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acy of child car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4초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using a Day-care Center)

  • 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보편적 양육죄책감이 아닌 보육시설에 자녀를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죄책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지지,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보육시설 만족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영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그리고 첫째아의 어머니가 둘째이후 자녀의 어머니에 비해 높은 양육죄책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중,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그리고 보육만족도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사와 어머니 간의 적극적 상호협력을 통한 양육공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신생아 건강사정 직접실습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rect Practice of Newborn Health Assessment on Students' Nursing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 박설희;류세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17-12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direct practice of newborn health assessment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and self-efficacy and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clinical education on newborn care. Methods: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The direct practice program was composed of a lecture, demonstration, drill and feedback using a manikin, and repeated direct practice regarding newborn health assessment. Participants were 65 student nurses taking the pediatric nursing practicum in the nursery room at M hospital. The experimental group (n=33) participated in the direct practice program for newborn health assessment and the control group (n=32) received the traditional practice method. Nursing clinical competence was assessed by two nurse investigators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self-efficac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clinic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4.82, p=.000).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for self-efficacy (t=1.264, p=.21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rect practic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but it was not effective in increasing self-efficacy. Direct practice in various clinical education settings is recommended and longitudinal effects be evaluated.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신고운;김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6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Result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efficacy directly. Als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direct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ing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 고영윤;신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38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와 S시 지역의 보육교사 39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었고, 심리적 소진은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관계, 심리적 소진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도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와 하위변인인 하루일과 존중, 아동 최선의 이익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을 위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 리더십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Teacher's Leadership)

  • 마지순;안라리;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59-456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리더십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과 대전광역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1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교사리더십이 높게 나타났고, 특히 과업주도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풍토조성효능감은 리더십 전체와 가장 높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이 교사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는 교수효능감, 부모참여효능감, 훈육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창의성이 창의적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on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 김경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7-6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of 202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reative Behavior Inventory (CBI), Teaching Efficacy Scale, and the Creativity-Fostering Teacher Behavior Index (CFTI) were used for the survey. A hypothesized model and alternative model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18.0 PSAW and AMO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 fostering teach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positively related to their creativity fostering teaching.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and also an indirect effect on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via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Implications to foster creativity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a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teacher education to promote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teacher's creativity and creativity-related activities.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owerment, Teacher-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김영미;이경님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3-202
    • /
    • 2018
  • 본 연구는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사 575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원장의 코칭리더십은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문화와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조직문화는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임파워먼트는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교사 효능감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가장 큰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하여 원장 코칭리더십의 강화가 필수적이며 조직문화와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교사효능감의 증진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개발 (Developmen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Model for Children in Child Care Institution)

  • 장은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57-46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5명의 양육시설 종사자 직원을 대상으로 PBS에 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6%가 문제행동 예방에 PBS가 필요하며, 인성교육의 대안이라고 응답하였고, 70% 정도가 시설에서 PBS를 운영해 볼 생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구체적인 모형을 구성해보면, 준비단계에서는 PBS 팀 구성 및 직원교육, 기대행동선정, 현재 행동의 기초선 측정, 보편적 PBS환경을 구축하기를 제안한다. 실행단계에서는 사회적 기술교수, 강화실시하기, 자기행동 목표정하기와 행동점검, 문제행동학생지도, 모니터링 방안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중재/전-후-유지기 간의 목표행동 변화측정, 사회기술 및 학업성취도 변화, 사회적 타당도 등을 측정하는 효과평가단계를 제안한다. 이 모형을 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문제행동의 감소, 바람직한 행동의 증진과 동시에 아동들을 지도하는 종사자들의 효능감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Teacher 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 이진숙;김태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7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empathy, and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Additionally, it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3, involved 198 childcare teachers as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Results: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childcare teachers'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empathy, as well as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study observ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voidance) and teacher efficacy. In essence, this research confirmed both the direct effect of avoidance attachment in child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empath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research affirms the impact of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on teacher efficacy among childcare teachers, discussing implications for future training and development.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감염병 지식, 건강통제소재, 자기효능감과 감염병 예방행위 실천의 관계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Disease Prev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주아련;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epidemic management measures and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n centers.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health control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s among infant and toddler teach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involved 300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engagement in preventive behavior. Additionally, internal control among the health car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Overall,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internal control measures, and self-efficacy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eventive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health control materia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o focusing on improv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