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c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s due to the Fusion of Creative Education

창의적 융합교육에 의한 교육환경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창의성 촉발의 탈중심적 및 사건적 공간을 중심으로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5.06.27
  • Accepted : 2015.08.19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is currently presenting a creative education policy through the new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Free semester system of Middle School as part of the education policy reform in the government-led, high freedom grade in each regional school board first, emotional schools, friendly school, campus type schools, etc. with creative thinking and improve students' autonomous judgment with the psychological and political reasons meant to provide amusement and certainty of their career choice. This creates space for creative educ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ical thinking on creativity was to identify the appropriate means of education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linkage to produce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generated through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historic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creativity with a human being. Future school construction has a future-oriented task should create a creative learning space in the center of the member schools. This creates space for creative education through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philosophical thinking on creativity was to identify the appropriate means of educational space. Therefore Philosophical Thinking Creative School of members through the grounds centric collaboration focused on convergence enemy curriculum and school creative autonomy of operation which is centra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diversified assistance as an attribute of the environment, space, space, flexible outdoor space, linking enemy center space, different types and sizes of the space case situation, the open space and spatial fusion can be seen the configuration doeeojim with different training space element.

본 연구는 시대적으로 글로벌 지식기반 사회가 정착되면서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정책 영역은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게 되고 모방형 인재가 아닌 미래성장 동력인 창조적 인적자본의 육성을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교육환경은 여전히 입시교육 위주의 지필평가를 위한 교육정책과 학생들의 흥미나 즐거움을 유발하지 못하는 학교교육으로 인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해야하는 글로벌 지식사회에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물론 자유학기제 등을 강조하는 교육정책과 더불어 학교는 창의적 융합교육 환경을 조성해야할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지식사회에 상호 관계적 연계성을 중요시하는 특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이후 현대철학 사상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탈중심적 사유를 통한 창의성 촉발을 중요한 생성론적 특징으로 언급한 철학자 질 들뢰즈의 교육과 공간담론의 개념적 사유로 창의적 교육공간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상호 연관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구조주의적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현대 철학적 사유를 통한 창의적 학교는 구성원들의 탈중심적인 협력 중점의 융합적 교육과정 및 학교 운영의 자율성이 중심이 되는 창의성 교육환경, 즉 환경공간의 속성으로서 다변화적 지원공간, 유동적 실외공간, 연계적 중심공간, 사건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종류 및 규모 공간, 개방적 공간 및 융합적 공간이 다양한 교육공간 요소와 함께 구성되어짐을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교육개혁 추진계획, 2015
  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이과 통합형 공청회, 한국교원대학교, 2015.
  3. 김석영, 주체에 기초한 현대 공간디자인의 사건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11
  4. 김인성, 콜하스와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 계획안 비교 분석, 한국건축역사학회, 2011
  5. 남지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과학실의 실내환경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2012
  6. 이지영, 들뢰즈의 시네마에서 운동-이미지 개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7. 이용환, 보편적 소통 가능한 학교 공공디자인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교육환경연구, 2014
  8. 이호진, 미래형 창의지성 학교모델 구축 연구, 한국교육환경연구원, 2012
  9. 질들뢰즈, 감각의 논리, 하태환역, 믿음사, 2008
  10. 질들뢰즈, 의미의 논리, 이정우역, 한길사, 2000
  11. 질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천개의 고원, 김재인역, 새물결, 2001
  12. 황용섭, 사건과 이미지에 의한 전일적 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3. Davis, G. A., Creativity is forever.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 1997
  14. Urban, K. K.,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Post conference China meeting of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Beijing, China, Aug. 5-8,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