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Landscape Architecture of Historic Sit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초

선사유적의 정비·복원(1) - 구석기유적의 생태공원화 방안을 중심으로 - (Restoration of the Prehistoric Site(1) - Focused upon Restituting Paleolithic Site into an Ecological Park -)

  • 문석기;장호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7-80
    • /
    • 2011
  • This study is focused upon developing repairing and restoration methodologies of the Paleolithic sites. The Paleolithic era is not only the remote past, which ended ten thounds years ago, but the period of much different ecological condi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se days. There have been two kinds of conservation method adopted to restoration of Paleolithic sites which are historic park and ecological park. But there left not much historic remains than ecological sources in most Paleolithic sites, restoring them into ecological park is thought to be more reasonable for the purpose of conserving sites and remains. The first step of restoring Paleolithic sites is reconstructing environmental background in which they earned a living with their own life style at that time. There are three ways of ecological restoration for prehistoric sites, which are the reclamation, the rehabilitation, and the restoration. The reclamation requires physical modification, and the rehabilitation does biological modification, but only the restoration requires improved management. Among them, the most desirable way applicable upon the Paleolithic sites restitution is the reclamation.

융릉과 건릉의 역사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ervation for the Historic Landscape of Yungneung and Geolleung)

  • 이창환;김두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5-57
    • /
    • 2017
  • 조선왕릉은 제례행위의 특성에 따라 능역 내외사신사의 능원 안에 진입공간-제향공간-능침공간으로 나누어진다. 각 공간에는 제례행위 및 공간의 특성에 따라 능제시설이 배치되어 보존 관리되고 있다. 2009년 세계유산에 등재 된 조선왕릉의 경우 더욱 원형 보존과 관리의 철저가 요구되며 원형복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특히, 융릉과 건릉은 2009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국가사적으로 세계유산 관리 규정에 맞게 경관 관리가 요구되며 능원의 전면경관(60도) 수평각의 중점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많이 훼손된 능원(융릉과 건릉)의 핵심지역 주변경관에 관한 원형검증 및 이들의 보존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고문헌 및 문헌자료를 통한 검증 및 현장조사를 통해 풍수적 내외사신사의 능선과 수계 그리고 전후경관, 제례동선 주변의 경관, 그리고 역사경관림 등을 검토하였다. 즉 융릉과 건릉의 풍수적 경관, 수계 그리고 식생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보존 관리 방안을 검토하였다.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변천과 주요정책의 국내 명승 적용 제언 (A Changes in China's Landscape Scenic Sites System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Major Policies to Scenic Sites of Korea)

  • 김동현;이건풍;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18
    • /
    • 2023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명승의 자연유산으로의 가치 확립과 내용적 범위의 확장을 위해 자국 내 법률의 국제화를 실현한 중국의 풍경명승구를 대상으로 국내와의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선용할 수 있는 부분을 변별하고자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도입과 변화과정, 관련 정책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풍경명승구는 근현대기 서양 문물의 유입과정에서 기존 명승 유람문화과 여행, 관광의 문화로 확장되었고, 여행지로서 각광받게 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풍경명승구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을 발전시켰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풍경명승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는 풍경명승구 관련 제도가 수립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풍경명승구 조례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풍경명승구의 지정은 면적에 따라 용지규모가 구분되며, 풍경명승 분류 선별, 등급 평가, 평가지표와 등급기준에 따른 종합가치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른 등급분류 결과에 따라 국가급에서부터 지방단위의 풍경명승구까지 세분화하고 있다. 셋째, 풍경명승구의 보존관리는 중앙정부에서 전국의 풍경명승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지방정부의 건설 부서에서 해당 지역의 풍경명승구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급 이상 지방정부가 설립한 풍경명승구 관리기구가 실질적인 풍경명승구의 보호와 활용, 관리 업무를 실시하는 체계를 지닌다. 또한 14가지 세부지표를 통한 풍경명승구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명승 정책의 적용을 고려해볼 때 국민의 활용적 관점에서 제도를 수립해 온 정책의 전개방식은 고려할 사항이라 판단된다. 한편, 다양한 지표 설정을 통한 지정 및 관리체계 평가는 경관에 대한 감흥이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정량화된 평가를 맹목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명승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고, 유산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 손은신;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1-35
    • /
    • 2018
  • 최근 산업유산, 근대 문화 유산,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공원 등 기억의 경관들이 공공 공간으로 새롭게 활용되고 있다. 여러 유형의 기억의 경관 중 19~20세기에 주로 형성된 근대 역사 경관(modern historic landscape)은 근대사에 대한 평가 및 인식 변화에 따라 보존과 철거 간 논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관이다. 본 연구는 1995년 철거된 서울의 구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근대 역사 경관을 둘러싼 보존과 철거 사이의 쟁점을 검토하고, 보존 및 철거를 결정하는 가치 판단 기준과 근대 역사 경관의 형성 방식을 탐구한다. 먼저 1980~1999년 사이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다룬 신문기사, 뉴스, 토론 프로그램 자료와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철거 논쟁의 주요 쟁점으로 다음의 여섯 가지 항목을 도출한다: 상징적 위치, 새로운 역사적 사실의 발견과 대응, 관련 국가의 반응과 개입, 재정적 여건, 경관의 기능과 이용 방식, 도시 역사 건축 정책 변화. 이를 기반으로 근대 역사 경관을 형성하고 보존 혹은 철거를 결정하는 중요한 가치로서 상징적 가치 간 대립 양상과, 근대 역사 경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비판에 대응하는 기능적 가치의 역할을 고찰한다. 특히 본 연구는 근대사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면서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의 향방 또한 변화하지만, 오늘날에도 결정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여전히 상징적 가치라는 점에 주목했다. 근대 역사 경관은 오늘날 중요한 설계 대상지 중 하나로서 여전히 합의되고 해결되어야 할 역사적 쟁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근대 역사 경관의 가치를 상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로 나누어 평가하고, 그 배경에 자리한 사회적 맥락을 재검토했다는 점에서 동시대적 의의를 갖는다.

산업유산으로서의 폐광산 재활용 방법론 연구 (Reuse Methodology for Abandoned Mines as Industrial Heritage)

  • 강동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1-129
    • /
    • 2007
  • Industrial heritage artifacts may include the industrial products,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s that have contributed to modernization beginning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history of our industrial heritage spans 50 to 150 years and can be characteriz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site and the technology. This paper analyzes 13 precedents in Japa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se concerns, with focus on the reuse of abandoned mines as industrial heritage.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about each abandoned mine were used to obtain historical records and material. The results describe progress in three phases (1) recognizing phase, (2) organizing phase, and (3) maintenance management phase. A proper methodology for reuse is necessary to ensure the authenticity of the abandoned mine, particularly in the face of poor tourism-oriented approach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13 cases, we determined that the following principle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reuse process. Firstly, reuse of abandoned mines should not be compulsory but should be a spontaneous process and especially, should be carried out by inhabitants. Secondly, education and real experiences in the abandoned mine should be used to ive visitors a feeling of authenticity. Thirdly, creative remodeling methods can be used to enhance the abandoned mine's facilities and the site. Finally, historic and new functions should be the focus of the revitalization. Because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13 precedents, there are likely more diverse cases. However, the conclusions of this report have practical value for reuse of abandoned mines and can be used in establishing methods for reusing Korean abandoned mines as industrial heritage.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and Landscape Visibility in the Surround Area of the Jongmyo)

  • 서주환;오지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8-126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분석, 평가한 후 경관보존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실태와 경관통제점 및 시각회랑에서의 경관가시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종묘의 서쪽과 동쪽지역에서 현상변경신청이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와 종묘의 경관보존이 서로 대립하고 있고, 종묘 주변의 경관 보존 관리가 점점 압박을 받고 있어 적절한 법적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관통제점과 시각회랑에서 경관저해요소로 나타나는 건물은 스카이라인을 해치고 있으며, 문화재의 배경 보존적 측면에서도 종묘와 이질적인 형태의 현대식 건물이 조망됨으로써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종묘 주변의 토지이용과 조망을 고려한 경관보존적 측면에서 종묘의 문화재보호를 위하여 특성에 맞는 토지이용방안을 설정하고 관리의 틀을 제안하였다.

부여 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회고(懷古) 관성(慣性) (Retrospective Inertia of Historic Spots and Spectacles of Baekje's Sabi Period, Represented in Buyeo's Palkyung)

  • 노재현;이규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28
    • /
    • 2010
  • 본 연구는 고도 부여의 경관이미지를 가장 잘 함축한다고 판단되는 '부여 팔경'을 문헌 역사지리학적 방법에 입각해 분해, 재구성함으로써 부여 명소에 대한 장소적 회고 관성이 일종의 지리코드로서 전승되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백제 패망 이후 부여의 찬란했던 문화유산은 대부분 사라지고 몰락한 역사와 회한의 흔적이 잔영처럼 남아 있듯 부여 팔경에 등장하는 장소와 경물 또한 대부분 '백제'라는 몰락과 상실의 표상으로 전형화 되며 유전되고 있다. 부여 팔경은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구팔경'과 '전팔경'을 모본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누정 건립 및 숭현사상 고취 등의 여건 변화로, '수북정팔경'과 '부여회고팔영'은 경물 선정에 약간의 변모를 보였다. 유독 회고적 장소 관성에서 비켜서 있는 '후팔경'은 기존 팔경 요소를 의도적으로 제척함으로써 부여 명소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 별도의 목적이 읽혀진다.1900년대 작정된 '신팔경'과 '고적팔경'에서도 재차 회고되는 낙화암, 고란사, 조룡대, 평제탑 등은 모두 부여의 궁성 반월성을 중심으로 1km 범위 내에 위치한다. 또한 대왕포, 부산를 비롯하여 거의 동일 시점장으로 인식되는 자온대와 수북정 그리고 규암진과 의열사는 반월성을 중심으로 한 3km범위에 포치되고, 유일하게 4km 포치권내 분포하고 있는 천정대조차도 모두 백마강이라는 하상의 연계경관을 중심으로 배열되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적 경관회고의 재발 현상은 부여 팔경이 일시적이거나 즉흥적인 것이 아닌 백제 사비시대의 역사 회고와 경관 윤회의 관성에 의해 구축되고 재생되어온 풍경임을 환기시켜 준다. 부여문화와 문명조차도 백제 폐망과 관련된 장소관성에 지배받고 있으며 과거 몰락한 장소 및 경물의 기억 또한 부여 경관이미지의 미래가 될 수밖에 없음은 매우 아이러니하다. '폐망한 고도'라는 시간 및 장소 메시지를 바탕으로, 되풀이되며 강한 회귀성을 보이는 '부여팔경'이야말로 사비시대 부여의 경관 및 장소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지리코드이다.

선정릉의 적정수용능력 추정 및 관리방안(I) -토양환경 및 식생분석- (Carrying Capacity Estim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Seonjeong Royal Tomb(I)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Analysis-)

  • 이경재;오구균;권영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45
    • /
    • 1987
  • The Seonjeong royal tomb is one of many historic sites in and around Seoul city and its natural environment and landscape have born damaged seriously by heavy use. So conservation planning with an estimation of reasonable carrying capacity shall be required In aspect of not only historic site conservation, but also urban forest and nature park management. Eight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during July of 1986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Environmental factors, actual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grade were investigated in field and vegetational structure was analyzed by estimation of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similarity index, DBH class distribution,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amage on soil and vegetation of middle and lower layer increased according to amount of users'impact. 2. Semi - natural vegetation covered 63% of the total area(22.2 ha) and its major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 mongolica, Sorbus alnifolia, etc. Pinus densiflora was a dominant species in heavy impact area. 3. Environmental impact grade 3, 4 and 5 area covered 51% of the seminatural vegetation, Especially, the area of impact grade 4 and 5 should be restored because self-refair seemed to be impossible. 4. The semi-natural vegetation was classified with four plant communities; two P.densiflora comm., Q. mongolica-P. densiflora comm. and Q. aliena comm. One of the P. densifolra comm. was destroyed seriously with no younger trees in middle and lower layer by overuse impact and would be bareland soon. But Q. aliena comm.in light impact area showed just completion of plant succession from P. densiflora comm.

  • PDF

경주 월성의 역사공간 이미지 및 관광객 이용행태 분석 (Tourists' Historical Imag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for Heritage Site at Wolseong Palace in Gyeongju)

  • 강태호;박종구;반상;김상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8-158
    • /
    • 2011
  • 경주 월성은 신라시대 궁궐이 있었던 역사적 상징성이 있는 궁궐터로 왕경 경주의 대표적인 역사유적이다. 본 연구는 경주 월성을 대상지로 역사공간 이미지와 관광객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현장조사와 설문조사 두 단계로 실시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행태, 시간, 공간별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경주 월성의 주된 이용행태는 서서 하는 행위, 앉아서 하는 행위, 놀이/유흥 순으로 나타나고, 일반적인 역사문화유적지와 비교해 이용행태는 매우 단조로운 것을 알 수 있다. 경주 월성의 이용활성화를 위하여 주 진입로의 역할기능을 강화하면서 탐방객들을 월성 내 타 공간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각 동선코스를 사전에 안내하는 표지판, 야간조명, 식생정비, 도로정비 등을 필요하다.

경관정체성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of ChonJu Palkyong for Improvement of Landscape Identity)

  • 신상섭;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35
    • /
    • 1999
  • This thesis is to newly understand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Chonju Palkyong(全州八景) by the specific gravity in making a counter-proposal in other to improve the landscape identity of modern city and at the same time. I intended to group the grafting device for the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modern history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construction. The meaning system of Chonju Palkyong showed the symbolic system which a landscape construction, four directions and two places has and exhibited the landscape shape possessing a luxuriant local feature peculiar to Chonju, preserving visual bound language of a classical Palkyong. Especially, it implies the use of the substantial landscape experienced factor, the expressions about natural phenomena and the matter which has melted human living circumstances. The landscape construction and it's form show the system which forms the different time field, a far landscape and a mid distance landscape and a near landscape, etc., under the visual, psychological, scenic influenced area, preserving the feature of the similar and typical type of Sosang Palkyoung(瀟湘八景) which intended to seek the local reappearance of the famous site experienced type and natural matter which famous place and local conduct were combined. The object space of Chonju Palkyong area representing the nature of historical landscape cultural assets, pushed by the greater part of the development based theory, shows injured aspects, but needs to play a part to seek such a up-to-date successive plan as the reconstruction of the destroyed historical landscape area which motivated Palkyong, the establishment of useful area, the embodiment of the cultural identity of Palkyong area and the becoming of the educational cultural life space. The analysis of the landscape construction of Chonju Palkyong and the grouping of the modern successive plan which I considered in this thesis, will be able to become a fundamental data to carry out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landscape and the landscape plan in the 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