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회고(懷古) 관성(慣性)

Retrospective Inertia of Historic Spots and Spectacles of Baekje's Sabi Period, Represented in Buyeo's Palkyung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규완 (영선고등학교 관상원예과)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Kyu-Wan (Dept. of Ornamental Horticulture, Youngsun High School)
  • 투고 : 2010.08.23
  • 심사 : 2010.09.16
  • 발행 : 2010.09.01

초록

본 연구는 고도 부여의 경관이미지를 가장 잘 함축한다고 판단되는 '부여 팔경'을 문헌 역사지리학적 방법에 입각해 분해, 재구성함으로써 부여 명소에 대한 장소적 회고 관성이 일종의 지리코드로서 전승되고 있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백제 패망 이후 부여의 찬란했던 문화유산은 대부분 사라지고 몰락한 역사와 회한의 흔적이 잔영처럼 남아 있듯 부여 팔경에 등장하는 장소와 경물 또한 대부분 '백제'라는 몰락과 상실의 표상으로 전형화 되며 유전되고 있다. 부여 팔경은 조선시대 작자 미상의 '구팔경'과 '전팔경'을 모본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누정 건립 및 숭현사상 고취 등의 여건 변화로, '수북정팔경'과 '부여회고팔영'은 경물 선정에 약간의 변모를 보였다. 유독 회고적 장소 관성에서 비켜서 있는 '후팔경'은 기존 팔경 요소를 의도적으로 제척함으로써 부여 명소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 별도의 목적이 읽혀진다.1900년대 작정된 '신팔경'과 '고적팔경'에서도 재차 회고되는 낙화암, 고란사, 조룡대, 평제탑 등은 모두 부여의 궁성 반월성을 중심으로 1km 범위 내에 위치한다. 또한 대왕포, 부산를 비롯하여 거의 동일 시점장으로 인식되는 자온대와 수북정 그리고 규암진과 의열사는 반월성을 중심으로 한 3km범위에 포치되고, 유일하게 4km 포치권내 분포하고 있는 천정대조차도 모두 백마강이라는 하상의 연계경관을 중심으로 배열되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적 경관회고의 재발 현상은 부여 팔경이 일시적이거나 즉흥적인 것이 아닌 백제 사비시대의 역사 회고와 경관 윤회의 관성에 의해 구축되고 재생되어온 풍경임을 환기시켜 준다. 부여문화와 문명조차도 백제 폐망과 관련된 장소관성에 지배받고 있으며 과거 몰락한 장소 및 경물의 기억 또한 부여 경관이미지의 미래가 될 수밖에 없음은 매우 아이러니하다. '폐망한 고도'라는 시간 및 장소 메시지를 바탕으로, 되풀이되며 강한 회귀성을 보이는 '부여팔경'이야말로 사비시대 부여의 경관 및 장소 특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지리코드이다.

By philological geography method for dismantling and reconstituting Buyeo's Palkyung(扶餘 八景), which best signify the image of ancient city Buyeo's landscape,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fact that the place's inertia of certain historic sites has been passed down as a type of geographic code. Titled poems and retrospective poems about Buyeo's Palkyung and its spectacles and landscapes reveal the fact that the splendid and glorious cultural heritage of Baekje had faded but its traces have remained in the each eight views including Nakhwa-am(落花巖), Goran-sa(皐蘭寺), and Jayong-dae(釣龍臺). In addtion, the spectacles and historic sites of Buyeo's Palkyung appear as the symbol of Baekje's fall and loss in the poems. Thus, it can be said that Buyeo's culture and civilization have never escaped from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cars of Baekhe's fall, being dominated by the place's inertia originated from the identity as "Baekje'slastcapital". It is ironical that Buyeo's future development and prosperity are not free from its cultural and historical spectacles which bear the image of the fall of Baekje. 'Older Buyeos' Palkyung(扶餘舊八景)' and, Prior Buyeo's Palkyung(夫餘前八景), originate from nine views of an unknown builder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pavilions and towers, 'Subuk-jeong eight views(水北亭八景)' by Heungguk Kim(金興國) and the eight poems of the, Retrospect of Buyeo(扶餘懷古八景), were created. 'Buyeo's later Palkyung(扶餘後八景), which are especially free from the site's inertia are known to have expanded the scope of Buyeo's landscape by deliberately demonstrating spectacles and sites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views. Nakhwa-am, Goran-sa, Joryong-dae, Songwal-dae(送月臺), Youngwal-dae(迎月臺), and Pyungje-tap(平濟塔) are all located within a one kilometer radius of Banwol-sung(半月城), Buyeo's palace and the Baekma river(白馬江), Daewang-po(大旺浦), Busan(浮山) in a two kilometers radius. Jaon-dae(自溫臺), Subuk-jeong(水北亭), and Gyuam-jin(窺岩津) are located within a three kilometers radius. Even Chunjeong-dae(天政臺), which are located within a four kilometers radius of Banwol-sung are located alongside the Baekma river. This indicates the fact that these spectacles had not been established temporarily or impromptu but for a long period time by historic retrospect and the inertia of landscape's geographic cycle. In conclusion, the geographic phenomen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inertia appeared because Buyeo had the geographic message of "fallen, ancient city". Therefore, Buyeo's Palkyung which have constant retrospective inertia is clearly an geographic code effective and helpful to understand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sites and spectacles of Buyeo in the Sabi period but also the quality of the site itself.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조,김경란(1991).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9(2):27-36.
  2. 강원도민일보(2006).꿈틀꿈틀 살아 움직이는 '풍경문화재'.2006년 12월 22일자
  3. 강종원(2009).백제문화권의 역사․문화유산 활용방안:금강주변 백제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충청학과 충청문화.8:227-255
  4. 국립문화재연구소편(2000).사비도성과 백제의 성곽.서울 서경문화사.
  5. 국토연구원(2009). 문화국토를 위한 고도육성방안. 문화재청 교육자료 고도육성 미래의 국가경쟁력입니다. pp.85-13
  6. 기꾸치 도시오, 윤정숙 역(1995). 역사지리학방법론. 서울:이회문화사.
  7. 김균태(1993). 부여지역의 설화 연구: 백제 멸망의 역사전설을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3: 7-35.
  8. 김종필(2006). 부여 부소산 문화재보호구역 경관개선.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홍욱(1718). 扶餘懷古八詠, 鶴洲集 권5.
  10. 노익상(2000). 지난날의 이야기가 침묵으로 잠겨있는 고장, 부여. 산림. 2000년 4월호. pp.88-92.
  11. 류재영(2006). 양현 류병열 한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부여군(1982). 전통문화의 고장 부여: 내고장 전통 가꾸기. 부여: 대성 인쇄소.
  13. 부여문화원(2000), 부여의 누정.
  14. 부여읍지 권5. 形勝條
  15. 부여지(1929). 권5 형승조. 신팔경.
  16. 삼국사기. 권27. 무왕 37년조.
  17. 삼국유사 기이 제2남부여.전백제․북부여조.
  18. 서거정(1420). 한국고전번역원역. 한국문집총간. 四佳集. 10.11집.
  19. 서울대규장각. 1872년 부여현지도 해제
  20. 손찬식(2006). 夫餘八景의 詩的形象. 어문연구. 47: 27-62.
  21.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8권. 忠淸道扶餘縣. 山川․ 佛宇․ 古蹟條.
  22. 유득공,실시학사고전문학연구회 역(2009). 역주 이십일도회고시. 서울: 도서출판 푸른역사. pp.67-72
  23. 유홍준(1997).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 창작과 비평사.
  24. 이도학(1989). 사비시대 백제의 사방계산과 호국사찰의 성립:法王의 佛敎理念擴大施策과 관련하여. 백제연구. 20: 203-211
  25. 이도학(1997).정림사지 오층탑 비명과 그 작성 배경. 선사와 고대. 8: 105-11
  26. 이병호(2003). 百濟泗沘時期의 都城과 地方都市. 지방사와 지방문화. 6(1): 41-77
  27. 전경원(2006). 소상팔경시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맥락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진상철(2005).고도보존법 시행에 따른 古都(공주․부여)의 발전방향. 충남발전연구원. 열린충남. 32: 54-75
  29. 채미옥(2009). 고도육성 및 주민지원방향. 문화재청 교육자료 고도육성 미래의 국가경쟁력입니다.pp.1-4
  30. 최석영(2003). 일제 식민지 상황에서의 扶餘고적에 대한 재해석과 '관 광명소'화.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비교문화연구.19(1):109-137
  31. 충청남도(2008). 백제 역사문화도시 기본구상.
  32. 한국고전번역원역,申欽(1636). 象村先生集. 제19권(奎章閣所藏本,木 版本,1636年刊行).
  33. 허경진(2000). 충남지역 누정문학 연구. 서울: 태학사.pp.175-233.
  34. 허병식(2008). 폐허의 고도와 창조된 新都. 한국문학연구. 36집: 79-103.
  35. 홍금수(2009). 경관과 기억에 투영된 지역의 심층적 이해와 해석. 문화 역사지리. 21(1): 46-9
  36. 洪思俊(1970). 百濟地名考察:부여를 중심으로. 백제연구 창간호. 충남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9-37.
  37. 황인덕(1994). '백제패망'전설들로 본 백제사, 백제사의식.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 24: 223-254
  38. 황인덕(2001). 부여 낙화암 전설의 형성과 전개. 한국문학논총. 29: 155-184.
  39. 황인덕(2004). 의자왕 전설의 전개양상. 백제문화. 33: 189-208.
  40. 황충기(2000). 註解長時調. 서울: 푸른사상사. p.204.
  41. http://blog.naver.com/yamu102
  42. http://buyeo.cult21.or.kr
  43. http://cafe.daum.net/fdsr/4UMK/686?docid=1EdEt|4UMK|686|20090704 195945&q=%C1%B6%BC%B1%C6%C8%BD%C2&srchid=CCB1E dEt|4UMK|686|20090704195945
  44.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 ksmno=2740
  45. http://ko.wikipedia.org/wiki/%EC%99%95%ED%9D%A5%EC% 82%AC
  46. http://ko.wikipedia.org/wiki/%EC%99%95%ED%9D%A5%EC% 82%AC
  47. http://www.litopia.or.kr/lito/lito.exe?menu=view&db=park_lito1&code=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