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velopment satisfaction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7초

경력개발과 경력정체가 간호사의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lateau on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 김요나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3-92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were explored in the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lateau. Methods: Participants were 143 nurses drawn from a general hospital in Busan.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progra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f career satisfaction was 2.85/5, Career development was 2.99/5, and career plateau obtained 2.53/5. The extent of the career satisfaction differ according to age(F=3.60, p=.030), marital status(t=2.42, p=.017), current position(F=6.61, p=.002), total clinical career(F=3.36, p=.023), and work unit(t=0.95, p=.029). The influencing factors in career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were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and individual career planning. $R^2=.415$.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was the highest significant predictor of career satisfaction(${\beta}=.325$). Conclusion: Factors influencing career satisfaction were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and individual career planning. Thus a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of organization is needed.

경력만족의 선행변인으로서의 조직공정성: 통합적 문헌연구를 통한 개념적 모델 도출 (Organizational Justice as the Antecedent of Career Satisfaction: Building a Conceptual Model from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 오정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915-929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연구를 통해 경력만족의 선행변인으로서의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에 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조직의 스폰서십)이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에서 잠재적인 매개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들에 관한 통합적 문헌조사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과의 관계를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과 더불어 개념적 모델로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모델에 의하면 조직공정성은 경력만족의 주요한 선행변인의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조직지원은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직장 내 경력개발의 맥락에서 조직공정성과 경력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기여한다. 나아가 이 연구는, 경력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인 매개변수들과 같이, 조직공정성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조직지원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Planning)

  • 강예지;이수연;문진희;장지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2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reer plann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planning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target cases are employees of a Korean branch of a global company (A), which operates formal career program to support a career development for employe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March, 2015. 211 out of 3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response rate 70.3%). After the data cleaning, 20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whole process of the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1.0 for windows and the AMOS 21 program.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organizational support is perceived, the higher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s. That is, the employees' career and job satisfaction is higher, when they feel themselves received more supporting.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career planning.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employee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Third, career plan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but not on job satisfaction. Lastly, it is verified that career planning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areer satisfaction. Not only has the perception of an organizational support a direct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but also an indirect impact through career planning. However, there is not an indirect relationship through career planning, just an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an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ajor conclusion of the study was as follows: The study provides theoretical val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act that the difference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support exist among employees, and the differences have an impact on their career planning as well as subjective career success. Furthermore, some recommendations for workplace were suggested: The companies should support the career development for employees in organization level. Even though employment instability makes individual workers themselves to be responsible for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it is an important issue in organizational level that employees' career success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success, as well.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study that analyzing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data from a single compan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First, a comparative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other various companies. Second, a hierarchical analyzing model needs to be applied to substantiate how organizational context influence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employees.

서울 시내 호텔 기업의 경력 개발 제도의 지향성이 개인 만족과 조직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Directions of Career Development on Individual & Organizational Satisfaction)

  • 심영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7-21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right direction to make the best career development systems for the employees in hotel industry in Korea. The condition of the best career development system is satisfaction from companies and employees each other. However, making that condition is not easy for every industry as well as for hotel industry over the world. In this respect, we can find the three directions of career development for applying the systems to the employees like strategy direction oriented, development direction oriented and employee satisfaction oriented. Among those directions, we have to find the best direction for individu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pany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help to make and execute the plan for career development in real hotel industry fields, especially for the polic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study, we can se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satisfaction for managing a hotel. The increasing productivity of the hotel eventually will be made from career development through employee satisfaction.

  • PDF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유형과 경력개발 및 경력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Mentoring,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Satisfaction among Security Agents)

  • 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51-35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유형이 경력개발 및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서울소재 5개소 경호경비회사의 시큐리티요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227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자료를 토대로 멘토링유형, 경력개발, 경력만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변수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06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 유형은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되면, 혁신적 자기 개발, 전문능력 개발, 정보경쟁력 개발은 촉진된다. 반면 비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되면 정보경쟁력 개발이 촉진된다. 둘째, 시큐리티요원의 멘토링 유형은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체계적 멘토링이 활성화될 경우 경력만족은 증가한다. 셋째, 시큐리티 요원의 경력개발은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혁신적 개발, 전문능력 개발이 촉진되면, 경력만족은 증가한다.

청소년의 사회관계가 진로발달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t Study Assessing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Relationships on Career Develop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 원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57-268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진학 전·후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부모, 또래, 교사와의 사회관계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부터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진로발달과 대학생활 만족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부모 또는 또래와의 지지적 관계는 고등학생 시기 진로정체감 수준과 이후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 밖에, 고등학생 시기 교사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한 청소년의 경우 대학 진학 후 진로 결정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인의 진로발달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형성,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융합적 접근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지속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코칭리더십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areer Satisfaction)

  • 윤덕수;김보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0-79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선행 요인으로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의 효과를 고찰하고,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인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며,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코칭리더십과 경력만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제약업체 종사자 329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코칭리더십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유의하였으며,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또한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경력만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들어 조직 중심적 관점에서 개인 중심적 관점으로 변화된 경력개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리더십 차원에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경호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of Security Science Majors'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 염대관;김창호;김우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43호
    • /
    • pp.121-145
    • /
    • 2015
  • 본 연구는 경호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전공만족,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변인들간의 직접효과,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확인하여 합리적인 진로탐색과 진로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해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호전공 대학생 239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만족은 진로결정, 진로확신, 진로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만족과 일반적 만족은 진로결정과 진로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인식은 진로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 진로확신은 문제해결, 정보수집, 계획설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흥미는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과만족은 진로결정을 통하여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과만족은 진로확신을 통하여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관계만족은 진로흥미를 통하여 문제해결, 정보수집과 계획설정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만족은 진로결정을 통하여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경호학에서의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 PDF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이용자의 컨텐츠 특성에 대한 지각이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Center Website Users' recognition on Contents Characteristics on User Responses)

  • 서다혜;강혜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11-11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이용자의 컨텐츠 특성(사용자 편의성, 정보성, 고객서비스성)에 대한 지각이 이용자 반응(이용자 만족도, 이용자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컨텐츠 특성들은 이용자 만족도를 36.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영향력은 정보성, 사용자편의성, 고객서비스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컨텐츠 특성들은 이용자 애호도를 36.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영향력은 정보성, 고객서비스성, 사용자편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웹사이트 컨텐츠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Yunho Ji;Jangheon Ha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427-437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related attributes 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Job satisfaction related elements consist of wage level, job stability, working condition, career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For the data collection, this research made use of The Korean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the study period consisting of 2016-2018, and the number of observations measuring 4405. For the data analysis, the ordinary least square, fixed effect, and random effect regression models were used. Findings -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wage satisfaction, job stability satisfaction, working condition satisfaction, career developmen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informs policy makers for the design of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 specifically related to their labor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