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 통일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손수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9-144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 통일교육 관련 연구의 연구시기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별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 통일교육에 대한 발전적인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게재된 석 박사 학위논문 33편과 학술지 논문 53편, 총 8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 통일교육 관련 논문은 제 5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시행된 1992년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였고, 연구시기별로 연구 수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은 문헌자료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었고, 다음으로 다인대상, 현직교사, 유아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문헌연구와 양적연구가 가장 빈번하게 실행되었으며, 양적연구 중에는 유아 통일 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본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분석해 본 결과, 교육과정의 통일 관련 교육내용이 반공교육에서 통일안보교육, 통일교육으로 변화됨에 따라 시기별로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변모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유아관찰 평가의 실천과 반성 (Child Observation Assessment Practice and Reflections of a First-yea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9-170
    • /
    • 2020
  • 유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직 입문 과정에서 초임 유아교사들은 충분한 배경지식이나 실제적 지도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하여 한 초임 유아교사가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신념과 실제를 반성적으로 바라보고 실천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는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들여다봄으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유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협력적 실행 연구의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집 연장보육전담교사의 일과운영경험과 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 (Suggestion for revising the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wareness of daycare center extended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 and play 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 지인숙;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73-483
    • /
    • 2024
  • 본 연구는 연장반 전담교사들의 일과 운영 경험을 알아보고 연장 보육 전담교사의 놀이 중심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에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연장반 전담교사 8명이며, 2023년 9월부터 10월까지 개인별 심층 면담을 2회씩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영유아 혼합반의 구성으로 영아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요구가 다르므로 놀이 중심교육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연장반 전담교사들은 연장반 교실에 부재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보조교사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넷째, 연장보육전담교사는 놀이중심교육을 수행하기에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장보육전담교사를 위한 전담교실,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연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 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1-208
    • /
    • 2015
  •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스트레스 대처전략 질문지(박창순, 2005),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적인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적극적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임유아교사의 적극적 대처방식은 셀프리더십을 통해서도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초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가 경험하는 역할수행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는 셀프리더십이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식과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셀프리더십 증진내용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민주주의 실현으로서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이 주는 교훈: 누리과정 개편을 위한 논의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Lessons for Nuri Curriculum Reform)

  • 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3-393
    • /
    • 2015
  • 본 연구는 향후 있을 누리과정 개편에 앞서 자칫 재현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선례분석으로서 1960년 대 이후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의 역사와 절차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가 제공한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역사를 고찰하기에 앞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를 10년 주기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1968년 이후 진행된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2012-2016/7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을 기간, 참여대상,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오랜 숙고기간, 아래에서 위로의, 모든 과정이 공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다름 아닌 민주주의 실현의 장으로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이벤트로서 오랫동안 자리매김을 해오고 있었다. 이 글은 정책적 특성만이 아니라 교육적 특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누리과정의 개편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시설의 자체평가 (Self-Evaluation of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Care)

  • 최경애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29-145
    • /
    • 2004
  •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programs in Korea. Scale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divide accreditation standards into 4 areas(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with 60 standards. Standards can be divided into basic criteria and general criteria. The subjects are 149 day care centers(44 infant day care centers and 105 day care centers), and raters(teachers or principal) assessed the quality of each item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lf-evaluation result have marked 3.67 as average(range : 2.32~4.90), which barely meets basic criteria level. 2) Physical environment area has received worst score(3.41) and Health care area has received best score(3.92). 3) Each standard's score indicate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care program: Feed care(4.29), Affectionate teacher-infant interaction(4.14) were highly rated while Nature environment/anmal/plant(2.75) and Teacher's facilities(2.74) were rated low. 4) Some variation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qualitative level; number of child, education level of principal.

  • PDF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해 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분석 (A Study on Physic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ance Manual for the Nuri Curriculum of Four-Year-old Children -Focusing on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

  • 홍길회;윤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7-200
    • /
    • 2015
  • 본 연구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을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대학의 유아교육과 2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을 위해 비형식적 면담과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그리고 30회기의 수업평가서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의 주된 목표를 '표현하기'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둘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에 제시된 보조 자료인 '동영상, 그림책, 음원, 그림 자료' 등을 수업에 활용하는데 있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았다. 셋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실행 시 나타나는 오류나 문제점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이해하기 어려운 활동'과 '제목에 따른 활동 방법이 부적합하게 제시된 활동'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이해하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개선점으로, 본 활동을 실시하기 전 기초적인 신체활동이 먼저 이루어져야 함과 수업시간에 적절한 실제물의 제시, 교사의 시범의 필요성,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서 그 상황에 필요한 규칙을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드는 것, 등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누리과정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기 전 교사로서 깊이 있는 사고와 판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비교 (Perceptions for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between Mother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 유제;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07-133
    • /
    • 2013
  •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누리과정의 발전과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382명(유치원 192명, 어린이집 190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녀의 재원 기관에 관계없이 어머니들은 누리과정이 시행 중인 것과 누리과정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들을 위한 공통 교육과정인 것을 알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은 누리과정이 필요하며, 누리과정에 대해서 만족을 나타냈다. 셋째, 누리과정이 갖추어야 할 환경적 요소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누리과정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어머니 간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과 연령에 대한 선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누리과정이 유아교육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에 비교적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여섯째, 어머니들은 만 5세 누리과정이 시행된 이후 자녀가 다니고 있는 기관을 옮기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선택을 앞둔 유아와 학부모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al Play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up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ir Playfulness)

  • 변순녀;박형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23-140
    • /
    • 2018
  • 본 연구는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2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가창 중심의 전래동요 지도와 누리과정에 기초한 주제 중심의 음악활동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음악놀이가 전래동요에 내재한 놀이성과 연계되어 국악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 (The experience of novice teachers in th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박유미;박선미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29-339
    • /
    • 2022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고, 초임교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의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경력 2년 미만의 초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준비하면서 누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고 있음을 걱정하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아 관찰, 동료 교사들과의 정보 공유, 누리과정 해설서 참고 등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실제적인 놀이 사례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차원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유아의 놀이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누리과정을 실제로 운영하면서 좋은 점으로 유아의 흥미와 생각을 고려하여 유아 중심의 놀이를 진행하고 이에 대해 교사가 고민하고 생각하면서 유아들의 놀이를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어려운 점으로 유아의 놀이에서 유아의 생각을 읽고 주제를 잡아 놀이를 진행하는 것과 놀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의 부족 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인터넷 자료나 동료 교사와의 의견 공유 등을 참고하고 있었으며, 직접 경험이 놀이 실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관찰, 창의적인 사고, 순발력, 놀이를 지원하고자 하는 의지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