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BP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32초

분열효모에서 spDbp5 유전자의 결실돌연변이 제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Construction of spDbp5 Null Mutants Defective in mRNA Export)

  • 배진아;조현진;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0-84
    • /
    • 2008
  •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발아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DEAD-box RNA helicase인 DBP5 유전자와 유사한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의 유전자(spDbp5로 명명)의 결실돌연변이주(knockout mutant)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인 S. pombe 균주에 하나의 spDbp5 유전자만을 결실시킨 후 4분체분석(tetrad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이 유전자가 결실된 반수체 균주는 생장하지 못했다.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있어서 spDbp5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spDbp5의 발현이 티아민(thiamin)에 의해 억제되는 균주를 제작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을 통해 세포 내의 $poly(A)^+$ RNA 분포를 살펴보았다. spDbp5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면, $poly(A)^+$ RNA가 핵 안에 축적되고세포질에서는 줄어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Dbp5 유전자 역시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조직공학적 골재생을 위한 탈미넬화된 골분을 함유한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및 그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mineralized Bone Particle-loaded PLGA Scaffold for Tissue Engineered Bone)

  • 장지욱;이봉;한창환;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5호
    • /
    • pp.382-390
    • /
    • 2004
  • 생체적합성 천연재료 중 하나인 탈미네랄화된 골분 (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은 골형성단백질 (BMP)을 함유하고 있어 골수간엽줄기세포 (BMSCs)의 분화를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DBP를 함유한 폴리 락타이드 (PLA)와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PLGA) 다공성 지지체를 용매 캐스팅/염추출법으로 제조하였고, 수은다공측정계 및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특성결정 하였다. BMSCs는 골분화 배지를 이용하여 조골세포로 분화시켜 Wright-Giemsa, Alizarin red, von Kossa 및 ALP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DBP가 함유된 지지체와 DBP가 함유되지 않은 지지체에 BMSCs를 파종한 후 면역결핍 누드마우스의 피하에 삽입하여 이들의 골형성 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제조한 지지체의 다공도는 $90.2\%$ 이상이었고 평균 다공크기도 69.1$\mu$m 이상이었다. BMSCs는 Wright-Giemsa, Alizarin red, von Kossa 및 ALP 염색결과 조골세포로 분화가 가능했으며,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DBP가 함유된 지지체에서 칼슘침착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DBP가 함유되지 않은 지지체에서는 칼슘침착 영역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DBP를 함유한 지지체에서 DBP와 BMSCs가 골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유방암세포인 MCF-7세포를 이용한 DEHP, DBP의 에스트로젠 효과 (The Estrogenic Effects of Phthalates (DEHP, DBP) in MCF-7 Cell)

  • 이수연;김소정;이성호;박영석;박병권;김병수;김상기;최창순;윤성일;김종석;정지원;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9-212
    • /
    • 2007
  • 내분비 교란 물질 중에서 최근에 문제가 되고 있는 물질이 프탈레이트계통 물질로서 플라스틱의 가소제로 사용하고 있는 DEHP와 DBP에 대하여 사람유방암세포 이면서 에스트로젠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 MCF-7 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정도를 농도 별로 측정하여 두 물질의 에스트로젠 작용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물질인 DEHP와 DBP의 MCF-7 세포의 최대 증식 시의 농도를 조사해 본 결과, DEHP는 $17{\beta}-Estradiol$에 비하여 100배정도 높은 농도인 $10^{-7}M$ 에서 최대 증식능력을 보였고, DBP는 10배정도 높은 $10^{-8}M$ 에서 최대 증식능력을 보였다. 최대 증식 능력을 보일 때의 양성대조물질인 $17{\beta}-Estradiol$와 증식 정도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에는 DEHP는 양성대조군 대비 87.5%의 증식 정도를 나타내었고, DBP는 73.4%의 증식 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DEHP와 DBP 두 물질 모두 MCF-7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최대 작용농도에 있어서는 DBP>DEHP, 세포 증식 정도에 있어서는 DEHP>DBP 인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mineralized Bone Particle Impregnated Poly(L-lactide) Scaffolds

  • Gilson Khang;Park, Chong-Soo;John M. Rhee;Lee, Sang-Jin;Lee, Young-Moo;Park, Myoung-Kyu;Lee, Hai-Bang;Lee, Ilw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5호
    • /
    • pp.267-276
    • /
    • 2001
  • In order to endow with new bioactive functionality from demineralized bone particle (DBP) as natural source to poly(L-lactide) (PLA) synthetic biodegradable polymer, porous DBP/PLA as natural/synthetic composite scaffolds were prepared and compared by means of the emulsion freeze drying and solvent casting/salt leaching methods for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issue engineered bone and cartilage. For the emulsion freeze drying method, it was observed that the pore size decreased in the order of 79$\mu\textrm{m}$ (PLA control) > 47$\mu\textrm{m}$ (20% of DBP) > 23 $\mu\textrm{m}$ (40% of DBP) > 15$\mu\textrm{m}$ (80% of DBP). Porosities as well as specific pore are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DBR. It can be explained that DBP acts like emulsifier resulting in stabilizing water droplet in emulsion. For the solvent casting/salt leaching method, a uniform distribution of well interconnected pores from the surface to core region were observed the pore size of 80 ∼70 $\mu\textrm{m}$ independent with DBP amount. Porosities as well as specific pore areas also were almost same. For pore size distribution by the mercury intrusion porosimeter analysis between the two methods,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the emulsion freeze drying method was broader than that of the solvent casting/salt leaching method due to the mechanism of emulsion formation. Scaffolds of PLA alone, DBP/PLA of 40 and 80%, and DBP powder were implanted on the back of athymic nude mouse to observe the effect of DBP on the induction of cells proliferation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for 8 weeks. It was observed that the effect of DBP/PLA scaffolds on bone induction are stronger than PLA scaffolds, even though the bone induction effect of DBP/PLA scaffold might be lowered than only DBP powder, that is to say, in the order of DBP only > DBP/PLA scaffolds of 40 and 80% DBP > PLA scaffolds only for osteoinduction activity. In conclusion, it seems that DBP plays an important role for bone induction in DBP/PLA scaffolds for the application of tissue engineering area.

  • PDF

마우스에서 dibutyl phthalate 급성 투여가 간 지질과산화와 gamma-glutamyl transfer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ute dibutyl phthalate administration on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activity in mice)

  • 최달웅;김영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1호
    • /
    • pp.50-56
    • /
    • 2004
  • Dibutyl phthalate (DBP) is used extensively in the plastic industry and has been known as an endocrine disruptor.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whether DBP can induce oxidative stress in mice. In this study, oxidative str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modifica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activity. The serum toxicity index, level of lipid peroxidation and triglyceride (TG), and activity of GGT were measured in male ICR mice after a single administration of DBP (5 g/kg, po). DBP did not alter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creatinine,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 However, the treatment with DBP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in liver and lung. The TG content and activity of GGT in the liver of DBP-exposed animals was also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BP can induce mild oxidative stress in mice. The GGT activity is considered to be increased as one of the adaptive defense mechanisms to oxidative stress induced by DBP.

효모재조합 검색시험법을 이용한 DEHP, DBP의 에스트로젠 효과 (The Estrogenic Effects of Phthalates(DEHP, DBP) in Yeast Recombinant Assay)

  • 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8-222
    • /
    • 2007
  •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리포터 유전자인 ${\beta}-galactosidase$가 도입된 효모재조합검색시험법을 이용하여 DEHP와 DBP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였다. 양성대조 시험물질로 $17{\beta}-estradiol$을 설정하여 DEHP와 DBP의 에스트로젠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을 때, $17{\beta}-estradiol$의 경우 $10^{-9}M$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관찰되었다. DEHP의 경우 $10^{-10}M$에서 $10^{-7}M$까지 시험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에스트로젠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7}M$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젠활성을 보였다. DBP의 경우 $10^{-9}M$에서 $10^{-6}M$까지 에스트로젠활성이 관찰되었다. DEHP와 DBP의 경우 최대활성화 대비 50% 이상의 활성도를 보이기 시작하는 농도가 $10^{-9}M$로 나타나서 비슷한 농도에서 에스트로젠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스트로젠 최대활성화 시의 농도를 비교해 보면 DBP가 DEHP보다 10배 낮은 농도에서 최대활성치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DBP가 DEHP보다 에스트로젠 작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되어진 시험물질인 DEHP와 DBP는 효모재조합시험법에 있어서 에스트로젠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감수성에 있어서는 DBP가 DEHP보다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DBP 스폰지와 DBP/PLGA 지지체에서의 인간 디스크세포 거동분석 비교 (The Comparison of Sponges and PLGA Scaffolds Impregnated with DBP on Growth Behaviors of Human Intervertebral Disc Cells)

  • 이선경;홍희경;김수진;김용기;송이슬;하윤;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4권5호
    • /
    • pp.398-404
    • /
    • 2010
  • 본 연구팀은 DBP를 함침시킨 물성이 서로 다른 스폰지와 PLGA 지지체를 제작한 후 세포 부착, 증식 및 형태 유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WST 분석법과 SEM 관찰을 통하여 스폰지에 비해서 PLGA 지지체에서의 세포의 증식이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고, RT-PCR을 통해 디스크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제 2형 콜라겐과 어그리칸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WST 결과, 세포 증식률은 DBP/PLGA 지지체가 DBP를 함침시킨 스폰지보다 세포 증식률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팀은 스폰지보다 PLGA 지지체가 인간디스크의 표현형 유지 및 증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 혈장 첨가대체가 증자 어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Bovine Plasma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teamed Fish Paste)

  • 양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8-523
    • /
    • 2008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quality properties of steamed fish paste by addition level, along with a fish meat replacement(dried bovine plasma).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s evidenc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trols, DBP1, DBP2 and DBP3 groups(p<0.05). The pH values of the steamed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steamed samples, and when the content of the dried bovine plasma as meat replacement agent was increased, the pH was increased.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steamed fish past samples, along with the replacemen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amples without the meat replacer(p<0.05). The range of cooking loss was $5.19{\sim}5.38%$. Structural weakening of the boiled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fried sample. Hard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slightly by the addition of bovine plasma, but gel strength evidenced a pattern of decreased in DBP1, DBP2 and DBP3 groups. The result of our sensory evaluation on taste, texture, color and overall acceptance evidenc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ntrols, DBP1, DBP2 and DBP3 groups, and the sensory score of color was the highest.

2차원적 DBP/PLGA 하이브리드 필름이 디스크 세포의 부착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2-D DBP/PLGA Hybrid Films on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Intervertebral Disc Cells)

  • 고연경;정재수;김순희;임지예;이종문;김문석;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2권2호
    • /
    • pp.109-115
    • /
    • 2008
  • 탈미네랄화된 골분(DBP)은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분자를 가지기 때문에 조직공학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생체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DBP를 함유한 2차원적 DBP/PLGA 필름이 추간판디스크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표현형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DBP 함량에 따른 DBP/PLGA 필름은 용매증발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PLGA 및 DBF/PLGA 필름은 시차주사현미경을 통해 표면을 분석하였다. PLCA 필름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DB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DBP/PLGA 필름의 표면은 거침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섬유륜(AF) 및 수핵(NP)세포를 PLGA 및 DBP/PLCA 필름 표면에 파종하여 배양한 후, 세포의 계수 및 SEM 관찰을 통하여 이들의 부착과 증식을 평가하였다. 세포 계수와 SEM 관찰 결과, DBP의 함량이 10 및 20%인 DBP/PLGA 필름에서 높은 초기부착도 및 증식률을 보였다. 세포 계수 결과를 바탕으로 RT-PCR을 통하여 DBF 10%와 20%의 DBP/PLGA 필름에서의 디스크 세포의 특이적 유전자 발현확인 결과, DBF의 함량이 20%인 DBP/PLCA 필름에서 세포의 표현형이 유지되며 지속적인 세포외기질이 발현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적절한 천연재료의 함량이 세포의 부착과 증식에 더욱 적합하며 이는 조직공학적 디스크 재생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광양만 및 섬진강 하구에서의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Phthalate Compounds in Gwangyang Bay and Seomjin River Estuary)

  • 김민선;이동호;심원준;오재룡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47-53
    • /
    • 2004
  • 광양만과 섬진강 하구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일종인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분포 특성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연구하였다. Di-butyl phthalate (DBP)와 di-2-ethylhexyl phthalate(DBHP)를 비롯한 9종의 프탈레이트 및 adipate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다. DBP와 DEHP가 가장 높은 빈도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다른 화합물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거나 검출한계 이하였다 광양만 표층퇴적물에서 DBP와 DEHP의 평균 농도는 각각 33.8 ng g$^{-1}$와 67.4 ng g$^{-1}$이었다. 섬진강 하구에서는 표층수에서 DBP가 62.7∼333.8 ng L$^{-1}$농도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DEHP는 25.6∼l16.1 ng L$^{-1}$ 범위로 검출되었다. 섬진강 및 하구 표층 퇴적물 시료 중의 DBP의 농도는 9.1∼149.3 ng g$^{-1}$, DEHP는 46.3∼156.3 ng g$^{-1}$으로 검출되었다. 광양만에서 DBP와 DEHP는 공단 일대와 생활 하수가 배출되는 하천 주변부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광양만 외해로 갈수록 농도가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섬진강에서는 안쪽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다가 서서히 감소하지만 일부 정점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분포 경향은 하천을 통해 광양만으로 DBP와 DEHP가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