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김보현 (안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홍재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Received : 2021.08.14
  • Accepted : 2021.10.08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영 (202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및 조직풍토가 보육교사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보현, 구광현, 김화록 (2021).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코딩교육 실행의도 영향 요인. 한국보육학회지. 21(1), 1-16. doi:10.21213/kjcec.2021.21.1.1
  3. 김보현, 최양미, 이홍재 (2018). 영유아교사의 스마트교육 수용 요인: 인지된 조직 지원과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34(4), 217-237. doi:10.14333/KJTE.2018.34.4.217
  4. 김보현, 이홍재 (2019).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과 교수효능감이 스마트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2), 97-119. doi:10.22155/JFECE.26.2.97.119
  5. 김원준, 김은아, 오새경 (2019).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307-337. doi:10.20437/KOAECE24-2-13
  6.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doi:10.14698/jkcce.2014.10.5.175
  7. 김장래 (2018).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효과 분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남지희 (2017). 자기장학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실행 연구: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승렬 (2008).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창현 (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원지영 (2015).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및 교사 학습공동체 경험 유무에 따른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 비교.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381-401. doi:10.24211/tjkte.2015.32.4.381
  13. 유미열 (2011). 지능형 교육용 로봇 아이로비 큐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한국교육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보란 (2019). 기술수용요인이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윤현민 (2010).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민영 (2017). 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우리 (2018). 스마트로봇 알버트를 활용한 코딩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재영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정순영, 김경란 (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1-22. doi:10.21183/kjcm.2017.09.16.3.01
  20. 지윤경 (2013).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수준 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차정미 (2006).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천희영 (2018).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227-248. doi:10.14698/jkcce.2018.14.01.227
  23. 한양수, 김영화 (2008). 초등교사의 교과교육 학습공동체 참여지속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4), 133-154.
  24. 홍나연 (2019). 코딩을 활용한 창의,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26. Bell, T., Witten, I. H., & Fellows, M. R. (2015). CS unplugged: An enrichment and extension programme for primary-aged students. Retrieved March 1, from http://csunplugged.org/wp content/uploads/2015/03/CSUnplugged_OS_2015_v3.1.pdf
  27. Blackwell, C. K., Lauricella, A. R., & Wartella, E. (2014). Factors influencing digital technology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77, 82-90. doi:10.1016/j.compedu.2014.04.013
  28. Earle, R. S. (2002).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into public education: promise an challenges. Educational Technology, 42(1), 5-13.
  29. Fornell, C., & Larcker, D.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116-142.
  30.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New York: Macmillan.
  31. Henderson, I. (1996). Instructional design of interactive multimedia.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4(4), 85-104. https://doi.org/10.1007/BF02299823
  32. Jeong, H. I., & Kim, Y. (2017). The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5(4), 496-512. doi:10.1080/10494820.2016.1143376
  33. Karaca, F., Can, G., & Yildirim, S. (2013). A path model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elementary school settings in Turkey. Computers & Education, 68, 353-365. doi:10.1016/j.compedu.2013.05.017
  34. Kazakoff, E. R., Sullivan, A., & Bers, M. U. (2013).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4), 245-255. doi:10.1007/s10643-012-0554-5
  35. Lamb, M. E., & Ahnert, L. (2006). Nonparental child care: Context, concep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In W. Damon, R. M. Lerner, K. A. Renninger, & I. E. Sie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pp. 950-1016). Hoboken, NJ: Wiley.
  36. Manny-Ikan, E., Dagan, O., Tikochinski, T. B., & Zorman, R. (2011). Using the interactive white board in teaching and learning-An evaluation of the SMART CLASSROOM pilot project.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E-Learning and Learning Objects, 7(1), 249-273. doi:10.28945/1523.
  37. McPake, J., Plowman, L., & Stephen, C. (2013). Preschool children creating and communicat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in the hom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4(3), 421-431. doi:10.1111/j.1467-8535.2012.01323.x
  38. Salov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39. Sergiovanni, T. J., & Strratt, R. J. (2007). Supervision: Aredefinition (8th ed.). New York: McGraw-Hill.
  40. Strawhacker, A., Lee, M., Caine, C., & Bers, M. (2015). ScratchJr demo: A coding language for kindergarte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Boston, MA: USA.
  41.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366(1881). doi:10.1098/rsta.200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