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Intention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5초

문화관광상품 창업 중심 창업교육이 창업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Founder Self-Efficacy: Focused on Start-up of Cultural Tourism Product)

  • 황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69-74
    • /
    • 2022
  • 본 연구는 문화관광상품 관련 창업자들의 수요에 맞는 창업교육을 통해 예비창업자들이 긍정적인 창업의도를 갖도록 하는게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창업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창업자들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 지역의 문화관광상품 관련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창업교육과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문화관광산업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직장인의 학습지향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및 창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orean Employees' Learning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 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3-199
    • /
    • 2024
  • 학습지향성이 높은 직장인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생겨난 수많은 창업기회를 다른 사람들보다 빠르게 식별하고, 혁신적 해결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직장인의 학습지향성과 창업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은 학문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학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관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 충분치 않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학습지향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창업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학습지향성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의 학습지향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정신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지향성이 높은 직장인은 기업가정신이 높고 이러한 높은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를 높이는 결정적 요인이라는 것이다. 셋째, 학습지향성과 기업가정신 간의 관계에서 창업경험의 조절효과가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것은 직장인의 학습지향성이 높고 창업경험이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기업가정신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학습지향성과 창업경험의 상호작용항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학습지향성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 기업가정신을 통한 조절변수 창업경험의 완전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보기술역량과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최대수;성창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9
    • /
    • 2017
  • Lately, there is a worldwide boom for start-ups. This trends has led to develop many policies for entrepreneurship in Korea, which focused on college education. Also, as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s no borders, demands of software early education are expanding in line with strong interests in IT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is now an essential competency for all professionals who need creative thinking. And entrepreneurs are a representative job that requires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IT competencies-IT planning competencies (ITPC) and IT development competencies (ITDC)-as a core factor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T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investigated IT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planning competencies have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intention. But IT development competencies do not influence direct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attitude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T planning competen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o, we need to develop good contents related to the IT planning capabilities when 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start-up 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have a broad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echnology convergence and creating opportunities.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chievement Needs and Entrepreneurship on the Start-up Intention: Focus on Mediation Role of Start-up Motivation)

  • 유봉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3호
    • /
    • pp.51-60
    • /
    • 2015
  • 본 연구는 창업 활성화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발굴하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혀 보고자, 창업동기를 비롯한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과 같은 창업가적 심리특성을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서, 창업동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성취욕구 및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보육기관 입주기업의 창업자들로부터 회수한 설문지 181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취욕구와 창업가정신이 창업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 두 변수가 창업동기의 선행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이 두 변수의 선 후행관계가 명확히 밝혀졌다. 셋째,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성취욕구 및 창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에 창업동기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시 말해서, 창업동기가 성취욕구 및 창업가정신으로 하여금 창업의지를 더욱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취욕구, 창업가정신, 특히 창업동기와 같은 창업가적 심리특성을 강화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업의지관련 이론적 시사점은 물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A Case Study of Western China

  • 자오야주;류환;유자양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5-8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first-time entrepreneurs in western China. The research employed an online self-management survey method to collect data from participants involved in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irst-time entrepreneur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xecution capability. Entrepreneurial intention effectively promotes entrepreneurial execution capability, which is critical for successful entrepreneurship.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so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abilities and thinking patterns, there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entrepreneurs. Additionally, entrepreneurial support plays a direct positive role in entrepreneurial success by providing resources, guidance, knowledge sharing, and confidence, thereby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success.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창업교육 경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iences on the Intention of Entrepreneurship)

  • 최태월;윤석주;배상목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2호
    • /
    • pp.61-67
    • /
    • 2019
  • 본 연구는 충남 천안 아산에 소재한 대학교로 창업교육 유 경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총 84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창업교육 경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창업교육이 창업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성취욕구와 자기효능감(.659), 창의력과 자기효능감(.499), 창의력과 성취욕구(.588)는 p<.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의 하위요인인 교육만족도가 창업의도의 하위영역인 성취욕구,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력은 창업의도의 성취욕구, 자기효능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창의력은 성취욕구에 ${\beta}$ 값은 .603, R2은 35.1%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으며, 창의력이 자기효능감에 ${\beta}$ 값은 .493, 창의력과 자기효능감의 R2은 25.5%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etween the Students of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Class and Theory Centered Class)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49-58
    • /
    • 2018
  • 최근 대학 내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활성화 등의 정책적 노력과 지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수강생의 참여도 및 교육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많은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이론 및 정보의 전달을 위주로 하는 이론형 창업 강좌와 아이디어 발굴과 시제품 제작 등의 과정이 포함되는 창업실습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인식 차이가 있는지, 아울러 창업동기 및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동기 요인중에서 사회적 인식을 제외한 창업교육, 성취욕구, 인적네트워크, 자존 욕구 등은 두 집단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형 창업강좌 학습자들이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보다 창업동기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가정신 요인은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체험형 창업강좌 학습자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보다 창업의지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업동기 요인 가운데 창업교육과 성취욕구, 기업가정신 요인 중에서는 위험감수성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양적 확대 위주의 창업교육의 방향과 창업교육의 질적 효과 창출에 대한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체험중심의 창업교육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창업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전자상거래 무역상 창업의도 결정요인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being E-commerce Trade)

  • 응엔 티 비엣 하;박현재
    • 무역상무연구
    • /
    • 제76권
    • /
    • pp.147-166
    • /
    • 2017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on entrepreneurship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enhance their employment ratio because they have big difficulty in getting a job in Korea as well as Vietnam. Currently, on-line business is booming because customers feel convenience in approaching on-line store. Therefore, this study has explored identifying the factors to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being e-commerce trader for the undergraduates in Korean universities as well as Vietnam universities. In addition to this, the study has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between Korea and Vietn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entrepreneurial knowledge affects positive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being e-commerce trader. Second, employment barrier also affects positive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being e-commerce trader. Third, social perception on entrepreneu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barrier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being e-commerce trader. Lastly, the level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vietnam undergraduate students shows higher than that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Since there was lack of recognition as to the importance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being e-commerce trader in Korea, Korean government can refer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and implement the related policies to enhance rela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indicates that when it comes to the establishment of new ventures in Korea, entrepreneurial education has been the focus of interest such as making business plan, setting up strategy, marketing the products etc.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for the future policies to boost youth entrepreneurship in Korea.

  • PDF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구조에 관한 모델링 연구 (Modeling Study on The Structure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장재훈;최미리;정성광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41-54
    • /
    • 2024
  •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창업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창업에 대한 지원 확대 및 창업 성과 확대를 위해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창업교육 및 지원의 대상과 관심은 대학생과 일반 대중을 넘어 고등학생까지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경우 창업에 대한 의도확대를 증대시키고자 기업가정신의 역량과 창업태도 및 창업의지의 관계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의 역량(창의성, 위험감수성, 혁신성)은 창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태도는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창업태도의 기업가정신 역량(창의성, 위험감수성, 혁신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태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위험감수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태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혁신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태도는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연구결론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요약, 기업가 및 창업에 대한 시사점과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Determinant Factors of Young People in Preparing for Entrepreneurship: Lesson from Indonesia

  • WARDANA, Ludi Wishnu;HANDAYATI, Puji;NARMADITYA, Bagus Shandy;WIBOWO, Agus;PATMA, Tudung Subali;SUPRAJAN, Sandy Ek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555-565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 factors affecting young people in preparing entrepreneurship in Indonesia. This study involved several variables, including the need for achievement, risk perception, locus of control, entrepreneurial attitude to predi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reparation for entrepreneurship among young people. The approach utilized in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using a survey mode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young people in East Java, Indones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Partial Least Square (SEM-PLS) was implement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attitudes toward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young people in Indonesia are determined by several variables such as the need for achievement, risk perception, and locus of control.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howed one positive direction in which all independent variables can influence dependent variables.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s a robust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entrepreneurship and preparing for entrepreneurship among young people. Lastly,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preparation for entrepreneur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need to be concerned about entrepreneurial programs to promote young entrepren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