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and Landscape Visibility in the Surround Area of the Jongmyo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 Suh, Joo-Hwa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 Oh, Ji-Ho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서주환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오지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06.08
  • Accepted : 2010.06.29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uggestion which is a way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he Jongmyo landscape based on its landscape visibility and land use. To do this, we had done a field investigation and a literature examination. The investigations are as following; we researched current application which for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near the Jongmyo. According to this research site could notice that landscape visibility can be affected by not only the height of building the Jongmyo. The visibility can be affected by photograph's undulation, too. Furthermore, we notice that even some building are located far from the view point and view corridor, it can be a factor which decrease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visibility. Finally, we can propose how to make way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y through restrict land use which based on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landscape visibility and land use around the cultural assets.

본 연구는 서울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분석, 평가한 후 경관보존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종묘 주변지역의 현상변경실태와 경관통제점 및 시각회랑에서의 경관가시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종묘의 서쪽과 동쪽지역에서 현상변경신청이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와 종묘의 경관보존이 서로 대립하고 있고, 종묘 주변의 경관 보존 관리가 점점 압박을 받고 있어 적절한 법적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관통제점과 시각회랑에서 경관저해요소로 나타나는 건물은 스카이라인을 해치고 있으며, 문화재의 배경 보존적 측면에서도 종묘와 이질적인 형태의 현대식 건물이 조망됨으로써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종묘 주변의 토지이용과 조망을 고려한 경관보존적 측면에서 종묘의 문화재보호를 위하여 특성에 맞는 토지이용방안을 설정하고 관리의 틀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진, 최동식(2002). 역사지구의 개념 확대와 정립을 위한 기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4): 41-58
  2. 강동진(2006). 세계문화유산의 완충구역 관리 개념 정립.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1): 7-20.
  3. 김정원, 김기호(2003). 도심부 문화재 주변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03 추계학술논문발표대회. pp.60-75.
  4. 김규연, 이경호, 김한옥, 박동석, 최종희(2007). 도심지에 위치한 사적지 일원의 경관보전.관리방안-효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학회지. 25(1): 38-46.
  5. 도동철(2003). 문화재 주변 건축물의 높이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화재청(2006).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 매뉴얼 마련 연구.
  7. 문화재청(2008). 문화재 주변 영향검토구역 개선연구.
  8. 백종철, 조운연, 나명하(2008).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기준안 작성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74-78.
  9. 서울시(1981). 서울시 도심고도제한 기준에 관한 연구.
  10. 이호정(2002).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면적문화재 주변지역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우현(2001). 문화재주변의 경관지구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종희(2007).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 마련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72-79.
  13. 최종희(2008). 홍유릉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토지 이용을 고려한 경과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24-40.
  14. 최종희(2009). 김포 장릉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18-29.
  15. 최형석(1999).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최호운(2001). 문화재 주변 경관 고도규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한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국토지리연구원(http://www.ngi.go.kr)
  18.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등 허가기준 마련지침(http://www.cha. go.kr)
  19. 서울시 GIS 포털 서비스(http://gis.seoul.go.kr)
  20.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http://luris.mlt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