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voltage MOSFET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5초

산화막 및 재산화질화산화막의 MOS 캐패시터와 MOSFET의 신뢰성 (Reliability of MOS Capacitors and MOSFET's with Oxide and Reoxidized-Nitrided-Oxide as Gate Insulators)

  • 노태문;이경수;유병곤;남기수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0A권11호
    • /
    • pp.105-112
    • /
    • 1993
  • Oxide and reoxidized-nitrided-oxide were formed by furnace oxidation and rapid thermal processing (RTP). MOS capacitor and n-MOSFET's with those films as gate insulators were fabricat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insulators were evaluated by current-voltage, high-frequency capacitance-voltage (C-V), and time-dependent dielectrical breakdown (TDDB) measurements. The hot carrier effects of MOSFET's were also investigated. Time-dependent dielectrical breakdown (TDDB)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life time of reoxidized-nitrided-oxide films is about 3 times longer than that of oxides. Hot carrier effects reveal that the life time of MOSFET's with reoxidized-nitrided-oxides is about 3 times longer than that of MOSFET's with oxides.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reliability of dielectric films estimated by the hot carrier effects of MOSFET's is consistent with that of dielectric films from TDDB method.

  • PDF

PLL을 이용한 공진부하 MOSFET 인버어터의 주파수 추종제어계 (Frequency Follow-up Control System of Resonant Load MOSFET Inverter using PLL)

  • Kim, Joon-Hong;Joong-Hwan kim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35권7호
    • /
    • pp.272-277
    • /
    • 1986
  • The system that follows to the resonance frequency of high frequency MOSFET inverter and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load characteristics is proposed. Also we suggested a method how to select the resonant load type between series and parallel circuit for a given inverter type.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n the case of high impedance loads, parallel resonant circuits a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for low impedance loads, series resonant circuits are more preferable. For frequency tracking, a PLL circuit is used as main control element to detect the phase difference of current and voltage of load. The realized apparatus composed of control circuit and voltage type full-bridged MOSFET elements as main parts of inverter. A stable frequency follow-up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for 1.2MHz, 1.5KW high frequency output and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load with unity power factor.

  • PDF

Double Gate MOSFET의 전기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for Double Gate MOSFET)

  • 김근호;김재홍;고석웅;정학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61-263
    • /
    • 2002
  • CMOS 소자들은 고속 동자 및 고집적을 위해 50nm이하로 작아지고 있다. 소자 scaling에서 중요한 것은 스케일 되지 않은 문턱 전압($V^{th}$ ), 고 전계, 기생 소스/드레인 저항과 임의의 dopant 분배에 의한 $V^{th}$ 변화율이다. 이런 일반적인 소자의 scaling down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소자의 구조가 제안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main-gate와 side-gates를 갖는 double-gate MOSFET에 대해 조사하였다.

  • PDF

3.3kV급 저저항 4H-SiC Semi-SJ MOSFET (3.3kV Low Resistance 4H-SiC Semi-SJ MOSFET)

  • 천진희;김광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832-83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소자인 4H-SiC MOSFET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3300V급에서 기존의 DMOSFET 구조보다 개선된 전기적 특성을 갖는 Semi-SuperJunction MOSFET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TCAD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MOSFET과 전기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Semi-SJ MOSFET 구조는 부분적으로 SJ를 도입한 구조로, 2차원의 공핍 효과를 통해 전계 분포가 개선되며, 항복 전압이 증가한다. 항복 전압의 개선을 통해 얻은 이득으로, 높은 농도의 도핑이 가능하기 때문에 온 저항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안한 Semi-SJ MOSFET 구조는 DMOSFET보다 항복 전압이 8% 감소하지만, 온 저항이 80% 감소한다. 또한 DMOSFET 구조를 개선한 Current Spreading Layer(CSL)구조에 비해서도 온 저항이 44% 감소한다.

초고속 동작을 위한 더블 게이트 MOSFET 특성 분석 (Analysis of Double Gate MOSFET characteristics for High speed operation)

  • 정학기;김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63-2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main gate(MG)와 side gate(SG)를 갖는 double gate(DG) MOSFET 구조를 조사하였다. MG가 50nm일 때 최적의 SG 전압은 약 3V임을 알 수 있었고, 각각의 MG에 대한 최적의 SG 길이는 약 70nm임을 알 수 있었다. DG MOSFET는 매우 작은 문턱 전압 roll-off 특성을 나타내고, 전류-전압 특성곡선에서 VMG=VDS=1.5V, VSG=3V인 곳에서 포화전류는 550$\mu\textrm{A}$/m임을 알 수 있었다. subthrehold slope는 82.6㎷/decade, 전달 컨덕턴스는 l14$\mu\textrm{A}$/$\mu\textrm{m}$ 그리고 DIBL은 43.37㎷이다 다중 입력 NAND 게이트 로직 응용에 대한 이 구조의 장점을 조사하였다. 이때, DG MOSFET에서 41.4GHz의 매우 높은 컷오프 주파수를 얻을 수 있었다.

1200V급 4H-SiC Trench MOSFET의 Design parameter에 따른 전기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sign parameter of 1200V 4H-SiC trench MOSFET)

  • 우제욱;서정주;진승후;구용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92-597
    • /
    • 2020
  • SiC는 Si에 비해서 Breakdown field가 10배 높고, Energy gap이 3배 높기 때문에 높은 Breakdown voltage를 갖는 우수한 전력 MOSFET을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낮은 Mobility로 인한 높은 On저항을 갖기 때문에 이를 낮추기 위해서 Trench MOSFET이 제안되었지만 동시에 BV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1200V급 Trench MOSFET 설계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BV와 Ron에 대한 중요한 변수인 Epi 깊이, Trench 깊이, Trench 깊이에서 Epi 깊이까지의 거리에 대한 Split을 진행하여 최대 전계, BV, Ron의 신뢰성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Epi 깊이가 증가할수록, Trench 깊이가 감소할수록, Trench 깊이에서 Epi 깊이가 감소할수록 최대 전계 감소, BV 증가, Ron 증가를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는 Sentaurus TCAD를 통해 Simulation 되었다.

고온에서 Schottky Barier SOI nMOS 및 pMOS의 전류-전압 특성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Schottky Barrier SOI nMOS and pMOS at Elevated Temperature)

  • 가대현;조원주;유종근;박종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4호
    • /
    • pp.21-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온에서 Schottky barrier SOI nMOS 및 pMOS의 전류-전압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Er 실리사이드를 갖는 SB-SOI nMOSFET와 Pt 실리사이드를 갖는 SB-SOI pMOSFET를 제작하였다. 게이트 전압에 따른 SB-SOI nMOS 및 pMOS의 주된 전류 전도 메카니즘을 온도에 따른 드레인 전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낮은 게이트 전압에서는 온도에 따라 열전자 방출 및 터널링 전류가 증가하므로 드레인 전류가 증가하고 높은 게이트 전압에서는 드리프트 전류가 감소하여 드레인 전류가 감소하였다. 고온에서 ON 전류가 증가하지만 드레인으로부터 채널영역으로의 터널링 전류 증가로 OFF 전류가 더 많이 증가하게 되므로 ON/OFF 전류비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OI 소자나 bulk MOSFET 소자에 비해 SB-SOI nMOS 및 pMOS의 온도에 따른 문턱전압 변화는 작았고 subthreshold swing은 증가하였다.

도핑분포함수에 따른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문턱전압이동현상 (Threshold Voltage Shift for Doping Profile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 정학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03-90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double gate; DG) MOSFET의 채널 내 도핑분포함수의 변화에 따른 문턱전압이동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반도체소자를 도핑시킬 때는 주로 이온주입법을 사용하며 이때 분포함수는 가우스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가우스분포함수는 이온주입범위 및 분포편차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며 이에 따라 전송특성도 변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비대칭 DGMOSFET의 채널 내 도핑분포함수의 변화는 문턱전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문턱전압은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는 최소한의 게이트전압이므로 단위폭 당 드레인 전류가 $0.1{\mu}A$ 흐를 때 상단 게이트전압으로 정의하였다. 문턱전압을 구하기 위하여 해석학적 전위분포를 포아송방정식으로부터 급수형태로 유도하였다. 결과적으로 도핑농도가 증가하면 도핑분포함수에 따라 문턱전압은 크게 변하였으며 특히, 고 도핑 영역에서 하단 게이트전압에 따라 이온주입범위 및 분포편차에 의한 문턱전압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Transfer Gate on the Photocurrent Characteristics of Gate/Body-Tied MOSFET-Type Photodetector

  • Jang, Juneyoung;Seo, Sang-Ho;Kong, Jaesung;Shin, Jang-Kyoo
    • 센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5
    • /
    • 2022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ects of transfer gate on the photocurrent characteristics of gate/body-tied (GBT) 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type photodetector. The GBT MOSFET-type photodetector has high sensitivity owing to the amplifying characteristic of the photocurrent generated by light. The transfer gate controls the flow of photocurrent by controlling the barrier to holes, thereby varying the sensitivity of the photodetector. The presented GBT MOSFET-type photodetector using a built-in transfer gate was designed and fabricated via a 0.18-㎛ standard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process. Using a laser diode, the photocurren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by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transfer gate. Variable sensitivity of the presented GBT MOSFET-type photodetector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by adjusting the transfer gate voltage in the range of 405 nm to 980 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