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athogens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6초

미생물 위해성 평가의 용량-반응 모델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Dose-response Models in Microbial Risk Assessment)

  • 최은영;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2004
  • 미생물 위해성 평가의 용량-반응 모델은 생물학적 모델과 경험적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모델은 미생물의 분포형태,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감수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 수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성립된 모델로서, 대표적으로 Exponential model과 $\beta$-Poisson model이 있다. 경험적 모델은 주로 화학물질의 독성을 나타내는데 이용되어 온 모델로, Weibull-Gamma model등이 있다. 여러 용량-반응 모델 중에서 실험 데이터에 적합한 모델을 걱정하는 데에는 deviance function(Y)을 이용하며, 현재 일부 식중독균에 대해서는 사람과 실험동물에서의 용량-반응 모델이 연구되어 있다.

백작약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s from Paeonia japonica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2-2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과거부터 민간이나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온 백작약의 식중독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해 보고자하였다. 백작약을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acetate 및 methanol의 4가지 유기용매 및 열수에 추출하고, Gram(+)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및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Gram(-)세균인 Salmonella typhimirium, Salmonella paratyphimirium, Shigella dysenteriae, Shigella flexneri, Shigella sonnei 및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성장 억제 실험을 해 본 바, 백작약의 methanol 추출물이 10 mg/mL 농도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은 백작약의 ethylacetate 추출물이 5 mg/mL에서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액체 배지에 배양한 경우 5~10 mg/mL 농도에서 18시간까지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국산 발효식품 추출물과 발효식품유래 미생물을 활용한 벼 종자전염성 진균병 방제 (Effect of Korean Fermented Food Extracts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Extracts for the Control of Rice Seed-borne Fungal Diseases)

  • 김용기;홍성준;심창기;김민정;이민호;박종호;한은정;최은정;배수일;지형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3-395
    • /
    • 2014
  • 국내산 9개 작물 51품종의 종자를 수집하여 종자오염 실태 및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참깨와 벼 종자의 오 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종자전염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용미생물을 함유하는 김치, 고추장, 된 장, 간장, 막걸리 및 토하젓을 채집하여 식품 추출물 조제하고 종자전염성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 가로 식품유래 미생물의 벼 종자전염성 병해 억제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40개 식품추출 물 중 11개 식품추출물을 샤레 상에 처리하였을 때 유묘썩음증상을 50~79%까지 감소시켰고, 5개 식품추출물 처리 는 온실조건에서 건전묘율을 8~3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식품 40제품으로부터 얻은 218종의 발효미생 물 중 43균주는 7종의 종자전염성 병원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선발된 43균주의 종자소독효과를 검정 한 결과, 32균주가 병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균주 중 17균주는 모썩음증상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건전주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15균주도 Kc 4-2와 Mkl 2-2균주를 제외하고는 지상부 출현율 및 건전묘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6S r-DNA region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균활 성 및 종자소독 효과를 보인 식품유래 유용미생물 30종에 대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그 중 21균주는 Bacillus 속 세균 으로,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3균주는 Saccharomyces 속 효모로 동정되었다. B. amyloliquifaciens는 간장을 제외한 6 개 식품에서 분리되었으며, 고추장 및 젓갈에서 분리된 우수 항균활성 보유균주는 대부분 B. amyloliquifaciens인 것 으로 나타났다. 김치에서는 B. subtilis, B. pumilus 및 B. amyloliquificiens 등 다양한 Bacillus 속 세균이 분리되었다. 이상의 선발된 발효식품유래 유용미생물은 in vitro와 온실조건에서 종자전염성병 방제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 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국내산 발효식품 추출물 및 발효식품 유래 미생물은 벼 종자소독용 방제제로서 사 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tection of CTX-M Type ESBL Producing Salmonella in Retail Meat in Korea

  • Kim, Yong Hoon;Joo, In Sun;Kim, Yoon Jeong;Oh, Mi Hyun;Cho, Joon Il;Han, Min Kyong;Kim, Soon Han;Moon, Tae Wha;Park, Kun S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7-52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retail meat in Korea. A total of 157 samples of beef, pork, and chick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E. coli, Salmonella, Campylobacter. Resistances to tetracycline were declined in accord with reduced usage of tetracycline in live stock production. E. coli stains from chicken meat had higher multi-drug resistance ratio than strains from other meat. One extended spectrum beta lactamase (ESBL) producing E. coli and two ESBL producing Salmonella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ESBL producing Salmonella strains were confirmed to carry CTX-M-1 type genes.

동백(Camellia japonica L.)유박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Camellia japonica L.) Seeds Extract)

  • 강성구;김용두;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2-238
    • /
    • 1998
  • To developed natural food preservatives,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e defatted camellia(Camellia japonica L.) seed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4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 borne pathogens and/or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Ethanol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everal microorganisms tested, but not on lactic acid bactria. Especiall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MIC) for yeasts were as low as 1mg/ml. Water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the yeasts tested, but almost bacteria were not observed.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hexane, chloroform, ethylaetate and butanol fractions to test antimicrobial activity. The strongest activity for the tested yeasts were found in the butanol fractions, but bacteria were chloroform fraction. Hansenula anomala treated with ethanol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and the results exhibited morphological changes, including the irregularly contracted cell surface and expanded ellipsoidal shape.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Zanthoxylum piperitum A.P. DC.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 Choi, Soo-Im;Chang, Kyung-Mi;Lee, Yong-Soo;Kim, Gun-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95-19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A.P. DC. as a source of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Essential oils of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A.P. DC. were colle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analyzed by GC-M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was examined using the agar diffusion and micro-dilution assays. The effectiveness of Z. schinifolium essential oil was greater against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han other pathogens, an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s were 1.25, 2.5, and 1.25, 2.5, and $1.25\;{\mu}g/mL$, respectively. Z. piperitum A.P. DC. essential oil was the most effective against all pathogens tested except for Escherichia coli O157:H7, and the MIC values against B. cereus, Salmonella choleraesuis, and V. parahaemolyticus were 1.25, 2.5, and $1.25\;{\mu}g/mL$, respectively. Limonene, the major component of Z. piperitum A.P. DC. essential oils, ha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toward V. parahaemolyticus with a MIC value of $0.15\;{\mu}g/mL$. Meanwhile, citronellal and geranyl acetate, major components of both essential oils, display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ly B. cereus with MIC values of 1.25 and $5\;{\mu}g/mL$,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essential oils could be useful as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 윤소영;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김서진;이소정;이청조;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 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cerevisiae와 P. expansum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C. perfringens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cerevisiae에 대해서도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압가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를 제외한 균주에 대하여 pH $2{\sim}10$까지 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감소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와송 잎 유래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우유 및 유제품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의 위해평가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Milk and Dairy Products in Korea)

  • 김현욱;한기성;박범영;정석근;김현섭;오미화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69-73
    • /
    • 2011
  • Food borne pathogens are a growing concern for human health and food safety throughout the world. Milk and dairy product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spoilage or contamination from a wide variety of physical, microbial, and chemical hazardous. Microbiological risk analysis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and risk communication, and overall objective of this process is ultimately public health protection. The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is useful tool to evaluate food safety as it is based on a scientific approach. In addition risk assessment process includes quantitative estimation of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microbial hazards to evaluate more accurate human expos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on the prevalence of bacterial foodborne pathogens in milk and dairy products.

  • PDF

소 장관 유래 Enterococcus faecium의 Enterobacter sakazakii에 대한 생육저해활성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Enterococcus faecium Isolated from Bovine Intestinal Tract against Enterobacter sakazakii)

  • 박주희;윤성식;박영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9-104
    • /
    • 2008
  • 소 장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중에서 Enterobacter sakazakii에 생육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한 후 동정한 결과 Enterococcus faecium으로 동정되었고 E. faecium JH95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kanamycin과 streptomycin에 대해 $100{\mu}g/mL$가지 매우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균주의 배양액은 L. monocytogenes, C. perfringens와 E. sakazakii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S. aureus와 E. coli O157:H7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균주의 배양 상등액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배양액이 지니고 있는 항균활성은 $100^{\circ}C$에서 5분간 가열하거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처리에 의해 소실되어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생육저해물질이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