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sign of Curriculum Considered Experimental Design & Analysis for Enhancing Engineer's Problem-Solving Ability

공학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계획 및 분석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설계 -기계공학계열의 학과를 중심으로-

  • Lee, Joong-Soon (Department of Automotive Engineering, Tong-Myong University) ;
  • Kwak, Hyo-Yean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Su-Won Science College)
  • 이중순 (동명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 곽효연 (수원과학대학 산업경영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for enhancing an engineer'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is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in modern engineering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a specific area of engineering education, is highly relevant 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ne of the basic engineering competencies and of the final goal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also, the curriculum already introduced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in departments of mechanical engineering of universities are surveyed and reviewed. 59 papers are also analyzed to know how engineers applicate the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to their activities. Finally, the module of engineering education curriculum introduced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to enhance effectively the engineer'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s suggested.

복합.융합화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공학자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은 공학교육의 중요한 새로운 교육목표이다. 이 연구는 공학교육에 있어 실험계획 및 분석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지적하고 이것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육주제에서 기대되는 학습 성과와 공학자의 기본적인 공학능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계공학계열학과의 현재 공학 교육과정에서 운영중인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육내용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공학 전문가들의 주요 활동분야들 중의 하나인 연구논문의 작성에서 나타난 실험계획 및 분석에 관련된 지식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증적 사례를 근거로 공학자의 기본 자질인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효과적인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과를 도입한 공학교육 과정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만(2001), 한국기계공학의 전망과 기계공학교육 의 방향, 21세기 기계공학의 비젼과 기계공학 교육을 위한 공동 심포지움
  2. 곽병선 외(2007), 2주기 전문대학 학과평가 진단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연구제2007-1호
  3. 곽병선 외(2008), 전문대학 공학계열 인증평가를 위 한 기준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연구 제2008-1호
  4. 곽효연(2007), 공학교육에서 실험계획교육 현황의 분석-기계공학계열학과를 중심으로-, 수원과학대학, 생산기술연구소 논문집
  5. 김권희(2003), 우리나라 공학교육의 발전방향, 공학교육, 10(2):93-99
  6. 김대영 외(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 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34-51
  7. 김태유, 이병기, 김도연(1998), 공학기술자의 리더쉽 배양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 1(1): 70-71
  8. 김홍찬 외(2007), 기계공학에서 제시하는 Hands-on Experience 중심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교과목 의 강의사례, 공학교육연구, 10(2):44-61
  9. 박성현(1993), 현대실험계획법, 민영사
  10. 박종성, 이무춘(2003), 환경분야 이공계 대학의 교육 과정개선 방안연구, 공학교육연구, 6(1):42-55
  11. 박진원 외 (2004), 공과대학의 소양교육 현황분석- 홍익대학교 과학기술대학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7(3):19-31
  12. 박춘배(2006), 한국의 공학교육을 생각한다. 공학교육, 13(40):34-44
  13. 송동주(2003), 공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 하여, 공학교육, 10(2):85-92
  14. 손희기(2000), 전자산업과 기계공학, 공학교육, 7(1):32-36
  15. 염영일(2000), 기계공학교육의 현황 및 개혁방안, 공학교육, 7(1):20-26
  16. 유영제(1994), 공학교육 방법의 개선방향, 공학교육, 1(1):58-62
  17. 이병기(1997), 공학의 개념과 에니지어의 자질, 공 학교육 학술대회 및 공학교육 방법론 연수회 논문집
  18. 이병기(1997),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 교육, 공학교육, 4(2):63-75
  19. 이정두 외(2005),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메카트로닉 스 전공교육과정의 개발, 공학교육연구, 8(2): 5-15
  20. 이종원(1998), 기계공학과 교육과정 소고, 대한기계학회지, 28(2):146-149
  21. 임동근, 우상호, 김진수(2005), 공학교육의 교수목표 및 교수방법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중요도 인식조사, 공학교육연구, 9(1):43-60
  22. 조벽(1995), 공학교육 교수론, 공학교육, 2(3):16-19
  23. 조벽(2003), 미국공학교육의 발전방향: ABET EC2000이 양성한 색다른 엔지니어, 공학교육, 10(2):72-84
  24. 한병기 외(2004), 기계.시스템디자인 공학 교과과 정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사례연구, 공학교육 연구, 7(2):40-50
  25. http://www.abeek.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