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452건 처리시간 0.027초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rea in the Chemistry(II) Textbooks by the Inquiry Element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 강대호;정수군;구인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45-658
    • /
    • 2003
  •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을 제 7차 과학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이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현장 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기초 탐구요소들은 분류를 제외하고는 제 7차 화학 II교과서에 대체로 찰 반영되어 있었으나, 통합탐구 요소들은 자료해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결론도출, 자료변환 등을 제외한 통함 탐구요소들은 이주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탐구활동 요소들도 조사의 비율 이 전체 탐구활동의 100/0미만이고, 과제연구는이주적고, 견학은나타나지 않았다 제 7차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고학년의 탐구학습 일수록 다양한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현장의 탐구학습에서는 이러한 화학 R 교과서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학습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40
    • /
    • 2010
  •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사상과 철학, 문화의 영향으로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관계중심 교육과정으로 변천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과 미국 NCTM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의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연구 중인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에서 내용과 과정, 계열을 정하는데 있어서 문화적, 사회적, 인지적으로 적합하고 적절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유지연;이지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53-561
    • /
    • 2011
  • In this study, the illustrations in 16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he aspect of gender-role stereotyping,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frequencies of male and female who appeared on textbook illustrations were counted, and the types of activities and the characters of them were analyzed. Most pupils were found to be active, and female pupils appearing in the textbooks were more than male pupils. In all types of activities for pupils,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Male and female pupils were illustrated in learning activities with almost equal frequencies, but male pupils were still more frequently represented than female pupils in other activities. Gender difference in adults wa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houseworks was not large, but the difference in outdoor activ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jobs of adults were illustrated as male-centered, and scientists appearing in the textbook illustrations were also mostly male.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공간감각활동을 위한 교구 개발 및 그 효과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developing childrens' spatial sen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s)

  • 이동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9권2호
    • /
    • pp.119-134
    • /
    • 2005
  •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velop the materials which help students develop spatial sense in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complish those goal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contents of spatial sense. After analyz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rinciple for developing the teaching aids focusing the realization of the contents in the spatial sense was set up. And then various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enhance students' spatial sense was developed. It is consist of 17 kinds of concretely operating materials, 7 kinds of tangram papers, one web-material.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aterials, surveyed the usability of the materials and two classes was selected and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rough this application, several conclusion were drawn. First, a survey result says that teachers thought materials developed would be effective in developing spatial sense. Second, the materials developed were effective to develop spatial sense. The score gained by the experiment group after the treatmen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materials developed helped children to develop spatial sense.

  • PDF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증발, 끓음의 설명에 제시된 개념간의 관련 정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Explanations of Evaporation and Boiling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백성혜;정애경;고영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9-44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한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증발과 끓음의 설명과 관련된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설명 유형은 중학교과 고등학교, 6차와 7차 교육과정, 그리고 과목이나 단원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의 다양성을 확인해 보고, 설명에 사용된 개념간의 관계를 표현한 맵을 중심으로 특징을 비교하였다. 증발과 끓음에 관련된 설명의 차이는 주로 중학교과 고등학교 사이, 그리고 화학과 지구과학 분야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증발과 끓음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 개념들 사이의 관련성은 부족산 것으로 나타났다.

'슬기로운 생활'에 수록된 물리 영역 과학 용어 분석 (Analyzing the Science Words of Physics in 'Wise Life' Textbooks)

  • 윤은정;박윤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2호
    • /
    • pp.127-13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basic words of physics for science education which were learned through everyday life or school education and be foundation of learning science. For this, we collected all words in the 'Wise Life' textbooks by 7th and 2007 National Curriculum, and extract the science words. As a result, there were 8,970 words in 8 textbooks of 'Wise Life', and about 18% of them, 1,585 words, were science words. There were 266 kinds of science words and most of them were biology words. And the textbooks by 2007 National Curriculum had more science words than by 7th's. Finally we selected 24 basic words of science only in the physics area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difficulty, need and frequency.

제7차 교육과정을 이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업성취도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ducated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 Process)

  • 노태완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5호
    • /
    • pp.10-13
    • /
    • 2011
  • The 7th National Education Process, implemented in 2004, features student-oriented, selective educational programs with a wide range of optional subjects. In 2005, reflecting this revised National Education Proces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egan allowing individual students to choose the subjects for examination they would like to take. As a result, the deviations of the college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s in some subjects have noticeably widened. This study shows academic abilities of the students on some subjects by comparing the results of 2008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ith that of the Basic Academic Ability Evaluation Test for freshmen in engineering college of Hongik university. Lastly, this paper presents some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better accommodate students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s lower than what is expected by the university.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심화.보충 수업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las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이은숙;최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8-306
    • /
    • 2004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8학년) 학생들과 중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상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이 우리나라의 교육 실정에 맞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지만, 심화 보충 수업을 받아본 학생들의 반 수 이상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수준별 교육과정을 무조건 비판하기보다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하고 수정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제7차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료와 학습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학생,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학교 교육과정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러 교육전문가들의 제7차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현장에서 잘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기를 기대한다.

2007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Computer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f 2007 Revised Curriculum)

  • 하태현;신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21-33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betwe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would initially apply from 2009 and then to suggest better ways to improve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 a comparison was made and a suggestion has been derived: Firstly, the computer subject should not be treated as a rival to others anymore, rather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subjects. Secondly, teachers who take computer subjects as their major should be allocated to middle schools. Thirdly, computer subjects should be taught systematically from elementary and be continued throughout in order to promote the level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urthly, the advantages of computer utilis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layout the computer curriculum that is practicable and learner-centered. Finally, teachers should recognise the main aim of computer education and teach computer subjects to be useful in education. Though the revised version is not perfect the more the curriculums are revised, the better they might be expected to be developed. Consequently, whenever the newly revised computer curriculum emerges, the defects should be identified and addressed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computer curriculum.

  • PDF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 평가를 대상으로 (An Analysis on the GIS-related Test Items of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Focusing on the Nationwide Tests for the 12th Graders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 조대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72-487
    • /
    • 2014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7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 내용 중 GIS에 관련된 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및 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토대로 평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에 초점을 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포함, 2004~2012년에 시행된 전국규모평가를 대상으로 문항의 특성과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항의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특정 문항에의 집중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정답율의 경우 전체 평균 보다 다소 높았으나 문항의 유형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과정 및 교실 수업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는데, 지형이나 인구와 같은 일반 교과 내용과의 연계, 탐구 지향형 평가의 문항의 강화 및 적정 난이도 유지 등이 개선 방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