enhancing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 김태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21-24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2-3세 유아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매 회 45분, 주 2회씩, 총 10회기의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제공하지 않았다. 유아-교사 친밀관계(Pianta, 2001) 및 어린이집 적응(Jewsuwan, Luster & Kostelnik, 1993) 척도를 사용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맨 휘트니 유 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자료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유아-교사 친밀관계는 동질적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유아-교사 친밀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동질적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어린이집 적응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유아-교사 친밀관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