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 roughnes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53초

2차원 표면조도가 있는 난류 평면 Couette-Poiseuille 유동에 대한 직접수치모사 (Turbulent plane Couette-Poiseuille flow over a 2-D rod-roughened wall)

  • 김정현;이영모;이재화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18
    • /
    • 2019
  • Direct numerical simulation of a fully developed turbulent plane Couette-Poiseuille flow with a two-dimensional (2-D) rod-roughened wall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surface roughness. It is shown that the logarithmic region in the mean velocity profile over the rough wall Couette-Poiseuille flow is significantly shortened by the surface roughness compared to that over a turbulent Couette-Poiseuille flow with smooth wall. The Reynolds shear stress over the rough wall Couette-Poiseuille flow is decreased compared to that for a smooth case in the outer layer.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weakened turbulence activity or roll-cell mode over the rough wall Couette-Poiseuille flow near the channel centerline due to suppressed development of u'-structure on the top wall, as documented through spanwise energy spectra of the streamwise velocity fluctuations. Inspection of congregation motion near the bottom wall and time evolution of u'-structure reveal weakened co-supporting cycle for the rough wall case.

Al 박막의 Ar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따른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l Thin Films on Ar Plasma Surface Treatment)

  • 박성현;지승한;전석환;추순남;이상훈;이능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33-1334
    • /
    • 2007
  • Al thin film was the most popular electrode in semiconductor and flat panel display world, because of its electrical conductivity, selectivity and easy to apply to thin film. However, Al thin films were not good to use on the bottom electrode about the crystalline growth of inorganic compound materials such as ZnO, AlN and GaN, because of its surface roughness and melting poin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Ar plasma surface treatment of Al thin film to enhance the surface roughn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using the reactive ion etching system. Several process conditions such as RF power, working pressure and process time were controlled. In results, the surface roughness showed $15.53\;{\AA}$ when RF power was 100 W, working pressure was 50 mTorr and process time was 10 min. Also, we tried to deposit ZnO thin films on the each Al thin films, the upper conditions showed the best crystalline characteristics by x-ray diffraction.

  • PDF

조도보정 블록 수로에서의 조도계수 추정 (A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in a Channel with Roughness Correction Blocks)

  • 최흥식;김시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07-116
    • /
    • 2014
  • 본 연구는 조도보정 블록수로에서의 체적밀집도를 정의하고, 평균유속(V)과 수리반경(R)의 곱인 VR, 블록 Reynolds수($Re^*$), 항력계수($\acute{C}_D$) 및 바닥전단특성의 바닥조도계수($n_b$)를 분석하여 조도계수(n)를 산정하였다. VR과 블록Reynolds수가 증가함에 따라 조도계수가 감소하여 일정함에 수렴하는 경험적인 양상을 확인하였다. 블록Reynolds수의 증가에 따라 항력계수는 감소하여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Reynolds수가 큰 난류구간에서는 항력계수는 밀집도로 정의한 조도블록의 형상에 지배적임을 볼 수 있다. 정확한 조도계수의 산정을 위해서는 블록Reynolds수와 체적밀집도에 의한 상관식의 개발이 요구된다. n-VR, $\acute{C}_D-Re^*$, $n_b-\acute{C}_D$상관에 대한 관계곡선식을 제시하였다. 조도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블록Reynolds수와 체적밀집도와의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블록Reynolds수와 체적밀집도에 의한 조도 계수 산정식을 이용한 HEC-RAS의 수리특성 분석결과는 실험결과와 잘 일치함을 보여주어 산정한 조도계수 추정식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표면 조도를 고려한 난류 천이 모델의 항공기 결빙 해석자에 대한 적용 연구 (Implementation of Roughness-Induced Turbulent Transition Model on Inflight Icing Code)

  • 민승인;이관중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3-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표면 조도 분포가 항공기 결빙 수치 해석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항공기 결빙 해석 연구에서는 표면 조도의 크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표면조도의 효과 측면에서는 완전 난류 가정을 적용하여 난류 천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 표면 조도가 천이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선험적인 수식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기법은 항공기 결빙 해석의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면 조도가 난류천이 및 열 경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고려할 수 있도록, 2-방정식 난류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난류 천이 모델을 적용하였다. 표면 조도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도록 표면 조도 증폭 파라미터를 수송 방정식 형태로 적용하였으며,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표면 조도 분포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차원 익형의 표면 조도, 대류 열전달 계수 및 결빙 형상을 획득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기존 기법들을 사용한 수치 해석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앞전에서의 열전달 계수의 과도한 예측과 그에 따른 익형 아랫면에서의 얼음뿔 형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G 희생층을 이용한 마이크로 구조의 형성 (Fabrication of Micro-structure using SOG as a Sacrificial Layer)

  • 신경식;이성준;김정구;최연화;김철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2001-2003
    • /
    • 1996
  • In this study, Allied Signal 211 SOG was used as a sacrificial material. After researching its etching properties, we adapted it to bottom-drive micrometers. SOG was superior etch rate and roughness to them of PSG or CVD-oxide and possible to low-temperature processing. Etching properties of SOG depended on the temperature and duration of its bake and cure. SOG used in the fabrication of bottom-drive micrometers showed us usefulness as a sacrificial layer and haying a least influence on machines on it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acrificial materials.

  • PDF

Characterization of SrRuO3 Conducting Thin Films Grown on p-Si (100) Substrates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Cuong Nguyen Duy;Yoon, Soon-Gil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14-17
    • /
    • 2005
  • The SrRuO_{3}$ films for application of the bottom electrode were deposited on p-Si (001) substrates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The films are characterized by various deposition parameters. The optimum deposition condition for SRO films is the deposition temperature of $500{\circ}C$, Sr/Ru input mol ratio of 1.0, and a flow rate of precursors of 15 ml/h. The films deposited by an optimum condition exhibited a single phase of SrRuO_{3}$, an rms roughness of 8 nm, and a resistivity of approximately $900{\mu}{\Omega}{\cdot}cm$. The high resistivity of the films for application of a bottom electrode should be improved through a characterization of an interfac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ing for the Yellow Sea - Initial approach -

  • Suh, Seung-Won;M.G.G. Foreman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4-14
    • /
    • 1996
  •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dal hydrodynamics of the Yellow Sea and Parts of the East China Sea, we have developed a three-dimensional, fine resolution, nonlinear, harmonic finite element model. Major four tidal constituents, M$_2$, S$_2$, K$_1$ and O$_1$ are used as forcing along the open boundary. Due to the shallowness of the region, tidal results are strongly affected by the bottom roughness coefficients, especially for the quadratic form. (omitted)

  • PDF

AFM을 이용한 얼굴과 하박내측 각질세포 표면 특성 비교연구 (Study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Corneocyte between Face and Forearm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 장민열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73-380
    • /
    • 2019
  • 얼굴과 하박내측의 피부는 경피수분손실량(TEWL), 피부 수분량, 탄력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전 연구 결과에서 얼굴피부와 하박내측 피부는 수화(hydrating) 과정에 따른 탄력특성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부위에 따른 피부특성 차이는 각 신체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각질세포 특성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atomic force microscopy (AFM)을 이용하여 각질세포 표면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각질세포 표면의 거칠기(roughness)와 villus-like projections (VPs)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더 나아가 얼굴피부, 하박내측, 입술 피부의 각질세포 표면을 정성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각질세포는 8명의 피험자의 얼굴과 하박내측 피부에서 tape-stripping을 이용하여 채취하여, AFM을 이용하여 40 ㎛ × 40 ㎛ 크기로 각질세포의 아랫면 표면 특성(bottom surface of corneocyt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얼굴 각질세포 아랫면 표면 거칠기는 388.34 ± 86.189 nm이었고, 하박내측 각질세포 아랫면 표면 거칠기는 662.27 ± 224.257 nm로 하박내측 각질세포가 얼굴 각질세포보다 더 거친 표면 특성임을 확인하였다(p < 0.001). 관찰된 VPs의 양을 비교해보면, 입술 각질세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얼굴 각질세포이며, 하박내측 각질세포는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때, 각질세포 표면 특성이 얼굴과 하박내측 피부 사이에 보이는 특성 차이에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VPs는 부위별 피부 특성 연구에 유용한 parameter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FM은 각질세포 표면의 미세한 구조적 차이를 비교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기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조금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다면 각질세포에 대한 새로운 화장품 효능 평가법이 개발될 것으로 사료된다.

전극 표면의 거칠기가 펜터신/전극 경계면의 전류-전압 특성에 주는 영향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of Electrode on the Charge Injection at the Pentacene/Electrode Interface)

  • 김우영;전동렬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11
  • 금속 전극 위에 유기물 채널을 증착하여 만드는 바닥 전극 구조의 유기물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전극 표면이 거친 정도에 따라 전하 주입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했다. 금 전극을 실리콘 기판에 증착하고, 가열하여 금 전극 표면을 거칠게 만들었다. 그리고 펜터신과 상부 전극으로 사용할 금 전극을 차례대로 증착하여 금 전극/펜터신/금 전극 구조를 만들었다. 펜터신 증착 초기에는 거친 금 전극 위에서 펜터신 증착핵이 더 많이 보였지만, 막이 두꺼워지면 가열되지 않은 전극과 가열로 거칠어진 전극에서 펜터신 표면 모양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온도를 바꾸면서 측정한 전류-전압 곡선은 바닥 전극의 표면이 거칠수록 바닥계면의 전위장벽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이 현상은 금속 표면이 거칠수록 일함수가 낮아지며 펜터신과 거친 전극 표면의 경계에 전하 트랩이 더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수종 임플랜트의 표면 거칠기와 초기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Initial Stability of Various Dental Implants)

  • 조동훈;임주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3호
    • /
    • pp.197-210
    • /
    • 2000
  • Surface roughness is one of implant surface topography and it's found that surface roughness characterizations, such as surface energy, oxide layer thicknes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are closely correlated if the roughness is changed. Several studies showed the importance of analyzing surface structure so the surface structure of thread implant was analyzed to measure the implant quality exactly. In this study, surface roughness of 4 implants - MK $II^{(R)}$(Nobel Biocare), $RBM^{(R)}$(Life-Core, USA), $Osseotite^{(R)}$(3i, USA), $TPS^{(R)}$(Life-Core, USA) - were measured using $Accura^{(R)}$ and 40 implants were installed into 4 sets of ten bovine ribs based on the parameters from the measurements. From this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the initial stability were drawn by measuring and comparing RFA, Periotest Value (PTV), Removal Torgue Value (RTV). 1. $R_a$ value in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was increasing by the order of $MKII^{(R)}$, $Osseotite^{(R)}$, $RBM^{(R)}$, $TPS^{(R)}$ and $R_q$ value was the same order. 2. $R_q$ value in each section was observed to increase by the order of $MKII^{(R)}$, $Osseotite^{(R)}$, $RBM^{(R)}$, $TPS^{(R)}$ in top and $MKII^{(R)}$, $RBM^{(R)}$, $Osseotite^{(R)}$, $TPS^{(R)}$ in mid-section but the value of $MKII^{(R)}$ bottom was the lowest, followed by $Osseotite^{(R)}$, $RBM^{(R)}$ and $TPS^{(R)}$. 3. RFA increased by the order of $RBM^{(R)}$(7042Hz), $MKII^{(R)}$(7047Hz), $Osseotite^{(R)}$(7076Hz), $TPS^{(R)}$(7168Hz)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each group. 4. PTV was increasing by the order of $MKII^{(R)}$(-1.62), $TPS^{(R)}$(-1.92), $Osseotite^{(R)}$ & $RBM^{(R)}$(-2.08)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either. 5. Removal torque in RTV measurement showed the increasing order of $MKII^{(R)}(5.31kgf{\cdot}cm)$, $Oeeotite^{(R)}(5.71kgf{\cdot}cm)$, $TPS^{(R)}(5.92kgf{\cdot}cm)$ and $RBM^{(R)}(7.24kgf{\cdot}cm)$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groups. Above observations explains that surface roughness does not make any impact on the initial stability of implants instal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