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anges in China's Landscape Scenic Sites System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of Major Policies to Scenic Sites of Korea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변천과 주요정책의 국내 명승 적용 제언

  • Kim, Dong-Hyun (Natural Heritage Divis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Lee, Jian-Fe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Shin, Hyun-Sil (Garden Archeology Center, Woosuk University)
  • 김동현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
  • 이건풍 (우석대학교 과학기술대학 조경학과) ;
  • 신현실 (우석대학교 부설 정원고고학연구소)
  • Received : 2023.05.27
  • Accepted : 2023.06.23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what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situation with Korea for Chines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expanded to the existing scenic cruise culture, travel, and tourism culture in the process of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became popular as a travel destination.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developed the tourism industry around the scenic sites,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has become an important national heritage. Thi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related to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nd today, it is operated around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ordinance. Second, the designation of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is divided into the size of the site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classification, rating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value evaluation according to evaluation indicators and rating standards is carried out.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it is subdivided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t the local level. Third, the central government is in charge of managing and supervising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across the country, and the local government's construction department is in charge of supervising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in the region. The management organization of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above the county level has a system that actually protects, utilizes, and manages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In addition, 14 detailed indicators are used to monitor Scenic and Historic Interest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ing the application of the domestic scenic site policy,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policy that has established th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tilization of the people is worth considering.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of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setting of various indicators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objectivity in impressing or evaluating the landscape. Therefore, rather than blindly introducing quantified evaluation, it seems that guidance and promotion on how to expand consensus on scenic values and enjoy heritage should be prioritized.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명승의 자연유산으로의 가치 확립과 내용적 범위의 확장을 위해 자국 내 법률의 국제화를 실현한 중국의 풍경명승구를 대상으로 국내와의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선용할 수 있는 부분을 변별하고자 중국 풍경명승구 제도의 도입과 변화과정, 관련 정책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풍경명승구는 근현대기 서양 문물의 유입과정에서 기존 명승 유람문화과 여행, 관광의 문화로 확장되었고, 여행지로서 각광받게 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에서는 풍경명승구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을 발전시켰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풍경명승구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는 풍경명승구 관련 제도가 수립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풍경명승구 조례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풍경명승구의 지정은 면적에 따라 용지규모가 구분되며, 풍경명승 분류 선별, 등급 평가, 평가지표와 등급기준에 따른 종합가치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이에 따른 등급분류 결과에 따라 국가급에서부터 지방단위의 풍경명승구까지 세분화하고 있다. 셋째, 풍경명승구의 보존관리는 중앙정부에서 전국의 풍경명승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지방정부의 건설 부서에서 해당 지역의 풍경명승구 관리감독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급 이상 지방정부가 설립한 풍경명승구 관리기구가 실질적인 풍경명승구의 보호와 활용, 관리 업무를 실시하는 체계를 지닌다. 또한 14가지 세부지표를 통한 풍경명승구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명승 정책의 적용을 고려해볼 때 국민의 활용적 관점에서 제도를 수립해 온 정책의 전개방식은 고려할 사항이라 판단된다. 한편, 다양한 지표 설정을 통한 지정 및 관리체계 평가는 경관에 대한 감흥이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정량화된 평가를 맹목적으로 도입하기보다는 명승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고, 유산을 향유하는 방식에 대한 안내와 홍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원호, 김동현, Janet. R. Balsom(2020). 국내 명승 정책과 미국 국립공원 시스템의 지정 특성 비교.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3): 25-34. https://doi.org/10.14700/KITLA.2020.38.3.025
  2. 동한림 외 2인(2014). 한국과 중국의 국립공원 관리방안 비교. 동북아관광학회. 10(4): 165-186.
  3. 신현실(2018). 세계유산 황산의 보호관리 특성 및 보전방안. (사)한국전통조경학회. 36(1): 120-128.
  4. 손정문, 김상욱(2019). 중국 도시풍경명승구 경관요소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휴양 및 경관연구. 13(3): 31-38.
  5. 신현실(2018). 중한 양국세계유산보호와 이용의 비교연구. 중국북경대학교.
  6. 이원호, 신현실(2012). 한중일 명승 문화재의 개념 비교. 한국컨텐츠학회. 20(12): 217-218.
  7. 국립문화재연구소(2020). 문화.자연유산 유형별 핵심가치 및 보존관리평가지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8. 이건풍(2023). 숭산풍경명승구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보호방안연구. 우석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