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onvergence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32초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3년간의 초·중등 관리자 연수 프로그램 운영 (Operation of a 3-Yea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Administrator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 정유진;박남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7-186
    • /
    • 2021
  •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교육의 변화는 단일 과목보다는 융합 교과목 개발하여 미래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ICT소양과 컴퓨팅 사고력등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초·중등생들에게 다양한 창의 교수·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래 실천적 선도 모형 연구하였다. 본 실천적 선도모형이 안정적으로 학교 현장에 착근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직무연수를 통해 단위학교 현장 교원이 필요로 하는 창의융합교육 역량을 강화 연수를 기획 운영하고, 특히 미래 융합 인재 양성 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등을 반영한 전국단위의 관리자 연수를 3년간 운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관리자가 학교 현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여 창의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한 연수의 3년간의 운영 결과를 통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직면한 사회문제에 따른 미래 창의 융합 교육의 안정적 착근을 위한 새로운 연수의 방법 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복합재료용 흑연/종이 센서의 최적제조조건 및 감지능 평가 연구 (A New Study of Sensing and Optimum Preparation Conditions of Graphite/Different Paper Sensors for Composite Materials)

  • 박하승;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51-56
    • /
    • 2018
  • 종이에 연필을 이용하여 선을 그리는 연필 선 종이 센서(pencil drawing paper sensor, PDPS)를 센서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DPS의 특성에 기반을 두는 3가지 다른 종이에 대한 감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시편은 4B 연필을 평지(A4), 화선지, 한지에 선을 그어 제작하였으며 구리선과 연필 선간의 전기 접점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버 페이스트를 사용하였다. FT-IR 스펙트럼 분석으로 PDPS에 대한 3 종이의 화학적 구조가 유사하고 광학현미경으로 각 종이의 조밀도를 비교하였다. 3 종이의 인장 강도의 통계적 평가로부터, A4가 PDPS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을 그린 횟수에 따른 종이의 두께 변화를 통해 그리는 횟수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였으며 복합재료의 반복 압축 실험을 통해 압축력의 변화를 PDPS로 관측하였다. PDPS를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비교적 예측할 수 있었다.

창조융합시장을 위한 유럽 연합 (EU)의 시장과문화적 지역특화방안 (Creative Cultural Localization Ways and IT Market of the EU to Converge the Creative Industries)

  • 서대성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27-33
    • /
    • 2015
  • Purpose - The ICT market in the EU is lagging behind that of the US; however, algorithm and software development within the EU have grown steadily, and they involve focusing on the creative cultural convergence conceptualized as part of Horizon 2020 and connecting neighboring markets in the EE and the Mediterranean region.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requirements to market the EU's creative ICT development in emerging industrial countries after examining its applicability in these coun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deals with data pertaining to the EU's creative industry and competitive edge. The global cultural expansion of the EU facilitates a new concept involving not only low-cost IT products to enhance local cultural artifacts through R&D and the construction of efficient infrastructure services, but also information exchange with a realistic commercialization of the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for creative cultural localization. In the European industry, research on algorithms has been applied for the benefit of consumers. We investigated how the process is conducted in the EU. Results - Europe needs to adjust its economic structure to the local culture as part of IT distribution convergence. The convergence has been converted into a production algorithm with IT in the form of low-cost produc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port infrastructure, workforce availabilit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distance to the local industries and consumers, using IT algorithms. Integrated in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ICT infrastructure and solutions, smart localized regional clusters are formed with the help of grafting. Europe has own strategy to increase the number of hub-and-spoke cities. Europe is now becoming integrated, with an EPC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rather than national competition in ICT technology. Europe has also been recognized in this study as changing the step-by-step paradigm for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new creative culture industries. Conclusions -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ways of converging with others through EU R&D intensity; therefore, the EU can be seen as successfully increasing marginal value, which is useful in developing a special industrial cluster or local cultural cities that create converged development by connecting people and objects with IT. In fact, when compared to the US, Europe has a strong culture and the car industries have a tendency to overshadow the IT industries with integration of services in IT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e convergence of IT services is likely to take place in Europe, similar to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nd the automotive industry. This requires a focus on human resources and automated systems management. The trend is to move away from low-wage industries, switched to key personnel centers of the local university-industry. EU emphasizes the creation of IT market demand in Europe involving local cultural convergence for marketing as the second step to strengthen the economic hub-and-spoke areas.

A Study on the Case of Design Thinking with Fusion System

  • Kim, Gok Mi;Jeon, Ju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163-168
    • /
    • 2021
  • Unlike in the past, profit-making companies use design thinking to solve their customers' essential needs rather than just solving problems in a conventional way. Design syncing is a creative strategy to solve problems by using designers' senses and methods in the process of design. Design thinking is a new way of thinking for designers to design their own ways and solve problems. In other words, design thinking can solve complex problems in a new and creative way. In order to realize the necessary functions, an aggregation of relevant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new law can create an innovative design. Additionally, if a convergence system is applied that is organized and regularly functional to accomplish the functions of different kinds, design-thinking outcomes can make the necessary functions more specific. Through our research,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differential features of design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design for consumer needs through a case analysis of design thinking with creative convergence system. We would like to propose competitive design product development and creative design thinking through case analysis such as products and systems with design thinking applied.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businesses and individuals who make design thinking a problem.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 양혜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61-17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 32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2020년 7월1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SPSS19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ANOVA, Cronbach's-α 계수,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3.39±0.02,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에 3.46±0.03, 창의융합역량은 5점 만점에 3.33±0.02,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3.07±0.02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비판적 사고성향(r=.748, p<.001), 자아존중감(r=.642, p<.001), 창의융합역량(r=.70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자아개념에 대한 주요영향 변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으로 67.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및 창의융합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창조적 산업융합 개념을 적용한 도시농업의 장소적 가치에 대한 고찰 (Place Values of Urban Agriculture through applying the Concept of Creative Industry Convergence)

  • 이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00-905
    • /
    • 2012
  • 낙후된 도시 주거지 재생의 방안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농업을 단순히 주민참여의 수단이나 일차산업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논의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공간자본가치 극대화의 수단으로 전락한 도시개발의 새로운 극복방안으로 장소자본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조적 산업융합개념을 적용한 도시농업의 장소적 가치를 논의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단초를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도시개발 방식의 문제점, 산업융합과 도시농업의 의미, 그리고 산업융합형 도시농업의 장소가치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 progress in selective bioconjugation

  • Subramani Rajkumar;Abhinav Bhise;Kondapa Naidu Bobba;Jeongsoo Yoo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6-154
    • /
    • 2020
  • Selective installation of proteins using chemical reagents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bio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human diseases. However, modification in a chemo- and regioselective manner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is a great challenge due to the presence of multiple reactive centers in the protein. Currently, the majority of conjugations are limited to lysine (Lys)- and cysteine (Cys)-selective reagents. Thus, they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part from Lys and Cys, widespread site selectivity has been recently achieved through most of the 20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bearing reactive functional groups. Consequently, this review focused on several recent achievements in site-selective modification of the rarest amino acid backbones (e.g., methionine, serine, glutamic acid, and tyrosine).

전기저항측정법 및 젖음성을 이용한 나노복합재료의 미세파손 감지능 및 계면물성 평가 (Interfacial Evaluation and Microfailure Sensing of Nanocomposites by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s and Wettability)

  • 박종만;권동준;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하승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38-144
    • /
    • 2017
  •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하여 신율이 뛰어난 p-DCPD를 지로 사용하여 손상감지용 고분자 필름 센서를 연구하였다. CNT를 수지에 혼합시킬 경우 중합을 방해하여 1차 개환만 진행되었다. CNT 농도에 따른 정적접 촉각을 측정하여 계면의 젖음성을 측정하였다. 높은 신율을 가지는 p-DCPD에 CNT를 혼합시킴으로써 전도성을 확보하였고, CNT 농도에 따른 인장강도 및 전기저항 분산도 평가를 실시하였을 경우 0.5 wt% CNT/p-DCPD 조건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CNT/p-DCPD 센서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동적 피로 실험을 실시하여 인장응력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를 평가하였다. 초기 3회 사이클 동안은 전기저항 변화도와 응력간의 결과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CNT/p-DCPD 센서의 활용을 위해 에폭시 기지 표면에 센서를 붙이고 기지 재료의 파괴거동을 확인하였다. 기지 파괴가 발생되기 전에 CNT/p-DCPD 센서의 전기저항 점핑 신호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기지재료에 발생된 균열에 의해 CNT/p-DCPD 센서와 기지간의 접착 파괴로 발생된 신호이며, 이러한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재료의 균열 및 파괴를 예측해 볼 수 있었다.

ICT 산업의 여성인력 고용확대 방안 (A Study on the Plan of Creating Jobs for Women in the ICT Industry)

  • 우성희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9-24
    • /
    • 2014
  • 최근 정부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를 통하여 상상력과 창의성,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 운용,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또한 과학기술과 ICT, 문화, 인문학 등이 융합하여 산업간 경계부분에서 창조경제의 성과를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 선진국의 창조경제 벤치마킹에서 증명되고 있다. 특히, 여성 과학기술인이 창조형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성 과학기술인이 낮은 수준이고 전문적인 여성과학기술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및 육성정책도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제 활동 중이던 여성들은 육아와 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복귀에서 겪는 어려움 때문에 30대 초 중반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적다. 창조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이끌어갈 여성 과학기술인의 창조적 교육과 육성,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창조경제 시대의 ICT 산업정책과 여성의 역할과 경제활동 참여 현황, 그리고 창조경제시대의 여성 일자리 창출방안과 문제점을 살펴본다.

  • PDF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조사연구 (Research on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박주영;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3-120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five sub-elements of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12, 2020, to February 28, 2020. A Googl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SNS; 16 data with insufficient responses were excluded, and 116 data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mean scores for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s as follows: Creative ability 3.12±.58, creative personality 3.29±.55, creative leadership 3.50±.53, convergent thinking 3.23±.57, confluent value creation 3.04±.59.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creative leadership competence was highest, and confluent value creation competence was lowest. The average score of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as 3.12±.58, and the Cronbach' α value of th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was .97, which was very reliab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sub-elements of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Conclusion : The data in this study are related to efforts to improv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and prepare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