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2초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Effects of STEAM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the 1st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전미숙;박문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91-106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학 수업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그 내용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1학년 학생들에게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와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준다. 몬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정 지역의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한계가 있으며,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꾸준한 자료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공계열 학생들의 탐구능력 향상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는 학생연구프로그램의 운영 성과 및 평가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dependent Research Program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s)

  • 이희원;신의항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87-98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의 학부 학생들에게 자율적인 연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학생연구프로그램의 성과를 점검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생연구프로그램은 학생이 주도적으로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대학의 교과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가 2003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83명의 학부생을 참여시켜 수행한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들이다. 참여자들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율적 탐구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 학문 영역을 넘어선 다양한 전공의 경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에서 교육 개선을 위한 새로운 교과과정의 틀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문제중심학습방법 (Problem Based Learning : PBL) : 간호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학습방법 (Problem Based Learning : New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nursing education)

  • 김희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권
    • /
    • pp.26-33
    • /
    • 1997
  • Problem-Based Learning(PBL) is at the forefront of educational reform. The acceptance of PBL as an educational approach with wide application represents a major change in thinking about educational process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wider community. In 1969, PBL as a method was introduced at the Medical School of McMaster University in Hamilton, Canada. The most important advantages in PBL are acquiring knowledge that can be retrieved and applied, learning to learn(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to analyze and solve Problems. PBL is widely used within the sector where it had its origin, namely health profession education. A generally accepted start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a problem-based curriculum is the set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future graduates, which describe the typical problems professionals have to deal with. Formulating learning objectives highly depends on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presented problems. Contrary to that, in a classic course in higher education, it is customary that teachers express objectives in a compulsory subject matter. Curricula which advocate problem-based learning generally use case studies in the form of paper cases, simulations and real patients with the intention of stimulating classroom discussion of clinical and basic science concepts within a problem-solving framework. One goal of using paper cases is to stimulate the learning of basic science within a clinical situation. Through self-directed study the students solve problems and explore the psycho-social dimensions within the cases. The general outcome based on the program evaluation research of PBL is that PBL students respond positively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 In summary, PBL is a curriculum design and a teaching/learning strategy which simultaneously develops higher order thinking and disciplinary knowledge bases and skills by placing students in the active role of practitioners(or problem solvers) confronted with a situation(ill-structured problem) which reflects the real world.

  • PDF

1인 가구 시대의 가정과교육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Generalization of a One-Person Household)

  • 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73-89
    • /
    • 2019
  •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universaliz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and text mining in order to explore a futur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HEE) development in the one-person household era. From 2010 to 2018, texts from newspaper articles and book content of one-person households were analyzed through R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competency to live a happy life in the one-person household era, it is necessary to: (1) expand the preemp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of HEE, (2) develop and operate a curriculum to raise the living competency to live alone, (3) expand opportuniti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off-campus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students, and (4) develop various HEE's elective curriculum focusing on the ability to live as one-person household. Also, (5) in order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poverty and isolation of one-person households, HEE should strengthen the learner's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through self-esteem, care of others, community life,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conclusion, HEE's independent living competency,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y, and prac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are all necessary competencies to live in one-person household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HEE and to use new research methods such as word cloud techniques in the absence of HEE's previous research in relation to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 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재발 및 효과: 예비연구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Stress Response and Coping in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 A Pilot Study)

  • 김조자;허혜경;강덕희;김보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69-108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oculturally-appropriat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test its effects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strategies. Methods: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 post-intervention interview was conducted to refine the nature of the intervention. A convenience sample of 10 breast cancer survivors was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s clinics. Psychosocial intervention was developed to provide the health education, stress management, coping skill training and support weekly(90min) for 6 week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scores following the intervention(Z= -2.388, p=0.017).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noted in the use of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nor in the changes of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Content analysis of interview data revealed six clusters; changes in perception, changes in problem solving approaches, changes in anger management, changes in life pattern, social support and reduction of perceived stress. Conclusion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 recommend the refinements of the intervention in the following areas for future studies: 1) duration, activities, and progression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2) research design and sample size; and 3) measurements.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Learning)

  • 강창익;강경희;이상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38-34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활동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7학년 과학반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로는 과학학습 흥미도 검사지를 활용했다.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과학 학습 흥미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 흥미도의 하위 영역인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학습 인식, 과학학습 전략면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활동 중심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 희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조계화;손보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84-1193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uncertainty, hop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3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Daegu and Busan from June 1 to September 30, 2003. Uncertainty was measured by the Mishel Uncertainty in Il1ness Scale (MUIS), Hope was measured by Nowotny's Hope Scale, and quality of life by Ro's Korean Quality of Life(QOL).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by t-test, ANOVA,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scores of uncertain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ope and QOL(all p's<0.05). Uncertainty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subitems of hope such as confidence, relationship with others, possibility of future, and inner motivation(r=-.333, p=.000; r=-.230, p=.015; r=-.260, p=.006; r=-.291, p=.003). Uncertainty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mong subitems of QOL such as emotional status, self esteem, and relationship with family(r=-.29, p=.004; r=-.326, p=.000; r=-.197, p=.044), whereas hope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ubitems of QOL such as emotional status, self esteem, relationship with neighbor, and relationship with family(r=.243, p=.011; r=.487, p=.000; r=.29, p=.001; r=.29, p=.001). The score of uncertainty was low in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subjects using problem solving as a coping method. However, the score of hope was high in college students and subjects using a problem solving method, and the score of QOL was high in professionals.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breast cancer patients experienced living with uncertainty and maintaining hope. Thus the study's findings can be useful in directing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plan to improve QOL of breast cancer patients.

문제해결을 위한 ICT 활용 능력 분석 : 문맥 속에서 대학생의 기능 및 논리 능력 학습하기 (Analysis of ICT skills for problem solving : learning functional & logical abilities in context for pre-service students)

  • 이화현;임연욱;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5-9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습자의 기능 및 논리적인 사고의 경향성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ICT 활용 교육의 목표와 본질적인 가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연구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탐구문제의 텍스트 자료를 표와 차트로 변환하는 수행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 수행 과정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기능적인 영역과 논리적인 영역으로 작성한 기준 항목에 따라 3차에 걸쳐 채점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반적으로는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시용할 때 기능과 논리 영역 중 기능적인 부분에서 더 중점적으로 사고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전공이나 학년, 컴퓨터 실력, 자격증 보유 여부 등에 따라서도 기능적인 영역에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재정지원 사업의 성과분석을 통한 공학 교육 방향 모색 (Seek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direction through performance analysis of financial aid project)

  • 강명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61-67
    • /
    • 2018
  • 본 논문은 공학교육 개선을 위하여 재정지원 사업을 수행한 대학의 사업성과 분석을 통해 지방 공과대학의 교육방향을 모색하고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을 수행한 대학의 3년간의 사업 만족도 조사를 통해 성과분석을 진행하였다. 사업에 참여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원사업의 교육프로그램과 운영에 따른 성과 등 통계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지원사업의 종합만족도 평점은 73.8%에서 83.4%로 상승하고 있으나, 산업체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조사 결과 신입사원들의 업무수행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 능력의 만족도가 낮아 사업의 종합 만족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공학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를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이 배양될 수 있는 공학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