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reform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4초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s and Assignments of Educational Welfare in Korea)

  • 홍봉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1호
    • /
    • pp.253-282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와 교육복지와의 관계를 정립한 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교육을 사회적 평등장치로 인식하고 인적자본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다차원적 접근을 행하고 있으며 학교사회사업가가 배치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교육복지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관련법이 미비하고 행 재정적 지원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관련 조직간의 연계, 협력이 부족하고 복지, 교육, 문화가 연계된 통합적, 전문적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는 교육복지체제의 구축을 위한 국가의 기능과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하며 권리, 투자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한 관련법의 제정 및 행, 재정적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복지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되 교육취약계층에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하며 그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의 기회에서부터 교육의 과정, 결과까지의 평등을 포함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 복지, 노동이 연계된 다차원적 접근과 관련기관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평생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 PDF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대답에 어떻게 피드백 하는가? - Lesson Play의 분석 -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ys: How Do Preservice Teachers Give Feedbacks to Students in an Imaginary Classroom Discourse?)

  • 이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9-41
    • /
    • 2017
  • 이 연구는 a)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학생의 대답에 대한 피드백 패턴 및 교실 담화양상을 확인하고, b) 예비교사들의 피드백 패턴과 교실 담화를 개혁 지향적인 수업 동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교실 담화에 대한 교수전문성의 신장 방안에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동일한 교수 상황에 대해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가상적 교실 담화인 lesson play와 개혁 지향적 수업에 나타난 교사 피드백 패턴을 분석하여, 네 가지 피드백 패턴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교실 담화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생각했던 교사 피드백은 주로 학생의 대답을 평가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단성적 기능(univocal function)을 수행하는 것이었으나, 개혁 지향적 수업은 학생 전체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정당화-반박의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의 의미 생성을 촉진하는 대화적 기능(dialogical function)의 피드백을 포함하고 있었다. lesson play의 단성적 담화와 수업 동영상의 대화적 담화의 비교 분석은, 교사의 피드백 발화가 교실 담화의 주 기능과 학생들의 인지적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 이자 '변수'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교사들이 높은 질의 교실 담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들이 구체적인 담화 맥락에서 선택할 수 있는 피드백의 다양한 가능성을 인지하고, 피드백 발화에서 '의미 전달'과 '의미 생성' 기능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지 성찰하는 경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일랜드 교원양성체제 재구조화 사례 분석 및 시사점 (The Restructuring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System: An Analysis of Irish Case)

  • 김이경;김지혜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81-103
    • /
    • 2016
  • 교육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 하에 세계 각국에서는 우수 교원 확보를 위한 다양한 교원정책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국가의 초중등교육을 견인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에 적절한 교원양성 구조가 무엇인가를 둘러싼 논의는 중요한 연구의 주제가 되어왔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교원양성체제 개편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추진동력을 상실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원양성체제 재구조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아일랜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교원양성체제 개편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교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아일랜드 초 중등 교원양성체제 재구조화의 배경과 주요 전략 및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일랜드는 전통적으로 우수한 교사와 교원양성체제를 확보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이후 국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체제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정부 주도의 교원양성체제 재구조화가 논의되었으며, 방안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국외 전문가 및 국내 기관의 협력을 통해, 교원양성기관 수 감축, 권역별 통합, 초등과 중등의 통합, 기관별 특성화, 연구기반 강화 등이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의 교원양성체제가 아일랜드와 유사한 도전에 직면해있다는 점에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교원양성체제 개편 논의를 재점화함에 있어서 고려할 필요가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창의적 융합교육에 의한 교육환경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창의성 촉발의 탈중심적 및 사건적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Fusion of Creative Education)

  • 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25
    • /
    • 2015
  •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가 정착되면서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정책 영역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게 되고 모방형 인재가 아닌 미래성장 동력인 창조적 인적자본의 육성을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교육환경은 여전히 입시교육 위주의 지필평가를 위한 교육정책과 학생들의 흥미나 즐거움을 유발하지 못하는 학교교육으로 인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해야하는 글로벌 지식사회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물론 자유학기제 등을 강조하는 교육정책과 더불어 학교는 창의적 융합교육 환경을 조성해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지식사회에 상호 관계적 연계성을 중요시하는 특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이후 현대철학 사상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탈중심적 사유를 통한 창의성 촉발을 중요한 생성론적 특징으로 언급한 철학자 질 들뢰즈의 교육과 공간담론의 개념적 사유로 창의적 교육공간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상호 연관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구조주의적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현대 철학적 사유를 통한 창의적 학교는 구성원들의 탈중심적인 협력 중점의 융합적 교육과정 및 학교 운영의 자율성이 중심이 되는 창의성 교육환경, 즉 환경공간의 속성으로서 다변화적 지원공간, 유동적 실외공간, 연계적 중심공간, 사건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종류 및 규모 공간, 개방적 공간 및 융합적 공간이 다양한 교육공간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짐을 볼 수 있다.

비판적 수학교육의 원리와 방법 탐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Principles and Methods for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An Explorative Study of a Program)

  • 송륜진;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857-888
    • /
    • 2017
  • 세계화, 다원화, 정보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사회는 사회, 경제,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보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미래사회로의 발전에 기여하는 수학교육방안의 탐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비판이론으로부터 발달한 비판적 교육이론 및 비판적 수학교육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도출하여 비판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문헌분석에 기초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모델을 비판적 수학교육 사례에 적용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수학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에 기초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RIZ(트리즈)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Invention on the Basis of TRIZ)

  • 조승호;정종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6-109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특허청 발명교육센터의 학생 발명교육프로그램 심화과정의 고급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발명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문제해결 방법을 뚜렷하게 제시하지 못하는 것이었는데,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발명 교육프로그램은 TRIZ를 활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본 개념과 문제해결 방법을 모듈화 하여 제시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문제를 창의적 해결안으로 이끌기 위한 기본개념과 체계를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세계 우수 기업의 활용하는 TRIZ에 교육학적 관점을 적용시켜 발명 교육프로그램으로 체계화 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 학생 발명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TRIZ적인 사고방법과 지식도구를 이해하고 집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한 발명 교육프로그램을 ${\bigcirc}{\bigcirc}$공업고등학교 기능반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에 설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발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유익하였지만, TRIZ 기본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에게 이 발명 교육프로그램을 권하고 싶고, 그 이유는 고정관념을 극복할 수 있었고, 창의력을 신장할 수 있었으며, 생각 폭의 확대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중학교 학교군 및 중학구 설정을 위한 조사 연구 -광주광역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ing the School Grouping System of Middle School -Focusing the Middle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이화룡;하봉운;동재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11
    • /
    • 2011
  •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some reform measures for the middle school grouping system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is divided 86 middle schools into 10 clusters and 3 school districts. In doing so, it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tudent walking distance in each school district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 per teacher, the student density, the school size and the gender ratio in class. And it conducts a survey of 5,363 middle school students, 3,966 parents and 1,007 teachers, also evaluates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needs with the student allocation system. As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data analysis, it finds out some problems in some school districts which are gender imbalance in class, the preference for private middle schools and inconvenience in commuting to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the better alternatives to replace the current system. Firstly, to set up the basic fundamental principles detailed in 3 action plan, which emphasize the adherence to a close-range allocation, the appropriate size of school and class, and the equaliz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ly,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the school district in order to be more objective and transparent. Finally, it gives a concrete proposal which divides the 10th school grouping system into the 11th. The result would be expected to ease the gender imbalance and the concentration of private middle schools, to improve the student walking condition to school.

  • PDF

미분적분학 단계별 교육을 위한 교과내용 및 방법 연구 (A Study on a Step-wise level Educational Model for Calculus)

  • 심재동;하준홍;이경희;천창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633-647
    • /
    • 2005
  • The rapid change in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occurred over last some periods requires lots of change or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method for the university mathematics, especially in calculus. As an effort in this direction we restrict our concern to the freshmen of year 2002 of the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their mathematics score on the national entrance examination and achievement score measured by their final grades in a calculus cours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propose a step-wise level educational model for the calculus education. In the model an appropriat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 proceeding through the three steps are suggested and implementation issues are discussed. We believe that carrying out mathematics curricular are suggested in the model will be of service to calculus education particularly for student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 PDF

학교 복합시설의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시설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chool complexes -Based on the case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 오해진;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8권2호
    • /
    • pp.1-11
    • /
    • 2009
  • The school complex project is driven by public calling for school facilities change due to the social change followed by the aging society and increasing interest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school complex project is defined as an activity in which the school facilities and space are not only used for students, but also for the local residents. Since the project was promoted in a link with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in 2001, the demand in the expectation effect has been sharply increasing. Despite of the high expectation and attention, the school complex project, however, has been performed in a limit of efficiency. Consequently, public opinion calling for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way on construction and administration has been certain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strong dem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and suggest an approach to,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way of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complex project by comparing the success case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PDF

우리나라 전공의 수련교육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제안 (The Proposal for Residency Educational Programs)

  • 허정식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3호
    • /
    • pp.135-140
    • /
    • 2018
  • In clinical clerkships, residents function as trainees, workers, and teachers for other medical students. Although residents care for patients in harsh environments and encounter precarious patient-safety situations, they are working towards becoming competent specialists. Residency education programs are very important in cultivating specialists able to adapt to the rapidly-changing medical environment, and are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ist training. Competent specialists not only need clinical competency, but also a wide range of abilities includ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effective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attention to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ctivities. Each Korean association of specialties has its own educational goals and standardized education programs to help residents learn specific techniques and competencies related to medical care for patients, though the training environment of each residency is different within each trainee hospital. Although it is also important to evaluate residency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there is only an examination of knowledge and assessment of skills based on mini-clinical evaluation exercises or direct observation of procedural skills. In order to develop an objective and estimable evaluation tool that can assess the overall achievement level within each training cours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residents. Residency education programs need further attention and re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