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al concept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1초

로봇을 활용한 수학 융합 인공지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4학년 '각도'와 '사각형'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mathematics convergence using robots)

  • 최선영;장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9-38
    • /
    • 2024
  • 본 연구는 로봇을 활용한 수학 융합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인공지능 및 수학적 개념에 대한 학생의 이해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 인공지능교육 내용 기준을 분석하여 인공지능의 개념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수학과 성취기준을 파악하였다. 특히 로봇의 움직임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각도 단원과 사각형 단원을 선택하여 그 성취기준을 인공지능교육 내용 요소와 융합하기 위해 수업을 재구성함으로써 5회기(총 15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22명을 대상으로 5개월에 걸쳐 적용하고 적용시 드러난 학생들의 이해를 인공지능 내용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로봇을 활용한 수학 융합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원리 및 수학적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봇의 활용은 실행 과정 및 결과 도출까지 일련의 절차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인공지능과 수학적 이해뿐만 아니라 수업 참여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개선을 위한 네 가지 문제점- (An Analysis o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and Textbooks of 2009 Revised Version in Korea - Four Issues to Be Improved)

  • 강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69-583
    • /
    • 2013
  • 2013학년도부터 시행되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네모 상자 모양, 둥근 기둥 모양, 공 모양, 네모, 세모, 동그라미 등 기본 도형의 인지 활동에 필요한 언어 사용을 허용하여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등장하는 약속하기 활동은 다른 용어로 대체하여야 하며, 도형의 이름 붙이기 활동도 절제되어야 한다. 셋째, 오목다각형을 다각형의 다양한 범례로서 포함하여 취급하여야 한다. 넷째, 유리수의 계산과 관련하여 실생활과 관련이 적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부담이 되는 내용을 대폭 경감하여야 한다.

  • PDF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Renzulli의 삼부심화모델 도입 개방형 수학 문제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sing Open-Ended Problems Program with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for Mathematics-Gifted Elementary Students)

  • 이자혜;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209-232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steps in a program introducing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and various levels of posing open-ended problem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mathematics-gifted elementary students. As results, participants showed their abilities of problem posing related to real life in a program introducing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From eighteen mathematical responses, gifted students were generally outstanding in terms of producing problems that demonstrated high quality completion, communication, and solvability. Amongst these responses from fifteen open-ended problems, all of which show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ability to devise questions was varied in terms of the problems' openness (varied possible outcomes), complexity, and relevance. Meanwhile, some of them didn't show their ability of composing problem with concepts, principle and rules in complex level. In addition, there are high or very high correlations among factors of mathematical problems themselves as well as open-ended problems themselves, and between mathematical problems and open-ended problems. In particular, factors of mathematical problems such as completion, communication, and solvability showed very high correlation with relevance of the problems' openness perspectives.

수학문제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분석 (An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Mathematical Problems)

  • 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25-141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에게 초등학교 수준의 좋은 수학문제를 만들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도록 하면서 예비교사들이 수학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A교육대학교 2학년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86명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학문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예비교사들은 제시한 수학문제에 대하여 초등학교 학생의 해결전략을 예상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관찰하면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좋은 수학문제로 수학 개념이나 알고리즘의 활용, 동기유발, 개방형의 문제의 유형을 선호하였고 일부 전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과 분석 경험이 교사의 문제해결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수학 문제해결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관찰과 질 높은 수학문제의 개발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서의 문제와 연계한 양질의 수학문제의 보급을 제안하였다.

의견교환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이 1학년 어린이의 수,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1st grade Children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 최창우;이중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419-4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the effects on number and operation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t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we have stud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We divi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rough communication and applied in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2.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applie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to the 1st grade of 40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about six months(September 1, 1999 ~ February 20, 2000). In process of applying this model, we collected all sorts of cases in the children's learning activity and investigated children's response on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interview with children and researcher's observation. We applied the model through communication in class an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learning. 1. In learning through communication, children could solve the problem in themselve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2. It was impossible to find out the degree of children's comprehension in the explanatory learning. But in the learning through communication, it was a great help to individualize and plan the learning because children express their ideas clearly. It has conclusion as follows. The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has effected on forming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mportantly. 1. Children have improved in the abilitie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own ideas. 2. Children have studied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not in the teacher-oriented learning but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3. Children could find out the mathematical concepts in themselves - correcting false concepts, reguiding concepts by errors, finding invisible errors, solving problems variously and knowing the easy method. 4. The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was a base of children's individual learning and important data of next learning plan. 5. The mathematical concepts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had a high transfer of learning. 6. Children have taken pleasure of discovery and had affirmative attitude about mathematics learning. We can make sure that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are formed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However, help and control of teacher have to be with it.

  • PDF

수학적 상황 설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Mathematical Situation Posing)

  • 홍성민;김상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1호
    • /
    • pp.41-5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mathematical situation means, how to pose a meaningful situation and how situation-centered teaching could be done. The obtained informations will help learners to improve their math abilities. A survey was done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learning in mathematics by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had to find solutions of the textbook problems accurately in the math classes, calculated many problems for the class time and disliked mathematics. We define mathematical situation. It is artificially scene that emphasize the process of learners doing mathematizing from physical world to identical world. When teacher poses and expresses mathematical situation, learners know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the process of mathematizing in the mathematical situation. Mathematical situation contains many concepts and happens in real life. Learners act with real things or models in the mathematical situation. Mathematical situation can be posed by 5 steps(learners' environment investigation step, mathematical knowledge investigation step, mathematical situation development step, adaption step and reflection step). Situation-centered teaching enhances mathematical connections, arises learners' interest and develops the ability of doing mathematics. Therefore teachers have to reform textbook based on connections of mathematics, other subject and real life, math curriculum, learners' level, learners' experience, learners' interest and so on.

  • PDF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Singapore: Focused on the Geometry and Measurement Strand)

  • 최병훈;방정숙;송근영;황현미;구미진;이성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45-68
    • /
    • 2006
  • 본 연구는 싱가포르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해 최근 고조된 국제적 관심을 바탕으로,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단원의 전반적인 전개방식 및 각 학년별 학습 내용과 주요 학습 주제 도입 시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교과서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구체적인 교과서 사례를 바탕으로 학습 내용 구성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블럭 학습형태인 반면에, 싱가포르는 반복 학습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싱가포르는 다각적인 분류 활동을 강조하여 도형의 핵심적인 속성을 파악하도록 교과서를 구성한 점이 돋보였다. 우리나라는 전형적인 모델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에, 싱가포르는 다양한 모델을 제공하여 개념 형성에 폭넓은 기회를 주고 있었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계산기의 활용 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lementary School in Elementary School)

  • 안병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13-729
    • /
    • 2017
  • 우리나라의 초등 수학 교육에서 계산기의 활용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제 6차 교육과정이 처음이다. 그 이후 교육과정에서는 초기보다 활용 범위가 확대되었으나 실제 교과서에서 활용 상황을 보면 아직은 미흡하고 활용에 대한 안내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특히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관련 연구는 찾지 못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차 교육과정 이후의 교육과정 변화 속에서 발표된 계산기 활용에 대한 연구들의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계산기 활용방안으로 제시한 복잡한 계산, 수학적 개념, 수학적 원리 법칙, 문제해결 지도의 4가지에 대하여 적합한 성취기준을 찾아서, 그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과서의 단원과 차시별 학습내용에서 활용 과정을 제시하여 사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예비 교사교육에서 수학사의 교육적 적용 :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Educational Application of Chosun Mathematics in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179-202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수학사를 교육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설계 진행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 증진 프로그램으로서 조선 산학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조선산학 프로그램은 사회 문화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산학 발달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비롯하여 조선산학의 수학적 내용과 학교수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비 초등교사 8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조선산학의 익숙하지 않은 맥락이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교사들의 교과내용지식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수학 주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한 교사지식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 조선산학이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산학과 학교수학의 연계가능성을 생각해보게 하고 연계 내용의 교수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함으로써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학의 사회 문화적 관점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초등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제 7차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the Knowledge-Driven Society)

  • 김경자;정미화;손지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1호
    • /
    • pp.11-28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7th national amended curriculum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revised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accompanying practice books were analyzed. Teacher's manuals were also studied to examine the intentions of the textbook developers. The two major questions were sought. First, to what degree d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match with the inten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ulcorner Second, how d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for understanding mathematics\ulcorner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s, practice books, and teacher's manuals appeared not to reflect the intentions of the 7th amended curriculum to the full extent. Second,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extbooks, practice books, and teacher's manuals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therefore, they were not very feasible for teaming for understanding mathematics. The recommendations for a new revised curriculum were suggested. First, regarding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 idea of structure of subject matter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connections of concepts and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and functions in mathematics. Second, more ill defined problems should be presented to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y in real life contexts in students. Third, contents for relearning and enrichment need to be reorganized to reflect students' real ability. Fourth, uses of the concrete and the manipulative need to be more realistically suggested. Fifth, more proto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scoring rubrics, and portfolios need to be presented in a more teacher-friendly manner. Sixth,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need to be more discern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