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of engineering curriculum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9초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방식 분석 - P대학 공학설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esign Pattern of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 이은화;배원병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5-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에 기초하여 기계공학부의 전공교육과정 중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rake & Burns(2004)가 제시한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모형과 Toohey(1999)의 대학교육과정 설계유형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의 조직요소간의 관계와 설계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는 각 과목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의 구체적 정보, 주제와 주요 개념의 순서로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고, 공학설계에 관련된 기초기능, 범학문적 기능과 고급 기능을 순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둘째, 분석대상인 창의적 공학설계, 설계 및 제작과제와 졸업설계 및 제작과제의 교육과정 설계유형은 프로젝트, 탐구, 문제 중심설계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교육내용들 간의 연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플립러닝과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건축공학종합설계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Curriculum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that Applies Flipped Learning and Design Thinking)

  • 김재엽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89-95
    • /
    • 2019
  •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curriculum that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s is needed to cultivate men of talent for this new industrial era.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innovative curriculums that can be applied to the capstone design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at universities in Korea. To this end, it analyze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capstone design curriculum of domestic universities that operate engineering certification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examined educational innovation cases of advanced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and analyzed other studies related to educational re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developed the capstone design curriculum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hat can be applied to domestic universities.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into two contents: operating method and syllabus. The method which has been commonly applied to domestic universities was adopted as the operating method. The syllabus was developed by applying flipped learning and design thinking theory, which has widely been dealt with in advanced universities and recent studies. In addition,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 prototype to meet the conditions of each university for its efficient utilization.

창의설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및 종합설계실 구축 방안 (전자공학전공을 중심으로) (An Approach to Implementation of Creative Design-Oriented Curriculum and Engineering Design Complex)

  • 이재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15
  • 최근 학습자 중심의 창의설계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아직 이를 위한 교과과정 및 창의설계실 등을 충실히 갖추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창의설계교육을 위한 설계중심의 교과과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종합설계실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전자공학전공을 중심으로 기존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문설계와 요소설계를 거쳐 종합설계로 이어지는 설계중심의 공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교과과정 구성과 이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실무능력을 배양하기에 적합한 종합설계실의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융합 교과목 개발방법에 관한 연구 - 기계공학과 인간운동과학의 융합 - (A Study on the Design of Fusion Education Program - Fusion of ME and Kinesiology -)

  • 이건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66-76
    • /
    • 2018
  •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designing a fusion curriculum, this study used the learning outcomes presented in KEC2015 to design a fusion goal dimension. The three dimensions of fusion education in the fusion curriculum framework are fusion goals, fusion approach and fusion cont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iculum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developed curriculum meets these three dimen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ontributes relatively evenly to the fusion goal, fusion approach and fusion context dimension. In addition, it provides a procedure to develop the fusion curriculum through the concrete procedures and examples from the design to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fusion curriculum, and to confirm the result of the fusion dimension.

산업공학 교과과정 이수체계에 관한 연구 (A Model of the Curriculum Flowchart for Industrial Engineering)

  • 홍성조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78-86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n undergraduate curriculum flowchart model for industrial engineering. Because Industrial Engineering deals with wider categories today than before, the coherent curriculum flowchart design is very difficult. We propose an effective approach using knowledge profile analysis for each course.

공학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계획 및 분석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설계 -기계공학계열의 학과를 중심으로- (A Design of Curriculum Considered Experimental Design & Analysis for Enhancing Engineer's Problem-Solving Ability)

  • 이중순;곽효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34-47
    • /
    • 2008
  • 복합.융합화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공학자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은 공학교육의 중요한 새로운 교육목표이다. 이 연구는 공학교육에 있어 실험계획 및 분석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지적하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육주제에서 기대되는 학습 성과와 공학자의 기본적인 공학능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계공학계열학과의 현재 공학 교육과정에서 운영중인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육내용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공학 전문가들의 주요 활동분야들 중의 하나인 연구논문의 작성에서 나타난 실험계획 및 분석에 관련된 지식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증적 사례를 근거로 공학자의 기본 자질인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효과적인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과를 도입한 공학교육 과정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SES/DEVS 방법론을 이용한 커리큘럼 엔진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sign Engine using a SES/DEVS)

  • 한영신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18-23
    • /
    • 2013
  • A curriculum is a measure of how high level of knowledge is educated to students affiliated to university institutions, and is used as an indicator evaluating usefulness of the university institutions. For this reason, Designing and assessing curricula is a critical to high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in the case of development and quality assessment of a curriculum with a traditional way, finding a right curriculum which a designer intends is a time consuming and error-prone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curriculum design engine using SES (System Entity Structure) / 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Framework in this paper. The SES describes all possible combination of curricula for students. The DEVS framework provides a simulation environment for models created from the SES by the students. The proposed engine will show appropriate curricula for students after a simulator appropriately filters students' requirement, according to conditions.

Method of Curriculum System Design and Documentation Including General Education, MSC, and Engineering Design at Chosun University

  • Go, Hyun-Sun;Park, Gil-Moon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6호
    • /
    • pp.60-66
    • /
    • 2011
  • The curriculum system and documentation for advanced general education, MSC (Mathematics, Basic Science,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design course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education of advanced undergraduate students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at Chosun University. In this paper, to obtain improved quality of engineering courses, we systemized the educa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which could be designed as the education satisfying students and provide awards for high-quality performance,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education courses and establishment of basic and professional courses. In addition, by applying evaluation to the engineering courses and using the model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we could achieve a high-quality education system for the engineering and technology courses.

효율적인 기계공학 이수체계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Mechanical Engineering Curriculum and Model Curriculum Structure)

  • 송동주;하일규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48-61
    • /
    • 2011
  • 국내외 기계공학분야 교육과정과 이수체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교육과정 및 이수체계 현황을 파악하고, 공학교육 내용과 지식의 논리적 구조에 근거한 합리적 이수체계 모델을 제시하여, 기계공학 프로그램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외 우수대학 기계공학 분야의 설계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 학문, 산업발전 동향을 고려하여 합리적 이수체계를 연구하였다. 특히 전면적인 선.후수 이수체계도입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여, 교과 이수체계를 준수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공학지식의 논리적 구조에 따라 공학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컴퓨터공학 분야 설계교육 방법론 (Design Education Methodology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김상진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66-75
    • /
    • 2015
  • Commonly it is perceived that it is difficult to teach engineering design and satisfy accreditation criteria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related majors. However, since engineering design in these disciplines are a product design, it is more adaptable than other majors which are process design oriented. This paper shows that although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with conventional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can be effectively done. This paper concentrates on how engineering design related curriculum can be constructed,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uch curriculum, and how engineering design can be taught in individual design courses(excluding introductory and capstone courses) based on case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