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dissonanc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9초

돌봄 종사자들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Dissonance, Depression and Anxiety in Care Service Work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이정민;홍민희;장기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41-3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 종사자의 감정부조화와 우울, 불안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감정부조화와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돌봄 종사자 142명을 대상으로 감정부조화 평가척도, 정서지능 척도, PHQ-9, GAD-7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정부조화와 타인 정서인식이 우울 및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부조화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타인 정서인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종사자의 감정노동 및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Linking Emotional Brand Attachment and Sales Promotion to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The Mediating Role of Impulse Buying Behavior

  • AKBAR, Muhammad Imad Ud Din;AHMAD, Bilal;ASIF, Mirza Huzaifa;SIDDIQUI, Shahid Al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367-379
    • /
    • 2020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s post-purchase psychological state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sales promotion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on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taking into account the mediating role of impulse buying behavior. The current study addresses several gaps in literature. Firstly, it is hard to find the direct impact of sales promotion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on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Secondl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impulse buying behavior in consumer research. A sample of 256 respondents was collected from Pakistani retail consumers. The statistical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ales promo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ulse buying behavior and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Furthermore, results indicate that emotional brand attachmen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impulse buying behavior bu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Meanwhile, impulse buying behavior is a potential mediator between sales promotion, emotional brand attachment, and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describes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ales promotion and post-purchase cognitive dissonance will be stronger for women as compared to men at a higher level of sales promotion.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중집단경로분석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A Multiple-Group Path Analysis across Job Satisfaction)

  • 백지윤;현대성;장세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70-78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and examin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350 nurses recruited from 6 general hospitals in 2 cities in Korea. A multiple-group analysis was utiliz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 and AMOS 20. Results: In the path analysis, turnover intention was directly related to burnout in clinical nurses who had a high job satisfaction (${\beta}=.24$, p=.003), while it was indirectly related to emotional dissonance (${\beta}=.13$, p=.002). In the multiple-group path analysis, turnover intention was directly related to emotional dissonance (${\beta}=.18$, p=.033) and burnout (${\beta}=.26$, p=.002) for nurses with low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uals and guidelines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dissonance, and burnout, an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re strongly requir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와 직무소진의 영향관계: 감정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Effects of Korean Marine Police's Emotive Dissonance on Job Burnout: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 임유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8-334
    • /
    • 2016
  • 경찰공무원들의 일상생활은 수많은 범죄행위와 범죄피해 그리고 범죄현장에 직면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러한 경우 개인의 부정적인 감정이 표현될 수도 있다. 해양경찰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감정은 직장에 대한 기여도와 직무에 대한 성취도 그리고 효과적인 직무처리를 위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준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감정적 부조화를 통제하는 것은 조직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감정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집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 하위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의식적으로 감정표현을 하거나 절제하려고 노력할 때 감정적 부조화를 느끼지 않으며 바람직한 감정표현을 하는 과정에서 감정지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지능은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감정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비교한 결과, 해양경찰공무원들은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소진을 느끼는 것만큼 감정지능에 의해 직접적으로 직무소진을 경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피부전문가들이 경험한 고객 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 및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Service Sabotage on Skin Experts Who Have Experienced Inappropriate Customer Behavior)

  • 성영환;이영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93-150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전문가들이 경험한 고객 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 및 서비스 사보타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서울. 경기지역 피부전문가 38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고객 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감정부조화의 감정억제가 서비스사보타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es People as Emotional Labor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Outcomes

  • Park, JungKun;Yoo, Weon Sang;Rutherford, Bria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9-57
    • /
    • 2015
  • Ever since Hochschild (1983) introduced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in the workplace, it has constantly interested researchers due to its impact on employees' well-being as well as organizational outcomes. Howeve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emotional labor and its relationship with various outcomes in sales people is not yet realized. In a systemic approach to the concept using quantitative methods is still necessary. The present study treats emotional labor as two factors (e.g. emotive dissonance and emotive effort).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outcomes of each sub-construct of emotional labor are investigated within a parsimonious framework. Th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dissonance affected job satisfaction, while emotive eff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job performance.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Nursery Teachers)

  • 최광일;이원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669-681
    • /
    • 2016
  • 이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과 정신건강 간의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46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5점 척도로 구성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IBM SPSS 23과 AMOS 21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정신건강 하위요인 중 직무스트레스(학부모관계, 업무과부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소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은 정신건강 하위요인인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직무소진은 감정부조화와 정신건강에 대해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린이집에서 종사하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기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Actor's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Focused on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 박재훈;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5호
    • /
    • pp.127-139
    • /
    • 2019
  • 본 연구는 연기자를 대상으로 감정부조화를 매개변수로 하여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감정노동을 내면행위와 표면행위로 구분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보상부적절과 관계갈등의 하위변수로 구분하였다. 주로 서울시와 경기도 일원에 거주하는 연기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400부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한 분석결과 첫째, 표면행위만 보상부적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내면행위와 표면행위는 모두 관계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행위만 감정부조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부조화는 보상부적절과 관계갈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표면행위가 감정부조화를 매개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로는 조절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이나 감정부조화외에 다른 매개변수의 발굴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Emotional Labor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 정혜림;임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91-506
    • /
    • 2016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감정부조화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 종합병원, 준종합병원 응급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 수간호사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2월 12일부터 2015년 12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7점 만점에 4.50점, 공감만족은 평균 50점 만점에 31.62점, 공감피로는 평균 50점 만점에 29.48점, 소진은 평균 50점 만점에 29.27점, 감정부조화는 평균 7점 만점에 5.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공감피로와 소진의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12%와 29%였다. 감정부조화는 감정노동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감정부조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뷰티종사자의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 및 직무열의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aycustomers Behavior Perception of Beauty Professionals on Emotional Harmony, Job Enthusiasm, and Management Performance)

  • 이정희;성영환;이재은;이영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04-311
    • /
    • 2021
  • 연구목적은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 및 직무열의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연구 하였다. 표본은 뷰티종사자327명이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 및 직무열의가 상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감정부조화에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불량고객 행동지각이 경영성과에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감정부조화가 직무열의에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경영성과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통계학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불량고객 행동지각은 뷰티종사자의 감정부조화로 인해 직무열의 및 경영성과에 부정적 요인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