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7초

Fermented Unpolished Black Rice (Oryza sativa L.) Inhibits Melanogenesis via ERK, p38, and AKT Phosphoryla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Sangkaew, Orrarat;Yompakdee, Chu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184-1194
    • /
    • 2020
  • Melanin is a major factor that darkens skin color as one of the defense systems to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UV light. However, darkened skin from the localized or systemic accumulation of melanin is viewed in many cultures as an esthetic problem. Consequentially, searching for anti-melanogenic agents from natural sources is very popular worldwide. Previous screening of fermented rice products, obtained from various rice cultivars fermented with different sources of loog-pang (Thai traditional fermentation starter), revealed that the highest ability to reduce the melanin content in B16F10 melanoma cells was from unpolished black rice fermented with a defined starter mixture of microbes isolated from loog-pang E1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the fermented unpolished black rice (FUBR) on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The strongest reduction of cellular melanin content was found in the FUBR sap (FUBRS). The melanin reduction activity was consistent with th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The FUBRS showed no cytotoxic effect to B16F10 melanoma or Hs68 human fibroblast cell lines. It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nscript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TY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Furthermore, it induced a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 of phosphorylated ERK, p38 and Akt signaling pathways, which likely contributed to the negativ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From these results, a model for the mechanism of FUBRS on melanogenesis inhibition was proposed. Moreover,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ed that FUBRS possesses anti-melanogenesis activity with high potential for cosmeceutical application as a skin depigmenting agent.

Phellodendron amurense의 미백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특성 (Characteristics of Cosmetic with Whitening Compound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 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108-113
    • /
    • 2011
  • 황백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60% 에탄올추출물에서 25%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ma세포(B16F10)에서의 멜라닌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31.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멜라닌생성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황백추출물에서 tyrosinase저해 활성물질을 정제하고자 Sephadex LH-20과 MCI-gel CHP-20 open column을 이용하여 용출한 결과 순수하게 정제된 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정제물질을 구조 동정한 결과 미백물질은 obacunone으로 동정되었다. 정제된 obacunone은 35.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 활성이 비교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황백추출물로부터 분리한 미백물질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을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미백화장품의 안정성 검사를 위해 pH, 점도 및 복소탄성률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나 저장기간 60일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온도변화, 인공 및 자연광에 의한 변화, 온도순환에 의한 변화 및 냉 해동순환(Freeze & Thaw cycling)에 따른 변화들 살펴본 결과 저장 60일 동안 모든 조건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등의 변화 없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등심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of Compounds from the Stem of Juncus effusus)

  • 김예진;박찬익;박재성;안은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47-51
    • /
    • 2014
  • 등심초(Juncus effusus)를 70% ethanol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분획, n-butanol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hyl acetate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 1 (dehydroeffusol)과 2 (effusol)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dehydroeffusol (DPPH; $130{\pm}3.21{\mu}M$, ABTS; $39{\pm}3.51{\mu}M$)과 effusol (DPPH; $79{\pm}1.53{\mu}M$, ABTS; $24{\pm}2.73{\mu}M$)은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의 인체유래 위암세포(AGS), 폐암세포(A549)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항암약물(CPA)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다.

홍삼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LPS-Induced RAW 264.7 cell)

  • 장영아;김한나;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434-1442
    • /
    • 2019
  • 본 연구는 홍삼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항염증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홍삼 추출물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 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25 ㎍/ml에서 71.2 %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시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홍삼추출물이 항염 효과를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하엽(荷葉) 추출물이 항산화 효능 및 피부노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Extracts from Nelumbo nucifera leaves)

  • 박찬익;박근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60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ag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leaves (NN-L) using ethanol on skin .Methods : Each part of leaves(NN-L), flowers(NN-F) and stem(NN-S)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We performed radical scavenging assay(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 elastase inhibition assay,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NN-L extracts were tested for cell viability(MTT assay), MMP-1 inhibition and MMP-1 protein expression on CCD-986sk cells (human fibroblast line).Results :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astin is also involved in inhibiting or repairing wrinkle formation, although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We measured i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and expression of MMP-1 (matrix metalloprotease-1) in human fibroblast cells. Among the parts of Nelumbo nucifera, NN-L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 radical scavenging. DPPH, ABTS+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N-L at concentration of 1,000 μg/mL were 91.43%, 99.31% and 73.7% respectively. In vitro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s of NN-L at concentration of 1,000 μg/mL was 42.8% and 55.3%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 of NN-L showed cell viability of 95.4% in 50 μg/mL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Western blot assay showed that NN-L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MP-1 protein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up to 35.0% at 50 μM).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N-L great potential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with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화장품 소재로서 아로니아 발효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A Stud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for Cosmeceutical Ingredient from Fermented Aroniamelanocarpa Extract)

  • 강정란;오동순;황소소;김종화;한갑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43-250
    • /
    • 2020
  • 아로니아는 특유의 신맛과 떫은 맛 때문에 생과보다는 가공용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유산균을 이용한 아로니아분말 발효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발효전 32.15 ㎍/mg, 발효 후 43.08 ㎍/mg으로 증가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전 0.47 ㎍/mg, 0.44 ㎍/mg 으로 조금 높거나 유사하게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억제 활성은 발효전 77.5% 에서 89.1%로 발효전보다 조금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Nitric oxide (NO) 측정은 농도 의존적인 억제효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로니아분말을 발효할 경우 일부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한 활용가능성과 향후 식물성 천연 추출물과 발효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품 성분으로서의 Coumari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marin as a Cosmetic Ingredient)

  • 윤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373-1380
    • /
    • 2023
  • 본 연구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물질로써 항바이러스, 항암, 항균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coumarin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써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coumarin은 실험에 적용한 모든 농도에서 이렇다 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적용된 농도 범위 내에서는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안전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coumarin 물질 자체의 항산화 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을 나타내었지만 농도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hydrogen peroxide을 DCF-DA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ROS를 측정한 결과 silica에 의해 생성된 ROS의 억제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coumarin의 항염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Nitric oxide 생성억제와 histamine release를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oumarin이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서 항산화와 항염증에 관련된 천연물로써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양하(Zingiber mioga)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검증을 통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Zingiber mioga extract as a Cosmetic Material through Verification of Cosmeceutical Activations)

  • 엄미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088-1099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양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양하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phage (Raw 264.7)를 이용해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ZMF과 Z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ZMF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측정 결과 ZM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 측정 결과에 따르면 ZM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ZMF의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ml에서 110%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능은 25 ㎍/ml에서 20%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ZMF는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평가 결과, 양하의 생리 활성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근피(Ulmus pumila)로부터 분리한 페놀성물질의 미용식품활성 (Beauty Food Activities of Isola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mus pumila)

  • 김경범;조분성;이주영;박기태;안봉전;이선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07-215
    • /
    • 2012
  • 유근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17.9{\pm}1.0mg/g$이 용출되었다. 주름 생성과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50-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55.5-69.5%의 제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미백효과와 관련된 tyrosinase 저해활성은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24%의 저해효과가 측정되었다. Astringent 활성은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70% ethanol 추출물에서 71%의 활성을 나타내어 모공축소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활성은 $50{\mu}g/mL$ phenolics의 농도에서 80%의 염증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물 추출물의 경우 $50-200{\mu}g/mL$의 phenolics 농도에서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각각 8.7, 10, 11.1 및 11.8 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유근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복합 기능성 화장품(로션)의 안정성은 28일 동안 pH 및 점도의 변화가 없었고, 온도 및 광에 대하여 안정하였다. 제조한 로션은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도는 어둡게 나타났으나, 사용감면에서 8.5점 정도의 좋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수수 추출물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복합 나노 섬유의 생리활성 특성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Sorghum Extract/Poly(vinyl alcohol) Composite Nanoweb Produced by Electrospinning)

  • 이현주;전재우;정소연;최진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3-331
    • /
    • 2019
  • Sorghum is a rich source in phytochemicals, such as tannins, phenolic acids, anthocyanins, phytosterols and policosanols. Sorghum has been known to have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poly(vinyl alcohol)(PVA)-sorghum extract(SE) composite nanoweb wa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and its characteristics including bio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SE had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s well as a reduced cytotoxicity. The PVA-SE nanoweb had a highly enhanced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PVA nanoweb. The amount of proinflammatory cytokine released from macrophages treated with the PVA-SE nanoweb was reduced. The PVA-SE nanoweb can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medical and cosmeceutical materials providing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ith a low degree of cytotox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