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0.679

Moderated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a Disability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Life Satisfaction  

Jung, HyoungJin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a disabi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ec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SPSS ver. 25 and PROCESS macro, the difficulties within the workplace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had a negative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job security of the disabled wage worker. In other words,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difficulties being faced by the disabled wage workers, which were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hinders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security. In addition,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everity level of disability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is translated that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reduce job secur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regardless of the severity level of the disability. Based on the results thus far, this study further discussed the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e job secur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unde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Keywords
Covid-19; The Disabled Wage Workers; Job Security; Life Satisfact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Richard T. Roessler, "Improving job tenure outcom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3M model,"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45, No.4, pp.207-212, 2002.   DOI
2 오동록, "국내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314-324, 2019.   DOI
3 이용관, "코로나-19가 임금근로자의 노동조건에 미친 영향 -고용형태별 차이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제44권, 제2호, pp.71-90, 2021.
4 박용순, 송진영, "중장년층 장애인의 정규직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성별과 장애정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4호. pp.113-137, 2012.
5 이경준, 양희택, "자립생활센터 근무 장애인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연구," 재활복지, 제13권, 제3호, pp.19-45, 2009.
6 송진영,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4호, pp.329-346, 2012.
7 김미경, 고정훈, "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7호, pp.546-557, 2021.
8 박중석,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고용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직업능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0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2020.
10 김세연, 구인순, 박자경,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318-329, 2012.   DOI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8.
12 변용찬, 이은정, 이계철, "경기도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업재활연구, 제14권, 제1호, pp.105-132, 2004.
13 하경해, "임금근로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05-316, 2017.   DOI
14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210715020230842014
15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백서, 2020.
16 최일섭,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1996.
17 Anand, Priyanka and Purvi Sevak, "The role of workplace accommodations i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ZA Journal of Labor Policy, Vol.6, No.1, pp.1-20, 2017.
18 William G. Johnson and Marjorie Baldwin,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Will it make a difference?," Policy Studies Journal, Vol.21, No.4, pp.775-788, 1993.   DOI
19 양희택, 서대석, "임금근로 장애노인의 고용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pp.247-277, 2011.
20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개념 및 결정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2호, pp.189-212, 2010.
21 전명숙, 정원철,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업능력이 고용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83-94, 2017.   DOI
22 Richard V. Burkhauser, J. S. Butler, and Y. W. Kim, "The importance of employer accommodation on the job dura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 hazard model approach," Labour Economics, Vol.2, No.2, pp.109-130, 1995.   DOI
23 심진예,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4호, pp.31-50, 2015.
24 이순희, 박석용, "중증장애인의 근로욕구 및 실태조사를 통한 고용확대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권, 제9호, pp.304-312, 2009.   DOI
25 박민자, "임금근로장애인의 정규직과 임금수준의 상태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종단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34호, pp.5-21, 2020.
26 조한진, "임금근로 장애인의 고용 안정성의 예측 요인," 장애와 고용, 제20권, 제2호, pp.213-234, 2010
27 유병선, 전희정,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39호, pp.31-54, 2021.
28 김을식, 김재신, "코로나19 고용 충격, 위기 대응과 뉴노멀의 모색," 이슈&진단, pp.1-26, 2020.
29 임예직, 문영민,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제31권, 제1호, pp.123-148, 2021.
30 고민석, 김동주, "중증장애근로자의 장애로 인한 차별경험과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제8권, 제2호, pp.105-114, 2013.
3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816000000210
32 Beck, Ulrich, 위험사회, 서울: 새물결, 1997.
33 박준성, 허성호, 정태연,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조건이 직업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1호, pp.167-186, 2011.
34 안효상, 서정희, "코로나 19 이후 불확실성 시대의 새로운 소득보장," 산업노동연구, 제26권, 제3호 pp.63-118, 2020.
35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직업 안정성의 노동시장 효과 연구, 2018.
36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43-36, 2009.
37 전근배, "국가의 거리 : 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그 현황과 대책," 비판사회정책, 제68호, pp.173-207, 2020.
38 한국갤럽, 코로나19 전후 직장생활 변화, 2021.
39 노정옥, 최선아, "전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무환경 및 직업만족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pp.733-744, 201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