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cereus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41초

Prevalence of Bacillus cereus Group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 Jang, Ji-Hyun;Lee, No-A;Woo, Gun-Jo;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32-237
    • /
    • 2006
  • Bacillus cereus group comprising B. cereus, B. thuringiensis, and B. mycoides was differenti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colony morphology. Prevalence of B. cereus group in rice and distribution of enterotoxin genes were determined as possible food poisoning agents. PCR using primers targeted for gyrB and cry genes could distinguish B. thuringiensis from B. cereus, and B. mycoides was differentiated by rhizoi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nutrient agar. Among 136 rice and their processed products, prevalence of B. cereus group was 40%. B. cereus group consisted of 54 B. cereus, 11 B. thuringiensis, and 1 B. mycoides. Major isolates were B. cereus, with B. thuringiensis detected up to 10% among edible rice tested. Five enterotoxin genes, hbl, nhe, bceT, entFM, and cytK, were broadly distributed among B. cereus group, especially in B. cereus and B. thuringiensis. Prevalence of B. cereus group in rice and enterotoxin distribution suggest B. thuringiensis and B. cereus are toxigenic strain that should be controlled in rice and its products.

Mannitol-Egg York-Polymyxin B 선택 배지에서 Bacillus cereus 계수 방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Enumeration of Bacillus cereus Grown on Mannitol-Egg York-Polymyxin B Agar)

  • 윤숙현;김용상;정도연;한금수;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8-214
    • /
    • 2009
  • 장류에서 식중독 미생물인 Bacillus cereus의 계수 방법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 cereus 선택 배지인 mannitol-egg york-polymyxin B (MYP)에서 자란 약 1,500개의 집락들을 형태적 차이에 따라 12종으로 분류하였다. 생화학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집락 주위로 환을 형성하는 직경 11~16 mm 크기의 집락들은 B. cereus 와 B. cereus subsp. cytotoxis로 동정되었고, 환을 형성하지 않아 B. cereus 계수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직경 5 mm 크기의 분홍색 집락은 B. cereus로, 6.5 mm 크기의 이중환을 형성하여 B. cereus로 계수하기가 모호하였던 붉은색 집락은 B. cereus로 동정되었다. 나머지 세 종들은 Enterococcus sp., Brevibacillus sp., B. subtilis로 밝혀졌다. B. cereus로 동정된 9종 모두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B. cereus 독소 유전자들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다른 형태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Detection of Emetic Bacillus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in Markets and its Production of Cereulide under Simulated Conditions

  • Kim, Heesun;Chang, Hyeja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8
    • /
    • 2020
  • B. cereus-produced cereulide as an emetic toxin is commonly isolated in starch-based cooked food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B. cereus from ready-to-eat foods in market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B. cereus and the quantity of cereulide in the sample after different storage times and temperatures. The prevalence of general B. cereus in 43 starch foods was 32.6%, and the level of B. cereus ranged from 0.5 to 1.95 log cfu/g, meeting the Korea Food Code Specifications of 3 log CFU/g of B. cereus. No samples revealed emetic B. cereus. Fried rice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a cereulide-producing reference strain, B. cereus NCCP 14796, to determine the level of B. cereus and the quantity of cereulide in the samples after storage for 0, 4, 6, 8, 20, 24, 30, 48, 72, and 96 h at 7, 25, 35, and 57℃. The average levels of B. cereus at 7, 25, 35, and 57℃ were 4.38, 7.31, 7.88, and 3.82 log cfu/g, and the levels of cereulide were 150.41, 1680.70, 2652.65, and 77.83 ㎍/mL,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P<0.05) and temperature (P<0.001).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and Toxin Production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RD7-7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 Eom, Jeong Seon;Choi, Hye S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44-55
    • /
    • 2016
  • Bacillus cereus is a gram-positive, rod-shaped, spore-forming bacterium that has been isolated from contaminated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and from the environment. B. cereus produces diarrheal and emetic toxins and has caused many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B. amyloliquefaciens RD7-7, isolated from rice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 show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regulates its toxin gene expression. B. amyloliquefaciens RD7-7 exhibit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cereus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B. cereus toxin-related genes (groEL, nheA, nheC, and entFM). We also found that addition of water extracts of soybean and buckwheat soksung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made in a short time) fermented with B. amyloliquefaciens RD7-7 significantly reduced the growth and toxin expression of B. cere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 amyloliquefaciens RD7-7 could be used to control B. cereus growth and toxin production in the fermented soybean food industry. Our findings als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andidate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B. cereus to improve the safety of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s.

키토사네이즈 유전자의 클로닝과 키토산 올리고머의 정량적 생산 (Molecular Cloning of Chitosanase Gene and Quantitative Production of Chitosan Oligomer)

  • 박유미;장혜란;허태린;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1
    • /
    • 2004
  • Chitosanase분비 세균을 찾아내기 위해 남해안의 서로 다른 다섯 치역의 해안 갯벌과 게를 채취하였다. 시료를 키토산선별 배지에 도말하여 얻은 균주 중에 투명환을 형성하는 6종의 균주를 선택하여 분리하였다. 그들은 FE-SEM을 이용한 형태 관찰과 165 rDNA sequence analysis를 통해 Bacillus cereus KNUC51, B. cereus KNUC52, B. cereus KNUC53, B. cereus KNUC54, B. cereus KNUC55, Paenibacillus favisporus KNUC56 등으로 균주명이 정해졌다. Chitos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에 알려진 B. subtilis 168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소 활성을 높이기 위해 강력한 돌연변이 유발 물질인 MNNG를 사용하여 돌연변이주를 만든 결과 원균주와 비교해 효소활성이 높은 3개 균주를 선별할 수 있었다. B. cereus 5균주의 chitosnase를 지정하며 생산하는 csn유전자를 분리 정제하여 DNA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아미노산 서열을 예상하였다. 예상된 아미노산의 잔기는 453 잔기였고 B. cereus ATCC14579의 것과 93%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의 배양 상등액을 키토산 중합체와 반응시킨 후 반응물로 박층크로 마토그래피를 실시한 결과 5분 이하로 반응을 시켰을 때 효능이 좋은 3-10개 사이의 잔기를 가진 키토산 올리고당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예측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dictive Model for Foodborne Pathogens in Preprocessed Namuls and Wild Root Vegetables)

  • 엔크자갈 라왁사르나이;민경진;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90-1700
    • /
    • 2013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처리 나물류 중 고사리 경우 $13^{\circ}C$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가, $8^{\circ}C$에서 S. aureus는 성장하지 않았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성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도라지와 취나물에서 LT, SGR 및 MPD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우엉은 $13^{\circ}C$에 저장한 경우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고사리의 경우, 17, 24, $35^{\circ}C$ 온도에서 B. cereus 포자의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 값보다 2배 연장된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4^{\circ}C$$35^{\circ}C$의 상온에서는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B. cereus 포자 유도기는 영양세포의 유도기보다 연장되었고, SGR 값은 포자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3^{\circ}C$$17^{\circ}C$에서는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유도기가 고온에 비하여 연장되어 B. cereus 영양세포와 포자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3^{\circ}C$ 이하의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B. cereus와 S. aureus 영양세포의 성장특성 비교 결과, $13^{\circ}C$ 이하에서는 B. cereus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S. aureus는 $8^{\circ}C$에서도 성장하였다. 전반적으로 $13^{\circ}C$에서 모든 나물류 및 구근류는 B. cereus의 유도기가 S. aureus 의 유도기보다 3배 이상 연장되었다.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개발된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 성장예측모델을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및 포자의 실험값으로 검증한 결과, 도라지와 고사리의 LT 모델과 고사리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 값이 허용범위(0.07~1.15)에 속하여 설사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 성장모델이 구토형 B. cereus 영양세포, 포자의 성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에서 $8{\sim}35^{\circ}C$ 사이에 개발된 S. aureus의 성장예측 모델을 실험에 사용하지 않은 온도(18, $30^{\circ}C$)로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도라지의 SGR 모델을 제외한 모든 모델에서 Bf와 Af 값이 가장 이상적인 1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 사이의 일치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발된 전처리 나물류 및 구근류의 성장예측 모델은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준과 규격 설정 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전처리 나물류의 HACCP 공정의 CCP(critical control point) 및 CL(critical limit)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anthracis와 그 유연종의 rpoB 유전자 컴퓨터 분석을 통한 동정 (Identifi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Analysis of rpoB Sequence of Bacillus anthracis and Closely Related Species)

  • 김규광;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3-338
    • /
    • 2008
  • Bacillus anthracis, B. cereus, B. thuringiensis 를 분류하기 위해 rpoB 유전자 배열을 이용한 컴퓨터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17개의 B. anthracis, 9개의 B. cereus, 7개의 B. thuringiensis 를 database에서 구하였다. B. anthracis 는 rpoB 유전자의 in silico 제한효소 절단에 의해, B. cereus, B. thuringiensis 2 group과 구별되었다. 그러나 B. cereus와 B. thuringiensis 는 제한효소 절단에 의해 구분되지는 않고, 염기배열과 Blast 탐색의 도움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3 종류의 Bacillus 종을 동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KHT5 마커를 사용한 Bacillus cereus 그룹에서 Bacillus anthracis의 구별 (Discrimination of Bacillus anthracis from Bacillus cereus Group Using KHT5 Marker)

  • 김형태;김성주;채영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0-44
    • /
    • 2003
  • 탄저균은 그람양성 아포형성세균으로 탄저를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Bacillus cereus그룹에 속하는 22종을 포함하여 Bacillus 속의 29종에서 탄저균을 검증할 수 있는 DNA 마커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B. cereus 그룹에서 탄저균만을 구분하였다. 한국산 탄저균 경주로부터 709 bp마커(KHTS)를 확보하였다. KHTS분절로부터 얻어진 internal primer set의 PCR 산물은 B. cereus 그룹의 다른 종으로부터 탄저균만을 구별하였다.

쌀로부터 $Bacillus$ $cereus$ Group의 분리와 Biofilm 형성 특성 (Detection of $Bacillus$ $cereus$ Group from Raw Rice and Characteristics of Biofilm Formation)

  • 김진영;유혜림;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57-6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도, 충남 지역의 벼를 수집하여 쌀겨와 현미에서의 $B.$ $cereus$ group을 분리하였으며, 분포분석을 통해 작물의 오염 정도를 알아보았고, biofilm 형성시 특성을 연구하였다. $B.$ $cereus$는 총 26개의 시료 가운데 쌀에서 34.6%, 쌀겨에서 50.0%로 가장 높은 분포도를 나타냈으며, $B.$ $thuringiensis$는 쌀에서 3.9%, 쌀겨에서 23%의 분포를 보였다. 분리된 균주의 biofilm 형성 능력 실험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biofilm 형성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표준 균주에 비해 분리 균주가 biofilm 형성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iofilm이 형성된 $B.$ $cereus$의 경우 항생제와 항균제 처리에 따른 최소저해농도는 부유 세균에 비해 대체적으로 높은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쌀밥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와 Bacillus thuringiensis의 독소유전자 분석 (Toxin Gene Analysis of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Cooked Rice)

  • 전종혁;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1-367
    • /
    • 2010
  • 쌀밥의 미생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쌀을 취반한 후 세균을 분석하였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생쌀 30개를 수집하여 취반 후에 중온성 호기성균과 MYP선택배지에서 Bacillus cereus group를 분리 동정하여 그의 분포도와 독소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취반 직후의 쌀밥 27%에서 1-3 log CFU/g정도의 총 중온성 호기균과 거의 같은 정도로의 Bacillus spp.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균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들도 증균한 후에는 B. cereus group균들이 검출되어 사실상 대부분의 시료에서 Bacillus spp.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시료로부터 37개의 분리하여 동정한 균주는 B. thuringiensis, B. cereus, B. valismortis,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 등으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중 20개(54%)의 분리주가 B. thuringiensis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9개(27%)의 B. cereus이였다. 그리고 3개(8%)의 B. valismortis와 각각 1개(3%)의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이였다. B. thuringiensis는 모두에서 non-hemolytic toxin gene(nhe)을 가지고 있었고 9개의 B. cereus중 7균주가 emetic toxin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쌀밥에는 B. thuringiensis가 B. cereus보다 더 높은 빈도로 분포되어 있고 B. cereus는 설사형 독소유전자 보다는 구토형 독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취반 후 쌀밥을 상온에서 보관하여 발생되는 B. cereus 식중독은 설사형보다 구토형일 가능성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