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fant Teachers' Susceptibility, Efficacy,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on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 투고 : 2014.10.15
  • 심사 : 2015.06.09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 어린이집 교사 169명과 이들이 담임하고 있는 영아 중 한 명씩을 선정하게 하여 총 169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용 척도를 통해 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과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 하였다. 영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경력, 영아교사경력, 연령, 어린이집 유형, 학력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 모두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이 동시에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었다. 이들 변인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53%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아교사가 영아의 사회 정서발달을 높이기 위해 개개인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민감성 수준을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려고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efficacy and interaction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9 infants and their teachers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struments were collected through teachers' respons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variance analysis using PASW 18.0 to verify the infant teachers' susceptibility,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based on infant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on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their career as infant teachers displayed differences in th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susceptibility,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s displayed partial differences based on the teaching career, career as infant teachers, age, daycare center type, and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teachers. Secondly,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infant teacher's sensitivity, efficacy and interaction and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irdly, infant teachers' sensitivity, efficacy and infant-teacher interaction had an influence on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Especially, sensitivity and interaction were powerful and influential variables and their explained variance was 53%.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eachers' efforts must be made to interact positively with infants and to increase their sensitivity level to respond to infants in order to increase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현 (1994).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이해와 활용: 유아교사를 위한 핸드북. 서울: 동문사.
  2.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3. 고윤희 (2014). 영아의 기질과 교사 민감성이 영아의 사회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곽현주 (2004).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명선 (2014).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효능감이 유아의 정서, 인성,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7. 김민희 (2010). 영아의 사회 정서적 적응과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 양육행동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선화 (2011). 만2세 영아의 개인적특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숙령 (2010).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10. 김순애 (2014). 영아반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신덕 (1999).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2. 김아영, 차정은 (2003). 교사효능감 및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교육심리연구, 17(2), 25-43.
  13. 김유미 (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영아의 사회.정서 능력 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은순 (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교사교육이 교사효능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영아의 사회.정서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의향, 김명순 (2006).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 몸짓과 어휘습득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217-234.
  16. 김인숙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사회.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정이 (2013). 교사-영아간 애착안정성과 영아교사 민감성 인식의 관계: 경기도 보육기관 영아교사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정희 (2015).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91-20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91
  19. 김현정 (2014). 영아의 의도적 통제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영아의 사회․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김현지 (2008). 영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김호인 (2010).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평정척도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라양균 (2006). 영아의 사회.정서능력과 기질 및 애착 간의 관계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류윤석 (2008).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 수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2, 43-62.
  24. 문태형 (2014).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임파워먼트와 조직효과간의 관계 연구. 아동교육, 23(3), 299-313.
  25. 민광미 (2014). 영아반 교사용 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c청구논문.
  26. 민혜영 (1999).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과 기질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1), 63-88.
  27. 박선화 (2013).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박성연, 서소정, Bornstein (2005).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5-30.
  29. 박유미 (2008). 영아기 발달특성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과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 건국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박유미, 최인숙, 김은아 (2010). 또래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과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2, 33-54.
  31. 배진희 (2013).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영아의 사회.정서행동간의 관계: 교사민감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백경순 (2011).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61-275.
  33. 보건복지부 (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침서: 39인 이하 보육시설. 서울: 보건복지부.
  34. 신혜영, 이은해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35. 신희이 (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영아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안문실 (2013). 영아의 사회․정서적 긍정행동과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양옥승,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력 관련변인간의 관계분석. 교육방법연구, 15(2), 145-161.
  38. 연보라 (2014).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영아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오정윤 (2011). 보육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25-47.
  40. 왕미나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왕유정 (2013). 영아를 위한 음악활동이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이경돈 (2010). 영아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보육효능감이 전문성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이경하, 서소정 (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44. 이기숙, 박경자, 김영옥 (2007). 보육교사의 질적 특성과 유아의 인지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육아정책연구, 1(1), 143-168.
  45.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6. 이선희 (2010). 만 1세반 자유놀이시간에서의 영아-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사의 민감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이윤정 (2013).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통한 영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정서행동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9. 이정애 (2013). 영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영아 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이창은 (2014).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이하나 (2012).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관련 변인 연구: 영아의 발달수준, 기질, 어머니와의 애착 안정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2. 이현숙 (2008). 영아의 개인특성과 기관의 환경 변인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이화용 (2012). 영아의 놀이성과 기질 및 사회정서발달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4. 장사남 (2012).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영아에 대한 애착과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5. 장종윤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정점옥 (2009).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7. 조기선 (2013).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직무스트레스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8. 조해연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과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9. 주정혜 (2012). 아버지 양육참여와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지성애 (2007).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영유아 발달과 시설의 질에 대한 부모의 관점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23-43.
  61. 차승환 (2012). 교사-영아 간의 애착안정성과 영아의 사회.정서행동과의 관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2. 채승희 (2013).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그림책 활용 감각활동 개발 및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3. 천현정 (2010).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4. 최연희 (2014).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변인에 관한 연구: 민감성, 효능감,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5. 하지영, 서소정 (2011).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109-140.
  66. 홍은숙 (201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서 교사의 민감성과 민감성 인식 및 영아의 적응행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7. 홍정아 (2010). 영아의 성별, 월령 및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 영아발달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8. Abbott-Shim, M., & Sibley, A. (1987). Assessment profile early childhood programs. Atlanta, GA: Quality Assist.
  69. Bayley, N. (2006).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3rd ed.). San Antonio, TX: Pearson Education.
  70. Downer, J., Sabol, T. J., & Hamre, B. (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Toward a theory of within-and cross-domain links to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1(5), 699-723. https://doi.org/10.1080/10409289.2010.497453
  71. Enochs, L., & Riggs, I.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72. Gerber, E. B. (2003).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e caregiving in centerbased child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73. Gerber, E. B., Whitebook, M., & Weinstein, R. S. (2006). At the heart of child care: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ity in center-based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327-346. https://doi.org/10.1016/j.ecresq.2006.12.003
  74. Gibson, S., & Brown, M. H. (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75.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9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 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76. Howes, C. (1997). Teacher sensitivity, children's attachment and play with peer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41-49.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4
  77. Howes, C., Matheson, C., & Hamilton, C. (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1), 264-273. https://doi.org/10.2307/1131380
  78. Howes, C., Phillips, D. A., & Whitebook, M. (1992). Thresholds of quality: Implication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3(2), 449-460. https://doi.org/10.2307/1131491
  79. Hoy, W. K., & Miskel, C. G. (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NY: The McGraw-Hill.
  80.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3(1),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81. Peisner-Feinberg, E. S., & Burchinal, M. R. (1997). Relations between preschool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 and concurrent development: The cost, quality and outcomes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43(3), 451-477.
  82. Phillips, D., McCartney, K., & Scarr, S. (1987). Child 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3(4), 537-543. https://doi.org/10.1037/0012-1649.23.4.537
  83. Teti, D., & Gelfand, D.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s: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and Teacher Sensitivity on Their Teacher Efficacy vol.54, pp.4, 2015, https://doi.org/10.15812/ter.54.4.201512.748
  2.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years in field, teacher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vol.36, pp.3,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3.013
  3. 보육교사의 마음챙김이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vol.14, pp.6, 2018,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069
  4.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vol.15,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01
  5. 만 1세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vol.16,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87
  6. The Mediating Effects of Infant Teachers’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Teaching Efficacy and Infants’ Childcare Center Adjustment vol.42, pp.2, 2015, https://doi.org/10.5723/kjcs.2021.42.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