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6.336

The Study on th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Kim, Ja-Young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Choi, Yun-Young (백석대학교 사회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focusing on demographic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 job factor, and psycho-emotional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236 workers at 108 centers, and a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ze to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enter workers. health status, job suitability and self-efficacy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centers. Based on these findings, specific measures and suggestions are propos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of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Keywords
Job Satisfaction; Independent Living Support Centers for the Disabled; Demographic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 Job Factor; Psycho-emotional Fact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형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발전산업의 교대근무자와 일근자의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 이은희, 정보경,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0권, 제10호, pp.383-388, 2012.
3 이웅, 엄명용,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4호, pp.97-118, 2016.
4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2020.
5 성정현, 이영미, "사업체에 고용된 여성장애인의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상황과 복지, 제18권, pp.81-122, 2004.
6 이현주,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가정.환경적, 제도적, 조직적 요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7 김동호, "장애패러다임의 전환과 자립생활," 장애와 고용, 제42권, pp.68-93, 2001.
8 김경미, "자립생활 체험홈에서 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1권, pp.151-182, 2009.
9 서해정, 고관철, 김재근, 김현정, 박지연, 자립생활 센터 운영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4.
10 이경준, 양희택, "자립생활센터 근무 장애인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연구," 재활복지, 제13권, 제3호, pp.19-45, 2009.
11 손인봉, 김동기, 김승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직업재활연구, 제23권, 제2호, pp.107-124, 2013.
12 P. Nosek, J. Dart, and Y. Dart, Independent Living Programs: A Management Perspective, Austin, TX: 1981, 1981.
13 유은경,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정찰영, 신원부, 이원희, "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경찰연구, 제17권, 제1호, pp.161-186, 2018.
15 G. Dejong, "Independent Living: From Social Movement to Analytic Paradigm,"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60, No.1, pp.435-446, 1979.
16 정선영, 원 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변경희, 자립생활 모델의 우리나라 적용방안 모색. 장애인의 날 기념세미나 자료집, 국립재활원, 2002.
18 이웅,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47권, 제47호, pp.5-30, 2020.   DOI
19 신문영, 박종두,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제10권, 제7호, pp.98-107, 2020.   DOI
20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No.2. pp.663-671, 1982.   DOI
21 K. Ferguson, L. Frost, and D. Hall, "Predicting teacher anxiety,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Vol.8, No.1, pp.27-42, 2012.
2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3 전병재,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07-130, 1974.
24 강윤경, 김지원, 홍세희,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과 영향요인 검증," 장애와 고용, 제29권, 제1호, pp.35-60, 2020.
25 손동영, 장기요양기관 종사자가 지각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6 박자경, 김종진, 강용주, "장애인근로자 직무만족도 분석,"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1호, pp.5-32, 2010.
27 황정은, 정무성,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2호, pp.247-271, 2011.
28 유선미, 노인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9 김봉균, 하연주, 최송식,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6권, pp.101-119, 2014.
30 윤재영, "개념도를 활용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서비스 구성," 재활복지, 제13권, 제1호, pp.41-60, 2009.
31 이익섭, 김경미, 윤재영, "한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 평가와 향후 과제,"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2호, pp.197-222, 2007.
32 최윤영, "장애인 자립생활의 개념 이해와 함의,"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권, 제3호, pp.121-140, 2005.
33 E. F. Stone, "Job Scope, Job Satisfaction, and the Protestant Ethic: A Study of Enlisted Men in the U.S," Nav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7, pp.215-234, 1975.   DOI
34 C. D. Fisher, "Mood and emotions while working: missing pieces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Orgaizational Behavior, Vol.21, pp.185-202, 2000.   DOI
35 최희철, 취업정신장애인의 작업환경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6 채민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7 양희택, "장애인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 : 장애인 자립생활 개념정의를 위한 시론(始論)적 연구," 재활복지, 제9권, 제2호, pp.53-86, 2005.
38 전영환, 남용현, 류정진, 장애인근로자의 건강실태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 개발원, 2010.
39 임기형, 부사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0 정일교,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활동에 관한 연구- 일본자립지원센터 오사카. party2 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7권, 협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41 이은정,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2 김형보, 고용형태에 따른 방송 산업 직무만족도 연구 :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3 이홍직,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불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명연구, 제49권, pp.567-602, 2018.
44 김자영, "중고령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리정서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50권, 제4호, pp.211-238, 2019.   DOI
45 전상순, 울산시 장애인직업재활 종사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