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domain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2초

배움중심 DIY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on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 안종수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2호
    • /
    • pp.215-240
    • /
    • 2022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for students to actively design instructions and developed important competencie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did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affect ma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w did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affect the affective domain? Third, what was the reaction of student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8 students in 2 classes of 2nd grade of 00 High School located in 00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could be seen that the study group that taught the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was very helpful in the change of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who taught the explanatory instruction based on traditional textbooks.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ffective domain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ir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in the research group through the learning-centered DIY mathematics instruction improved in a positive direction, and there were some negative responses.

수학과 수준별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4호
    • /
    • pp.335-3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by a meta-analysis. Among the studies conducted for last twenty three years, the relevant 49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80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or the cognitive domain and 70 effect sizes for the affective domain. Effect sizes were analyzed with school levels, student level, group organization method such as homogeneous vs. heterogeneous, class transfer and adjusting class sizes for each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In the cognitive doma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duced a medium effect(effect size=0.68, U3=75.17%).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o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id level students, heterogeneous group, class transfer and not adjusted class size. And in the affective domain,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roduced a low effect(effect size=0.36, U3=65.36%).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on elementary school, mid level students, and heterogeneous group. Thus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mathematics classes.

감정적 참여와 피드백이 환경 단원의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ffective Participation and Feedback in Environmental Unit Achievement)

  • 박진희;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7-102
    • /
    • 1996
  • Attitud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luences on behavior and is defined as an enduring positive or negative feeling about some person, object or issues. The teaching strategies for affective domain are needed to develop the positive attiudes about environments. One of them is to faciliate the involvement of emotional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emotional feedback. Cognitional feedback was carried to control group but cognitional and emotional feedback were carried concurrently to experimental group. By the results, post 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bout four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spectively. Therefore this strategy is effective to achieve goals of affective domain. Also, emotional feedback is important factor to raise the achievement of cognitive domain, too.

  • PDF

탐구중심 생물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quiry-based Biology Program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 최진;서혜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879-889
    • /
    • 2012
  • 이 연구는 탐구중심 생물학실험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사범대학 과학교육계열 학생 중 생물학실험을 신청한 6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뒤 실험집단에는 탐구중심 실험수업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관찰중심 실험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수업 처치 전과 후 두 집단 모두에게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탐구중심 생물학실험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조금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과학의 정의적 영역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과학에 대한 자기 효능감, 과학의 필요성, 장래직업에 대한 과학의 필요성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1). 탐구중심 생물학실험 수업은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정의적 영역을 향상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수학의 가치 교육: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Teaching of the value of mathematics: in the perspective of Michael Polanyi's philosophy)

  • 남진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81
    • /
    • 2014
  •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의 인지적 영역에서는 높은 성취를 보이지만 정의적 영역에서는 현저히 낮은 성취를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의 정의적 영역 중 수학의 가치 교육 문제에 대하여 폴라니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논하였다. 폴라니의 인식론에서는 개인적 지식과 지식의 암묵적 차원을 강조한다. 그는 수학의 추상성, 일반성을 강조하였고, 수학의 발전은 공리적, 형식적 측면보다는 지적 아름다움과 열정에 의하여 안내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폴라니의 인식론의 관점에서 볼 때, 수학의 유용성, 실용성 등의 언어적 전달이나 표면적인 흥미 유발을 위한 활동은 본질적으로 가치 교육 및 수학 공부의 내재적 동기 부여에 한계가 있다. 수학 공부의 가치는 적절한 수학 문제에로의 몰입과 긴장, 그리고 문제가 해결되면서 따르는 기쁨, 환희를 맛보며 몸으로 체득하면서 배워야 하는 것이다.

  • PDF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자 변인과 영어 학업 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variables and English accomplish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심순희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261-286
    • /
    • 2005
  • Lately, teaching methods and instruments have become student-centered and are directed towards developing a communicative competence of learners. However,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the level of our students English is not very good. I guess the reason is that our English education is focused on the uniformal teaching method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of intelligence, affective domains and study time.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students' English accomplishments. So I divided the students into 2 groups of superior and inferior students by the standard of intelligence, affective domain and study time and compared the scores between the groups in the fields of reading comprehension, grammar, pronunciation, accent, vocabulary, and listening. These were the results that followed: First, intelligence has a great influence students' English accomplishment in all fields. Second, affective domains such as motivation, anxiety, attitude, confidence, and studying time also have some influence on the students' English accomplishments. Third, the sequence of these factors according to their influence force are as follows: study time, anxiety, intelligence, motivation, attitude, and confidence. So we can conclude that we should teach English according to our students' ability in the field of intelligence and affective domains and should not ignore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ey have.

  • PDF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A Study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 남진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7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에 진술되는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 교육과정까지 진술된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정의적 영역 목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진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Using Student Self-Assessment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 문소정;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9-297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과정 중심 평가가 대두됨에 따라 교실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정착 및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자기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제안하였고 이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동질성이 검증된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에는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비교집단에는 교사 주도의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 평가를 통한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실험집단의 정의적 영역은 유의미하게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학생들의 소감문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본 수업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더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Small-Scale Chemistry(SSC) Lab Program in High School Science Classes)

  • 홍훈기;유미현;윤희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56-262
    • /
    • 2006
  • 연구의 목적은 Small-Scale Chemistry(SSC)를 적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과학관련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에 대한 SSC 실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SSC 실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 집단에서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실험 수업을 실시하여 사전-사후 과학성취도 및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SSC 실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한 실험집단의 성취도가 교과서 내용의 전통적인 실험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p<.01).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의 경우, 흥미와 과학적 태도 영역에서도 SSC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SSC 적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대부분 과학학습에 있어 효과적이고 흥미 있는 수업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잘 설명해주고 있었다.

중학교 과학에서 탐구자료 활용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Science)

  • 김상달;김찬기;김희정;주국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3-71
    • /
    • 2008
  •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check if research activities can make positive effects on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instruction utilizing the textbook. The effects of the class should be measured both in cognitive domain and in affective domain. The cognitive domain was measured by the change in achievements in learning science, and the affective domain was measured by the change in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The assumptions to be verifi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s in learning science are higher in the learner oriented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than in the learner oriented traditional instruction utilizing the textbook. Second,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are higher in the learner oriented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than in the learner oriented traditional instruction utilizing the textbook.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ognitive domain, achievements in learning science showed significant change(p=.045) measured by verifying the score for the difference among the averages for each sub-scale, in 5% of meaningful probability, and were higher in the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study. In the affective domain,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showed significant change(p=.019) measured by verifying the score for the difference among the averages for each sub-scale, in 5% of meaningful probability, and were higher in the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study. In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2 items(self-conception of science, attitudes of learning science) out of 3 items(self-conception of science, attitudes of learning science, learning habits of science) showed significant changes (p=.045, p=.001). But the difference(learning-habits of science) was not significant(p=.91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