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Impact of Independent Research Program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s

이공계열 학생들의 탐구능력 향상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돕는 학생연구프로그램의 운영 성과 및 평가

  • Lee, Hee-W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Teaching & Learning) ;
  • Shin, Eui-H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Liberal Education)
  • 이희원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 신의항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 Received : 2010.09.10
  • Accepted : 2010.10.04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research program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 research-centered university setting. The independent research program was developed to provide undergraduat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gage in self(student)-initiated, self-regulated and self-responsible research projects. We hypothesized that outcomes of the program would be utilized as a baseline information in formulating the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Eighty thre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uring the period of 2003-2009. In order to evaluate results of the program, we carried out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 reports, the independent research program has helped them to develop self-managed research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y also indicate that the program has offered them the opportunities to survey the various major fields transcending different domains, so as to help them to contemplate on their future career choices. We suggest that such information may provide an essential guideline for developing an innovative undergraduate curriculum.

본 연구는 대학의 학부 학생들에게 자율적인 연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학생연구프로그램의 성과를 점검하고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생연구프로그램은 학생이 주도적으로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대학의 교과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가 2003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83명의 학부생을 참여시켜 수행한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한 결과들이다. 참여자들은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자율적 탐구 능력 및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 학문 영역을 넘어선 다양한 전공의 경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에서 교육 개선을 위한 새로운 교과과정의 틀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원, 이훈진 (2006). 효과적인 대학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대학 생활 의견 조사 보고서. 대학생활문화원.
  2. 김지현, 신의항, 이희원 (2007). 학생자율교육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3. 배영주 (2005). 자기주도 학습과 구성주의. 서울: 원미사.
  4. 배영주 (2006).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교학습의 가능성과 실현 조건의 탐색. 교육과정연구, 24(2): 299-319.
  5. 소경희 (2006). 학교지식의 변화 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39-59.
  6. 신의항 (2006). 미국대학 학사구조 비교분석. 제2회 기초 교육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7. 신의항 (2007). 외국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나. 지식의지평, 3: 118-156.
  8. 이덕환 (2010). 공학교육,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21세기 엔지니어 그들은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할것인가. 공학교육연구, 17(1): 15-17.
  9. 이희원, 민혜리 이경우 (2008).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공학교육연구, 11(3): 24-32.
  10. 김은경, 이우영 (2010). 공학인재양성을 위한 공학교육 현황 분석. 공학교육연구, 13(3): 61-67.
  11. Estes B. & Cheryl (2004). Promoting Student-Centered Learning in Experiential Education. Journal of Experiential Education, 27(2): 141-161.
  12. Fischer, G. & Palen L. (1999). Lifelong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Center for Lifelong Learning & Design, University of Colorado.
  13. Firestone, W. A. (1993). Alternative arguments for generalizing from data as applied to qualitative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22: 16-23. Freeley, AJ (1976).
  14. Gibbons, M., Limoges, C., Nowotny, H., Schwartzman, S., Scott, P. & Trow, M. (1997).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London: SAGE
  15. Hiemstra, R (1994). Self-Directed Learning. T. Husen and T. N. Postlethwaite (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2nd Edition). Oxford: Pergamon Press.
  16. Knowles, M. (1975). Inquiry Project No. 2: What is Self Directed Learning?, pp. 18-20 in M. Knowles (ed.)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Englewood Cliff, NJ: Prentice Hall Regents.
  17. Long, B. Huey & Associates. (1991) Self-Directed Learning: Consensus and Conflict.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Norman, Oklahoma: University of Oklaho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