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and Landscape Visibility in the Surround Area of the Jongmyo  

Suh, Joo-Hwa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Oh, Ji-Ho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28, no.2, 2010 , pp. 118-12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uggestion which is a way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he Jongmyo landscape based on its landscape visibility and land use. To do this, we had done a field investigation and a literature examination. The investigations are as following; we researched current application which for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near the Jongmyo. According to this research site could notice that landscape visibility can be affected by not only the height of building the Jongmyo. The visibility can be affected by photograph's undulation, too. Furthermore, we notice that even some building are located far from the view point and view corridor, it can be a factor which decrease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visibility. Finally, we can propose how to make way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y through restrict land use which based on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landscape visibility and land use around the cultural assets.
Keywords
Jongmyo; Historic Cultural Landscape; Changing the Actual Condition; Landscape Visi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동진, 최동식(2002). 역사지구의 개념 확대와 정립을 위한 기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7(4): 41-58
2 강동진(2006). 세계문화유산의 완충구역 관리 개념 정립.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1): 7-20.
3 김정원, 김기호(2003). 도심부 문화재 주변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03 추계학술논문발표대회. pp.60-75.
4 김규연, 이경호, 김한옥, 박동석, 최종희(2007). 도심지에 위치한 사적지 일원의 경관보전.관리방안-효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학회지. 25(1): 38-46.
5 도동철(2003). 문화재 주변 건축물의 높이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화재청(2006).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 매뉴얼 마련 연구.
7 문화재청(2008). 문화재 주변 영향검토구역 개선연구.
8 백종철, 조운연, 나명하(2008).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기준안 작성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74-78.
9 서울시(1981). 서울시 도심고도제한 기준에 관한 연구.
10 이호정(2002).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면적문화재 주변지역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조우현(2001). 문화재주변의 경관지구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종희(2007).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현상변경허가기준 마련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72-79.
13 최호운(2001). 문화재 주변 경관 고도규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한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종희(2008). 홍유릉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토지 이용을 고려한 경과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24-40.
15 최종희(2009). 김포 장릉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18-29.
16 최형석(1999). 역사경관보전을 위한 건축물 높이규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국토지리연구원(http://www.ngi.go.kr)
18 문화재청.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등 허가기준 마련지침(http://www.cha. go.kr)
19 서울시 GIS 포털 서비스(http://gis.seoul.go.kr)
20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http://luris.mlt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