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e Teacher's Lesson Language Pattern Based on Lesson of Using Robot

로봇활용수업에서 교사의 수업언어 사용 유형 분석

  • Received : 2012.08.28
  • Accepted : 2012.09.14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eacher's lesson language pattern based on robot class. For this research as an analytical tool AF (Advanced Flanders) was utilized. Actually ClassReport ver 1.0 computer program was used in the process of input data. From the results of the Flanders index, The major instruction sequences were 4-8-3 in elementary school and 4-8 in middle school. The teacher's remarks in robot class in the elementary school rank 'instruction', 'question'. And In the middle school rank 'instruction' and 'positive advice' are very high ratio, but 'indication' is low ratio. The teacher constantly teach and ask question ratio in the middle school wa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But a tendency for non-indication was low ratio in the middle school than elementary school. These results could provide effective cues and information on how to to improve instru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표(2008).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4), 97-113.
  2. 권순범.남동수.이태욱(2011). STEAM 기반 교육용 로봇 활용 초등학생 대상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 김경현.이재무(2004).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Flanders 주요 수업언어지수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8(1), 113-123.
  4. 김미량.조혜경.이석원.한정혜.한광현.김소미(2008).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RR-2008-8).
  5. 김영실.이종향.현은자.박현경(2011).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89-409.
  6. 김용하(2008). 플랜더즈의 수업분석 방법에 따른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교사의 언어상호작용 분석,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은주.변지혜(2009). 플랜더즈 언어상호작용분석법에 의한 유치원 수업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97-121.
  8. 나승일(2003). 플랜더즈 언어상호작용 분석법을 이용한 농고 교육실습생의 연구수업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15(2), 25-40.
  9. 박경란(2005). PDA환경 기반 웹용 플랜더즈 언어 상호작용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응식.문성환(2009).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로봇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1), 175-198.
  11. 박정호.김철(2011).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 미술 수업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277-285.
  12. 박정호.조혜경(2011). 초등학교 정규교과에서 로봇활용수업 적용 사례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16(8), 67-76.
  13. 변영계.김경현(2005). 수업장학과 수업분석, 서울:학지사.
  14. 송정범.권오성.고병오.양권우.신수범(2011).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 미술수업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1), 35-43.
  15. 신나민.김상아(2007). 로봇과 학습의 관계 맺기:초.중.고등학생의 관점에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3), 79-89.
  16. 여미란(2009). Flanders 언어 상호작용 분석법을 이용한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수업형태분석 : 이야기나누기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유구종.김민경. 이정순(2011). 지능형로봇을 활용한 유아교육기관 선택활동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493-520.
  18. 이경희.류영선.문성환(2010). 로봇 교육활동을 통한 초등학생의 주의력 향상 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1), 185-204.
  19. 이성호(2002). 교수방법의 탐구. 서울: 양서원.
  20. 이영준.김경.유헌창.임웅.계보경(2007). 로봇의 교육적 활용방안 및 적정 기능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서.
  21. 한정혜.김동호(2006).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0(1), 849-856.
  22. Bloom, B. S.(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Y: David McKay Co.
  23. Brown, G., & Wragg, E. C.(1993). Questioning, NY: Routledge.
  24. Culp, K. M., Honey, M., & Mandinach, E. (2004). A retrospective on twenty years of education technology policy,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25. Flanders, N. A.(1960). Teacher influence, pupil attitudes and achievemen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26. Long, M. H., & Sato, C. J.(1983). Classroom foreign talk discourse: Forms and functions of teacher's question, Classroom oriented researc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Mass.: Newbury House Publishers.
  27. Moore, K. D.(2003). Classroom teachings skills, NY: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