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basic Nursing Skill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o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보라;정미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51-15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도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12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연령(F=5.52, p<.001), 간호사 직업 이미지(F=1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r=.563, <.001)과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𝛽=.338 P<.001), 학습열의(𝛽=.195 P=.027)로 확인되었고,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5%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또래교수법(Peer Tutoring)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Peer Tutoring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 김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41-249
    • /
    • 2018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서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의 활용이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력, 수행자신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C대학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48명(실험군 75명, 대조군 73명)이 참여하였다.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학습만족도, 유치도뇨 및 단순도뇨의 수행력과 수행자신감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경구투약의 수행력 및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급변하는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에 대한 다면평가 연구 (A Study on Multiple Sources Evaluation for Practical Education in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송효숙;임소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resources on various evalua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or-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of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Forty third-year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were given the same checklist that was used for assessment by the examiners. Then, the scores of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PSS/WIN 18.0. Results: The scores of the student peer (178.54) and student self-evaluation(177.7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professor-evaluation (172.05),(F=5.03, p=.008).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or-evaluation and the student-peer-evaluation in skill-scores(r=.47, p=.002) and attitude-scores(r=.52, p<.001). In addition, the professor-evaluation and the self-evaluation ea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kill-scores(r=.61, p<.001) and attitude-scores(r=.36, p=.023). Conclusion: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in order to expand the evaluation method, the professor evaluation, as well as the student self and the peer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learners.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the Self-efficacy, Confid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Lower-Class Nursing Students)

  • 현일선;배윤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63-171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연구이다.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80명이었다. 실험처치 및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2일부터 4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 교육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교육 후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후 자기효능감(p=.045), 수행자신감(p<.001) 및 전공만족도(p=.018)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어,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 자율실습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TTLEP Model-based Image Training on Nursing Student' Confidence and Competency in Core Basic Nursing Skills,Participation in Self-Practice)

  • 구희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56-1069
    • /
    • 2021
  • 본 연구는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 자율실습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도 소재 U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74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정규성검정은 왜도와 첨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처치의 효과측정을 위한 종속변수 검정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t=4.18, p<.001),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지식(t=2.241, p=.032), 간호술기(t=8.402, p<.001)), 자율실습 참여도(t=6.822,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은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 중 난이도가 높은 항목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내실습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On-Campus Practicum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a Mobile Based Reflective Log)

  • 최한나;송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2-400
    • /
    • 2021
  •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교내실습 과정을 소개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할 때 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Kolb의 경험적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교내 실습을 진행한 후 분석되었다. 분석 자료로 학생들이 각 수업에 대하여 작성한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성찰일지를 활용하였다. 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술기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지식, 기술(수행), 태도로 구분하여 파악하였고,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난이도, 중요도, 자신감도 평가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결과 학생들은 특히 기술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맥수액주입 및 유치도뇨와 같이 핵심술기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이상의 학생들이 정맥수액주입 및 활력징후 측정을 가장 중요한 핵심기본간호술로 간주하였다. 향후 학생들의 핵심술기 수행 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교수법의 적용과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휴대폰 동영상 촬영을 활용한 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 성취도, 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 김묘경;이형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7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e basic nursing education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ractice satisfact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odified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n=60) or control group (n=67). During one semester,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ining for 10 selected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 The control group, also for one semester, received training with traditional practice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chievement was evaluated by professors at the conclusion of the semest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ain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t=7.94, p<.00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t=2.39, p=.018) and achievement (t=2.40, p=.0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ractice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핵심간호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선 전략 (Strategy for Improving Core Nurs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 박정모;김정숙;김재희;안지연;표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6-43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improve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Methods: A triangulation method was used.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used to identify nursing core competencies. The present level of nursing competencies of stud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nursing core performance questionnaire. Results: 1) Nursing core competencies, including 23 different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area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These competencies included: desirable personality, attitude & interpersonal skills, professionalism, nursing knowledge & basic nursing skills, ability to cope with nursing situations, basic ability in nursing research, coping ability with changes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and leadership. 2) Core nursing skills, nursing research, and nursing leadership were the three lowest ranking competencies. Some courses in the curriculum were to be newly established in an e-learning system, student's portfolio in non-curriculum.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show effects of the changes. Changes after applying the strategy of a nursing education program will be measured. Continuous research in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is needed.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인식유형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y Clinical practice Recognition typ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 전미경;장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97-305
    • /
    • 2018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한 주관성 연구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인식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34개의 Q표본을 이용하여 임상실습을 경험한 졸업 학년의 간호대학생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C-QUA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1유형 '행위중심형'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 상황에 따라 정확히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유형 '미래준비형'은 핵심기본간호술을 전문적 간호사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3유형 '의존적학습형'은 정확한 간호술 수행을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에 대한 분석은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효율적인 교육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 Reflective Practice using Cellular Phone Video Recordings on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Practice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and Core Basic Nursing Skills Achiev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김애경;김래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5-67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중재에 참여한 실험군 43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43명으로 총 8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성취도는 2명의 연구자에 의한 관찰평가로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hi}^2$-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실습 자신감(t=2.170, p=.033), 학업적 자기효능감(t=3.096, p=.033), 핵심 기본 간호술 성취도(t=2.817, p=.007)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실습만족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 교육현장에 도입되어 간호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