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 활성도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5초

SIS/PLGA 담체와 근육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조직공학적 골재생 (Effects of SIS/PLGA Porous Scaffolds and Muscle-Derived Stem Cell on the Formation of Tissue Engineered Bone)

  • 김순희;윤선중;장지욱;김문석;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14-21
    • /
    • 2006
  • 조직공학 기술은 in vitro와 in vivo에서 초기 세포 부착과 차후의 조직형성을 위해 3차원적인 지지체로서 다공성의 생분해성 담체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소장점막하조직(small intestinal submucosa, SIS)은 고유의 인장력과 생체적합성 때문에 생체물질로서 사용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콜라겐 조직이다. 근육유래 줄기세포는 배양조건에 따라 골세포, 연골세포, 및 근육세포 등으로 분화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SIS를 함유한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GA) 다공성 지지체를 용매캐스팅/염추출법으로 제조하였고, 전자주사현미경 및 수은다공측정계를 이용하여 특성을 결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과 성장률은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고 골로 분화된 세포를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ALP) 활성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SIS가 함유된 지지체와 SIS가 함유되지 않은 지지체를 면역결핍 쥐의 피하에 삽입하여 이들의 골형성 정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조직을 파라핀으로 고정시켜 슬라이드를 제조한 후 hematoxylin과 eosin, 트라이크롬 및 본쿠사 염색을 실시하였다. 천연/합성 하이브리드 담체로서의 SIS/PLGA 담체가 PLGA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볼 때 골형성이 우수하였는데 이는 SIS 내에 함유하고 있는 여러 생체활성분자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돌나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dum sarmentosum Bunge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14-1119
    • /
    • 2003
  • 폐경을 앞둔 여성에게는 폐경을 전후하여 지속되는 골 손실 가속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난소 절제 쥐에서의 골 손실의 유무를 결합조직 중의 collagen함량 변화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난소 절제 후 결합조직 중의 Collagen 함량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에 비해 낮았으나 돌나물 추출물 투여에 의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난소 절제시 나타나는 결합조직 중 collagen 함량 저하에 대하여 돌나물 추출물의 작용 가능성이 밝혀졌으므로, 돌나물을 분획하여 그 효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인 혈 중 ALP 활성은 난소 절제로 (OVX-control)로 인하여 증가하는 반면,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 투여 (OVX-EE, OVX-EA)로 혈 중 ALP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골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과 골$.$연골 조직에서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중 연골 조직에서는 collagen 함량의 저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피부 조직에서도 난소 절제 후 돌나물 분획물 투여군 모두에서 collagen 합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나물 추출물과 분획물이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Collagen 합성저하를 회복시킨 본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돌나물 중의 phytoestrogen이 에스트로겐 유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외인성 에스트로겐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폐경기 여성에게 돌나물의 섭취는 폐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에스트로겐의 장기간 복용에 의한 부작용을 돌나물 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 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그 부작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의 구조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키토산 올리고당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농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hitosan Oligosaccharide Intake on the Improvement of Serum Lipid Level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김한수;윤호동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86-1692
    • /
    • 2008
  •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있어서, 붉은 대게(Chinonecetes japonicus) 껍질에서 추출 제조된 키토산 올리고당의 급여가 혈청 지질개선효과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지질성분 및 효소의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SD계 흰쥐 수컷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BW군을 비롯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군(CW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에 키토산 올리고당을 섭취시킨 군(CCW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 및 혈당 농도 등은 키토산 올리고당을 섭취시킨 군(CCW군)에서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 등은 키토산 올리고당 급여(CCW군)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중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aminotransferase (AST, ALT)의 활성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 시킨 후 키토산 올리고당을 급여시킴으로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키토산 올리고당이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 조절 및 혈청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숭어(Mugil cephalus) 비늘 유래 가용성 콜라겐 펩타이드가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luble Collagen Peptides Extract Derived from Mugil cephalus Scale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 김한수;윤호동;성종환;이영근;;김수하;최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94-1801
    • /
    • 2009
  •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한 가용성 펩타이드 추출물이 streptozotocin (STZ 55 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도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있어서, 혈당 및 혈청 지질개선효과와 당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변동을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인 CG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군(SW군), 당뇨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SFW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당뇨 유발군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급여함으로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등은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SFW군)에서 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 등은 콜라겐펩타이드 섭취(SFW군)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중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aminotransferase(AST, ALT)의 활성은 STZ으로 당뇨를 유도 시킨 후 콜라겐펩타이드를 섭취시킴으로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등에서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혈당조절 기능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당뇨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귤피를 급여한 교잡종 돼지 고기가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with Meat for Crossbred Pig Fed with Tangerine Peel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문윤희;양승주;정인철;양양한;고진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8-63
    • /
    • 2006
  • 감귤피를 급여하지 않은 교잡종 돼지고기(대조구, $T_0$), 육성기와 비육기에 각각 3% 및 5% 급여한 돼지고기($T_1$), 그리고 6% 및 10%를 급여한 돼지고기($T_2$)등 3 종류를 각각 단백질로 환산하여 12% 되도록 흰쥐 식이에 첨가하였다. 이식이를 생후 17주령의 흰쥐에 4주간 급여하여 영양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구($T_0$)와 감귤피 급여구($T_1$$T_2$)의 사이에 흰쥐의 증체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장기(간, 신장, 비장, 부고환 지방)무게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의 지질(총지질, 인지질,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혈당, 혈색소 함량 및 효소(${\gamma}-GTP$, ALT, AST, ALP) 활성은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흰쥐의 간에서 얻은 총지질 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대조구보다 감귤피 급여구가 낮은 값을 보여(p<0.05), 감귤피 첨가 사료로 사육한 교잡종 돼지고기가 흰쥐 간의 중성 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제주 재래돼지고기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at Supplementation of Jeju Native Black Pigs Fed Tangerine Byproduct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고진복;양승주;정인철;현재석;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5-182
    • /
    • 2006
  • 감귤 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제주 재래돼지고기($T_0$)와 육성기와 비육기에 각각 8%와 15% 급여한 돼지고기($T_1$)를 흰쥐의 사료에 단백질로 환산하여 12%되도록 첨가하였다. 이 사료를 생후 17주령의 흰쥐에 4주간 급여하여 영양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의 사료 섭취량, 사료효율 및 체중 증가량은 $T_0$$T_1$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흰쥐의 간, 신장, 비장 및 부고환 등 장기의 무게와 간의 중성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T_0$$T_1$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총지질, 인지질,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단백질, 혈당, 혈색소, 무기질 함량, 그리고 ${\gamma}$-GTP, ALT, AST 및 ALP 활성은 $T_0$$T_1$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혈청의 HDL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T_1$$T_0$에 비하여 증가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제주 개량흑돼지 고기가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 with Meat of Crossbred Black Pig Fed with Tangerine Peel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고진복;김재영;정인철;양승주;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7
    • /
    • 2006
  • 감귤피를 먹이지 않은 개량흑돼지 고기$(T_0)$와 성장기와 비육기에 감귤피를 각각 $6\%$$10\%$ 먹인 개량흑돼지 고기$(T_1)$를 첨가하여 식이를 제조하고 흰쥐에 급여했을 때에, 두식이 사이에 횐쥐의 증체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장기(간, 신장, 비장, 부고환 지방)무게, 혈청의 지질함량 중 총 지질, 인지질,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간의 총 지질과 중성지질 함량, 그리고 혈청의 단백질, 혈당, 혈색소 함량 및 효소($\gamma-GTP$, ALT, AST, ALP)활성은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감귤피 첨가 사료를 먹인 돼지고기의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과 혈청의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귤피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서(p<0.05) 지질대사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오디가 난소를 절제한 흰쥐 결함조직 중의 collagen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berry Fruits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 최경하;박미화;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022-1027
    • /
    • 2005
  • 폐경을 앞둔 여성에게는 폐경을 전후하여 지속되는 골 손실 가속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폐경을 유발시킬 수 있는 난소 절제 쥐에서의 골 손실의 유무를 결합조직 중의 collagen함량 변화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생화학적 골 대사 지표인 혈 중 ALP활성은 난소 절제로(OVX-control)로 인하여 증가하는 반면,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OVX-EE, OVX-EA)로 혈 중 ALP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골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에 의해 폐 조직과 골 $\cdot$ 연골 조직에서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중 연골 조직에서는 collagen 함량의 저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피부 조직에서도 난소 절제 후 오디 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collagen 합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추출물이 estrogen감소로 인한 collagen 합성저하를 회복시킨 본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오디 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유사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국내산 오디뿐만 아니라 중국산 오디에서도 갱년기 유도에 의한 collagen 함량 저하를 회복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외인성 estrogen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폐경기 여성에게 오디의 섭취는 폐경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estrogen의 장기간 복용에 의한 부작용을 오디중의 phytoestrogen이 estrogen대체 작용을 함으로써 그 부작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의 구조 및 기전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데포비어가 중간엽 줄기세포와 조골세포의 골형성 분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efovir Dipivoxil on the Inhibit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and Osteoblasts)

  • 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84-290
    • /
    • 2023
  • Adefovir dipivoxil (ADV)은 간염 바이러스 및 에이즈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으로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ADV와 골 분화 억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 미분화 세포인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와 골아세포(MG63)를 이용하여 ADV가 미분화 세포 수준에서 골세포 성숙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먼저, MSCs와 MG63 세포에 ADV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각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ell Counting Kit-8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각 세포와 핵의 형태학적 분석을 위해 crystal violet과 Hoechst 염색을 시행하였다. 세포의 비대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TGF-β 발현을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MSCs와 MG63 세포의 성숙한 골세포로의 분화도를 확인하고자 ALP 염색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ADV는 MSCs와 MG63 세포에서 핵과 세포질의 비대 현상, 세포의 증식능 억제, 성숙 골세포로의 분화 능력의 감소를 유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ADV가 TGF-β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었고, TGF-β의 증가는 MSCs와 MG63 세포부터 성숙한 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ADV 약물은 MSCs와 MG63 세포의 TGF-β 발현을 증가하여 세포 형태와 핵의 비대증을 유발하며, 세포의 증식억제 및 성숙한 골세포 분화능에 영향을 주어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DV 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세포학적 수준에서 골다공증 유발에 미치는 생물학적 상관성과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서 기초의학과 임상연구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골막기원세포에서 strontium에 의한 조골세포 표현형의 활성 (STIMULATION OF OSTEOBLASTIC PHENOTYPES BY STRONTIUM IN PERIOSTEAL-DERIVED CELLS)

  • 김신원;김욱규;박봉욱;하영술;조희영;김정환;김덕룡;김종렬;주현호;변준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199-206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rontium on osteoblastic phenotypes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Periosteal tissues were harvested from mandible during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impacted third molar.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introduced into cell culture. After passage 3,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further cultured for 28 days in an osteogenic inductio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fetal bovine serum, ascorbic acid 2-phosphate, dexamethasone and at a density of $3{\times}10^4$ cells/well in a 6-well plate. In this culture medium, strontium at different concentrations (1, 5, 10, and 100 ${\mu}g$/mL) was added. The medium was changed every 3 day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We examined the cellular proliferation, histochemical detection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of alkaline phosphatase (ALP), the RT-PCR analysis for ALP and osteocalcin, and von Kossa staining and calcium contents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Cell prolife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addition of strontium in periosteal-derived cells. The ALP activity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as higher in 5, 10, and 100 ${\mu}g$/ml strontium-treated cells than in untreated cells at day 14 of culture. Among the strontium-treated cells, the ALP activity was appreciably higher in 100 ${\mu}g$/ml strontium-treated cells than in 5 and 10 ${\mu}g$/ml strontium-treated cells. The levels of ALP and osteocalcin mRNA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as also higher in strontium-treated cells than in untreated cells at day 14 of culture. Their levels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Von Kossa-positive mineralization nodules were strongly observed in the 1 ${\mu}g$/ml strontium-treated cells at day 21 and 28 of culture. The calcium content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as also higher in 1 ${\mu}g$/ml strontium-treated cells at day 28 of cul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concentration of strontium stimulates the osteoblastic phenotypes of more differentiated periosteal-derived cells, whereas high concentration of strontium stimulates the osteoblastic phenotypes of less differentiated periosteal-derived cells. The effects of strontium on osteoblastic phenotypes of periosteal-derived cells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differentiation-ex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