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usical Play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up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ir Playfulness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변순녀 (원주시청어린이집) ;
  • 박형신 (강릉원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5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ir playfulness were affected by musical play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Methods: In this study, 28 five-year-old children from W childcare center in W cit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en took part in musical play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hile the comparison group, even though they sang the same songs, took part in musical activities based on themes in the 'Nuri curriculum'.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ir playfulness wer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 data, and ANCOVA was computed using the pre-test scores of each subject as the covariat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aking part in musical play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and their playful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uch activities could be useful components for effective Korean music program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28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가창 중심의 전래동요 지도와 누리과정에 기초한 주제 중심의 음악활동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래동요에 기초한 음악놀이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 놀이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음악놀이가 전래동요에 내재한 놀이성과 연계되어 국악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영, 김은정, 신은수(2013). 리듬과 멜로디를 게임으로 적용한 음악적 놀이가 유아의 놀이성 및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23-44.
  2. 교육과학기술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2-82호.
  4. 국립국악원(2016). 전래동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요(개정판). 서울: 국립국악원.
  5. 국립국악원(e-국악아카데미). 교육자료. http://academy.gugak.go.kr/에서 2017년 10월 28일 인출
  6. 권대원, 조진희(2014). 한국 전래동요의 분석 준거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0(1), 95-109.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95
  7. 권정해, 우채영(2015).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음악적 태도변화와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4(2), 251-274.
  8. 김민주, 김채연, 장슬하(2015). 전래동요와 연계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 언어능력, 음악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3(1), 127-150.
  9. 김소정, 박형신(2016). 국악감상에 기초한 통합적 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81-105.
  10. 김소향, 안경숙(2006). 학습주기와 놀이가 연계된 통합적 음악활동의 개발 및 유아의 음악적 개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7(3), 189-213.
  11. 김정주, 박형신(2017).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 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놀이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3), 29-48.
  12. 김혜정(2010).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 방향. 국악교육연구, 4(1), 55-79.
  13. 나은숙(2008).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노래 지도가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8(2), 1-10.
  14. 박용미, 김경숙(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장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35(1), 1-26.
  15. 박은영, 신은수, 김현진(2012). 유아의 사회적 놀이행동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혼자놀이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2(4), 249-268.
  16. 박형신(2006). 유아국악능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형신(2013). 국악감상을 토대로 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인성과 국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악교육연구, 7(2), 29-52.
  18. 박형신(2014). 국악요소에 기초한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25.
  19. 박형신, 김은정, 김금주(2014). 판소리 활용한 통합적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국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3), 361-380.
  20. 박형신, 신은수(2002). 놀이 중심 국악교육이 유아의 장단 이해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9-38.
  21. 박형신, 조은정(2013). 민요 형식을 활용한 창의적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과 국악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109-131.
  22. 서화니, 박형신(2007). 음악극을 활용한 전래동요 지도방안. 국악교육연구, 1, 7-29.
  23. 안우환, 권민석, 신재한(2006). 전래동요와 놀이를 통한 경제 개념의 교수.학습 방법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9(1), 251-274.
  24. 안은정, 전유영(2015).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활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223-245.
  25. 안재신, 한애향(1999).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수업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 연구, 18(1), 1-49.
  26. 양승희(2007). 유아의 사회적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3), 53-71.
  27. 양승희, 임명희(2011).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음악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1(1), 19-39.
  28. 엄은나, 강정원, 박성희(2007). 전래동요를 활용한 말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아동과 권리, 11(2), 265-290.
  29. 유애열(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의 개입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윤수진, 한석실(2009). 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보육학회지, 9(3), 119-132.
  31. 윤은경, 이미나(2012).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노래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2(4), 229-247.
  32. 장훈, 전인옥(2016). 세계 전래동요를 활용한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음악 교육연구, 45(1), 67-92.
  33. 정선아, 서화니(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분석. 음악교육연구, 42(4), 121-145.
  34. 정수지, 박형신(2016). 지역 전래동요에 기초한 문화체험 활동이 유아의 지역공동체의식과 국악능력 및 국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강원도지역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45(4), 137-164.
  35. 조은지, 김정숙(2013). 마당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국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141-164.
  36. 최미순, 배지희(2016). u-Learning을 활용한 가정 연계에 대한 실행연구: 전래동요놀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3), 202-228.
  37. 홍성아, 박형신(2014). 음악놀이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 적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악기활동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23-243.
  38.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and Culture, 3(4), 322-324.
  39.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2010).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 elementary grades (3rd ed.). NY: Schirmer.
  40. Fox, D. B., & Liu, L. (2012). Building musical bridges: Early childhood learning and musical play. Israel Studies in Musicology Online, 10, 57-67.
  41. Frost, J. L., Wortham, S. C., & Reifel, R. S. (2012). Play and child development (4th ed.). Boston: Pearson.
  42. Johnson, J. E., Christie, J. E., & Yawkey, T. D. (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NY: Longman.
  43. Kemple, K. M., Batey, J. J., & Hartle, L. C. (2004). Music play: Creating centers for musical play and exploration. Young Children, 59(4), 30-36.
  44. Littleton, J. D. (1998). Music learning and child’s play. General Music Today, 12(1), 8-15. https://doi.org/10.1177/104837139801200104
  45. Miranda, M. L. (2004). Th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for the kindergarten general music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52(1), 43-63. https://doi.org/10.2307/3345524
  46. Morin, F. (2001). Cultivating music play: The need for changed teaching practice. General Music Today, 14(2), 24-29. https://doi.org/10.1177/104837130101400204
  47.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1994). Opportunity-to-learn standards for music instruction: Grades pre K-12. Retrieved March 2, 2018, from http://www.nafme.org
  48. Niland, A. (2009). The power of musical play: The value of play-beased, child-center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General Music Today, 23(1), 17-21. https://doi.org/10.1177/1048371309335625
  49. Paige-Smith, A., & Craft, A. (2011). Developing reflective practice in the early years (2nd ed.). Berkshire: McGraw Hill, Open University.
  50. Peery, J. C., & Peery, I. W. (1986). Effects of exposure to classical music on the musical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34(1), 24-33. https://doi.org/10.2307/3344795
  51. St. John, P. (2015). "Jamming together" as musical play. In J. E. Johnson, S. G. Eberle, T. S. Henricks, & D. Kuschner (Eds.), Handbook of the study of play Vol. 2 (pp. 333-348). NY: Rowman & Littlefield.
  52. Taggart, C. C. (2000). Developing musicianship through musical play. Reprint In Spotlight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p. 23-26). Reston, VA: MENC.
  53. Van Hoorn, J., Monighan-Nourot, P., Scales, B., & Alward, K. R. (2003).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