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orker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중소기관)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 (The Cognition of Job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Workers of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Small and Medium-sized Organization Organization) in Gyeonggi)

  • 신재은;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1-157
    • /
    • 2017
  • 최근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파악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 인식을 분석함으로 교육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16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과 IPA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가 모두 높은 항목은 사례관리 실무기본, 사례관리 실무심화, 장애인생활지원 기본, 프로그램개발 기본, 기관홍보 기본, 사업기획 및 평가 기본, 사업기획 및 평가심화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의 교육체계의 방향성을 잡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elf-Efficacy effects on Job Burnout of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 김자영;최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86-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국 108개소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은 임파워먼트에 정적인 영향을, 직무소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리고 임파워먼트는 직무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소진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융합적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Impact of Disabled's Disability Acceptance on Job Satisfaction)

  • 석말숙;조옥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17-326
    • /
    • 2018
  •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장애정도 및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 장애인 고용 패널조사 중 제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장애인 임금근로자 2,27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조절효과는 회귀분석을 활용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일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애정도와 차별경험이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실천적 함의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인권교육 개선에 관한 통합연구 (A Mixed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이준우;이진영;김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45-360
    • /
    • 2022
  • 본 연구는 Creswell의 통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의식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장애인복지시설의 법정의무 인권교육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장애인복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내용들을 담아내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인권교육의 방향과 내용도 천차만별이어서 아쉽다는 현장의 의견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권교육은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질적 분석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인권, 인권교육 및 인권 강사에 대한 인식, 효과적인 인권교육 발전 방향, 인권 친화적인 지역사회 만들기가 주요 쟁점으로 제시되었다. 양적 분석에서는 인권교육의 전반적인 현황과 교육환경을 비롯한 인권교육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고자 성남시 장애인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질적 연구의 결과에 내재시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대상 법정의무 인권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COVID-19 사태로 인한 장애근로자의 일자리 변화 탐색 (Exploring Job Changes for Disabled Workers Due to COVID-19)

  • 강영숙;김병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77-187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사태에 따라 장애근로자의 일자리 변화에 미치는 경험 탐색을 목적으로 2020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데이터와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인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 형태의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COVID-19이후 장애인의 고용안정 정도가 나빠졌다. 셋째,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COVID-19로 사업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넷째, COVID-19로 인해 퇴사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COVID-19로 구직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를 볼 때, COVID-19로 인해 장애인의 경제적 활동에 많은 제약을 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해결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국내 장애인들의 노동시장에 대한 불안정성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장애인의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및 장애중증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 (Moderated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a Disability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Life Satisfaction)

  • 정형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79-689
    • /
    • 2021
  • 본 연구는 임금근로장애인의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그리고 장애중증여부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SPSS 25ver,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은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안정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즉 임금근로장애인이 경험하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 수준이 고용안전성을 통해 생활만족도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장애중증 여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어려움은 장애 정도와 무관하게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안정성, 생활만족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임금근로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고용안정성 증진을 위한 제도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tudy on th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 김자영;최윤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36-34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학적 요인, 조직요인, 직무요인,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108개소의 236명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학적 요인 중에서 건강상태가, 직무요인에 해당하는 업무적합도 그리고 심리정서적 요인 중에서 자기효능감이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국내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Disabled Workers in Social Enterprises)

  • 오동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14-324
    • /
    • 2019
  • 2017년 기준 1,825개 인증 사회적기업 가운데 장애인을 고용한 곳은 593(32.5%)에 이르지만 사회적기업 재직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에서 6월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사회적 기업에 근무하는 장애인 근로자 203명을 대상으로 장애인 근로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임금 및 처우, 상사관계, 동료관계가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검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동료관계로 국내 사회적 기업에 종사하는 장애근로자가 인지하는 동료들과의 신뢰와 존중, 직무와 관련한 어려움 발생 시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직장동료와의 편견 없이 직무를 열심히 수행하는 것이 직무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에는 현재 장애인 근로자가 인지하는 능력과 기술, 현재작업량이 나의 능력에 맞고 회사의 임금을 결정하고 현재의 월수입으로 이전보다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직무만족으로 이어졌다. 셋째, 상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일의 도움을 받거나 일을 격려하고 나의 자율성을 인정해 줄 때, 직속상사에 대하여 개인적인 신상문제에 대한 관심 등은 직무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장애인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는 업무성과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하겠다.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이웅;신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59-266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 90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총 864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인 자아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탄력성과 직무수행의 하위차원인 맥락수행, 과업수행 간에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심리적 자본의 하위차원 중 자아효능감과 희망이 과업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보였다. 셋째, 맥락수행에 대해서는 자아효능감과 희망, 그리고 낙관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 제고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ersons)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3-347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인식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C도와 D시의 14개소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성인식의 조직헌신에 대한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의 가장 주요한 인력인 사회복지사들의 조직헌신을 높이는 차원에서 몇 가지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수교육의 강화, 채용절차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소명의식에 대한 점수부여, 사회복지사들의 의견을 반영한 합리적인 시설운영 등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적극적인 상담 등의 개입,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적합한 슈퍼비전과 직무교육의 제공, 시설장의 리더십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