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ommunication skil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수준이 조직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kill of Organization on Their Job Performance)

  • 권용만;김진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4호
    • /
    • pp.141-14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skill of organization and their job performance. In our model, we used these variables - innovation awar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parameter.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based on research model, a survey among researchers (sample size=117) who work in food company was carried out. Analyzing hypothesized model and following the statistical procedure, we could assure that there exis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skill, innovation awar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ose variables was clearly high in the group with good communication skill. Among the parameters, the variable of innovation awareness was more effected on their job performance.

  • PDF

SBAR 보고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성인간호학 실습 - (The Effects of SBAR Reports Education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Skill and Report Confident for Nursing Students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 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53-260
    • /
    • 2018
  • 본 연구는 SBAR(상황-배경-사정-제안) 보고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의 실험 연구로 G도 소재 간호대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3월 6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빈도, pari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BAR 보고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t=-8.12, p<.001), 의사소통능력(t=-4.37, p<.001) 및 보고자신감(t=-7.67, p<.001)이 SBAR 보고교육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능력 및 보고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임상실습에서 SBAR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Using Digital Textbooks

  • Han, Ji-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2호
    • /
    • pp.140-146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hanc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fidence, critical thinking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factors influencing problem-solving ability, by closely examining them. To this end, it investigated the causality among variables, for 39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Gangwondo, based on the outcomes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xtbooks. Although learning motiv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 learning confidence had a direct effect on it. In additi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fidence and critical thinking skill had direct effects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order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We may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upport learning capabiliti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erience rich learning and resources.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11-3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Digital Divide on The Digital Daily Life of The Elderly)

  • 허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9-15
    • /
    • 2020
  •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60세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경향성을 측정하여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 디지털 자신감, 디지털 자기통제감, 디지털 생활만족을 측정하였다. 연구모형은 교차설계 모형과 이중매개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접근성이 높은 집단이 전반적인 디지털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격차에 대한 적응 활동성이 높은 집단이 디지털 자기통제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의사소통 기술이 디지털 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자신감과 디지털 자기통제감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층의 디지털 격차에 대한 극복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미디어스킨 기반의 그래픽 조형 요소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Graphic Modeling Element of Media Skin)

  • 김문석;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1-158
    • /
    • 2010
  • Media Skin is in form extended of TV or computer monitor that is digital media picture or digital output of graphic. Mean reflex or graphics applied in LCD Window of portable phone or LED display etc. of city environment mainly. Draft and study skill development trend and studied about role as graphic modeling to Media Skin. Media Skin that inflect LED over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impulse to steal current is embodied. It is situating from modern society to one media trend. Progressed general investigation about Media Skin's connection skill in research. As culture contents progressed determinate research to graphic modeling element etc. As graphic modeling of new media special quality is construed by 4 as following. Contact, Real time, Nonlinear, Multi-Communication are it. Media Skin has function as symbol of city or media construction facade. Also, have enough value as function new media as information offer function, art.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Patient Safety attitude of Nursing student)

  • 이외선;이경숙;구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07-314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5월 17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은 3.75점(5점 척도), 자존감은 3.64점(4점 척도), 의사소통능력은 3.60점(5점 척도), 환자안전태도는 4.44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태도는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r=.57. p <.001), 자존감(r=.32. p <.001), 의사소통능력(r=.34. p <.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중요도 인식(β=.520, p<.001)과 자존감(β=.165, p=.039)이 환자안전태도를 34.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과 자존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for nursing students)

  • 이외선;김미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19-328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감성지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는 5점 만점에 2.84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내성이 가장 높고 가상세계지향이 가장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일반 사용자군이 88.7%로 가장 많았고,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9.6%, 고위험사용자군 1.7%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과 감성지능 및 비판적 사고성향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높을수록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은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의사소통능력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AHP 방법을 활용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역량의 우선순위 도출 (Deriving Priorities of Competences Required for Digital Forensic Experts using AHP)

  • 윤혜정;이승용;이중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7-122
    • /
    • 2017
  • 오늘날 디지털포렌식 전문가는 삭제된 파일을 복구해서 찾아내는 컴퓨터 전문가 역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술 뿐 아니라 절차와 법규에 대한 지식과 소통능력, 윤리의식 등 다양한 역량이 필요하다. 하지만, 디지털포렌식을 직접 수행하는 전문가에 대한 자격 요건이나 필요한 역량에 대한 연구는 기술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다양한 난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디지털포렌식 전문가에게 필요한 역량들의 우선순위를 AHP 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디지털포렌식 전문가를 대상으로한 AHP 설문에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역량을 지식, 기술, 태도로 구성된 1계층과 디지털 증거 관련 법률/규정/판례 등 총 20개 항목의 2계층으로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1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지식이었고 그 다음이 기술과 태도 순이었으나 그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다. 2계층 20개 항목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디지털포렌식 장비/도구 프로그램 활용 기술"이었고, 2위는 "디지털장비에서 저장매체 데이터 추출 및 이미징 기술" 이었다. 3위부터는 "판단력", "도덕성", "소통능력", "집중력" 등 태도와 관련된 항목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중요하지 않은 항목은 "사건관련 실체법"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에 대한 교육과정은 대부분 관련법, IT지식 및 디지털포렌식 분석도구 사용법에 집중되어 있었고 자격제도도 디지털포렌식 분석도구 사용능력을 주로 평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나타난 태도 관련 항목에 대한 고려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교육과정과 자격제도 설계에 있어서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건축디자인에서 디지털디자인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igital Design in Architectural Design)

  • 장영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8
    • /
    • 2002
  • Purpose of this study is studying direction that change of design by development of new digital technology. And with new technology, find direction of architectural design. Digital technology for architectural design demonstrates hightechnology or is not limit. Must recognize change for our idea and necessity. We can know change in relation of photography and impressionism. Idea and hitting on a thought which is arts by new technology changed. Finally, we must develop techniques of design on the basis of technology and look for possibility of new expression. Digital medium expands communication with designer and customer because there is special quality of nonlinearity, interactivity and audiovisuality unlike old medium. Digital medium can take advantage of techniques of new design. Can construct R&D and database of design and improve quality of design. Designer must master use skill to take advantage of digital technology in design. Because quality of design becomes different according to degree that use. Also, developer of digital technology must supply design tool such as previous design method. Creativity that architectural design that allow fetters in digital technology can understand design in new viewpoint is required. Architectural design may be magnified by architectural design that allow fetters in multimedia. We may see experience between new time and space of architectural design and reappearance space reappeared in cyberspace. Architect is going to run role as developer of culture. Value and technology of digital design may offer more more possibility and an opportunity since Intustrial-Revol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