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Search Result 1,1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로봇활용수업에서 교사의 수업언어 사용 유형 분석 (Analyze Teacher's Lesson Language Pattern Based on Lesson of Using Robot)

  • 김두규;김경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653-66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eacher's lesson language pattern based on robot class. For this research as an analytical tool AF (Advanced Flanders) was utilized. Actually ClassReport ver 1.0 computer program was used in the process of input data. From the results of the Flanders index, The major instruction sequences were 4-8-3 in elementary school and 4-8 in middle school. The teacher's remarks in robot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rank 'instruction', 'question'. And In the middle school rank 'instruction' and 'positive advice' are very high ratio, but 'indication' is low ratio. The teacher constantly teach and ask question ratio in the middle school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But a tendency for non-indication was low ratio in the middle school than elementary school. These results could provide effective cues and information on how to to improve instruction.

사이버초등학교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Cyber Elementary School)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85-394
    • /
    • 2004
  •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사회로의 진행은 우리에게 사이버 공간이라는 또 하나의 삶의 공간을 제공해 주었고, 우리 사회에 사이버 공간이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현실에서 초등학교에도 사이버 대학의 연착륙을 경험 삼아 사이버 학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때라 생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적용 가능한 사이버 초등학교의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별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모형 분류 및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교지원형 사이버초등학교, 학교연합형 사이버초등학교, 독립형 사이버초등학교, 과도기형 사이버초등학교로 나누어 각 모형별로 개념, 주요 교육 대상 및 목적, 운영 체제, 교육과정 및 내용을 연구한 후, 설문을 통해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초등학교에 사이버초등학교가 도입될 경우 과도기형과 학교지원형의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 PDF

초등학생 학부모의 식습관 및 식생활능력 평가 (An Evaluation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 김정원;이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2-17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who are influential to the dietary life of their children and famil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62 elementary school par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53 questions on dietary habits, dietary life competency, home cooking frequency, and dietary education nee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were 76.35 and 74.51 out of 100, respectively, suggesting a need for improvement. Parents with higher monthly income, demonstrated higher scores of both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p<0.001). As expected, female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of dietary life competency than male parents (p<0.01). there was also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r=0.58). The parents with high scores for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home cooking (p<0.001) compared to medium- or low-scored parents. Most parents answered that dietary education need to be started earlier, and that their main source of dietary life information was mass media. They also showed a preference for real experience and practice for dietary education.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and suggest that continuous educ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Because monthly income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socioeconomic factor for the parents'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continuous efforts on dietary education are necessary to reduce the score gaps in these categories.

UTAUT 모형을 적용한 현장 교원의 라이브워크시트 활용 의도 분석 연구 (Teachers' Intention to Use Liveworksheets Applying UTAUT Model)

  • 최은선;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13-421
    • /
    • 2021
  • 지난 2020년 비대면 개학이 전면 실시되고 온라인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온라인 기반의 학습도구를 개발하고 활용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교원의 웹 기반 온라인 학습지 플랫폼인 라이브워크시트를 활용하는 의도와 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를 기반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UTAUT 모형의 영향 요인인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은 모두 교원의 라이브워크시트 활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새롭게 추가한 개방성 요인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가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할 비대면 수업에서의 교원의 새로운 기술 수용 의도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로봇 교육과정 단계별 학습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ents of Robot Education Curriculum)

  • 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43-452
    • /
    • 2014
  • 본 연구는 초 중학교에 체계적인 로봇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 로봇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문헌연구로 영국,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의 로봇교육과정 관련 사례를 조사한 후 로봇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에 고려하였다. 개발된 로봇 교육과정은 로봇기초, 센서, 구조/운동, 제어, 문제해결의 5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로봇체험, 로봇창작, 로봇탐구, 로봇제어의 4단계로 이루어졌다. 단계별 학습내용은 난이도와 계열성을 고려하여 심화반복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초 중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로봇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향후 개발된 로봇교육과정을 기초로 현장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초.중학교 로봇융합활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Robot and Convergence Activity)

  • 박정호;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85-294
    • /
    • 2014
  • 최근 K-12교육에선 교수학습도구로 로봇을 활용하는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핸즈온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은 과학, 수학 교과학습 뿐만 아니라 STEAM 융합활동에서도 긍정적 교육효과를 제공하며 비판적 사고력, 창의성, 의사소통능력, 협동심 등의 21세기에 필요한 능력 신장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 성과에 비해 초중등 교육현장에서 로봇의 도구적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로봇교육과정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즉, 학교급/학년별로 도구적 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체제적인 교육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로봇'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국내외의 로봇교육과정 및 관련 사례를 분석한 후 개정될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의 하위 영역으로써 로봇영역의 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의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Design Thinking-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승철;김태영;김진수;강성주;윤지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73-84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영역 중 하나로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이 떠오르고 있다. 메이커 운동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3D 프린터, 레이저 커팅기 등 다양하고 저렴한 제작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직접 제작하고 공유하는 것이다. 메이커 교육을 초 중등(K-12) 수업에 적용할 때 디자인 사고를 기반으로 한다면 그 효과가 증진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강의식 메이커 수업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디자인 사고 기반의 메이커 수업을 적용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였고, 통계적 t-검정을 이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밝혔다.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모델을 이용한 초등로봇 프로그래밍 문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Elementary Robot Programming Problems using Algorithmic Thinking-based Problem Model)

  • 이정훈;허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89-19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초등정보교육과정의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에 필요한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모델을 활용하고, 초등 로봇 프로그래밍 내용 요소를 적용하여 초등 로봇프로그래밍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초등 로봇프로그래밍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들에 대해 실험 수업을 실시하여 알고리즘적 사고에 따른 답안들의 다양성과 효율성 및 개발된 문제들의 난이도 적절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문제들이 여러 형태의 답안이 도출될 수 있는 알고리즘적 사고의 다양성을 갖으며, 초등 단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적절한 난이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웹 기반 교원능력개발 평가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Web-based Teacher 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System)

  • 한기순;전석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49-156
    • /
    • 2010
  •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편화된 지금 학교현장에서는 효율적인 통계 분석이 가능하고,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한 웹 기반 교원능력개발평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웹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교원평가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본 후 그 제한점을 극복하고 사용자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웹 기반 교원능력개발평가 시스템을 제안하고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설계한 교원능력개발평가 시스템의 사용성 향상 요소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평가문항별 키워드를 레이어 방식으로 설명하여 평가자의 평가문항 이해를 돕는 것이다. 두 번째는 평가자를 위해 평가보조자료를 첨부하여 공정하고 객관적인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통계 처리가 힘든 서술형 문항에 키워드별 분류 기능을 추가하여 교원의 자기 발전의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웹 기반 교원능력개발평가 시스템은 학교 교육의 질 향상 및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논리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EPL기반 교육전략 (Education Strategy based on EPL for Heightening of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 한재협;손원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95-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모델에 기반한 하이레벨(High Level)단계의 프로토타이핑 기법을 적용하여 응용프로그램 개발 교육모형을 제시하여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에서 문제해결력과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응용프로그램 개발 교육의 새로운 접근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