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las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심화.보충 수업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operational status for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lass of middle school described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do this 455 students of 8th grade and 71 science teachers are administered questionaries which were developed to ask about whether or not execute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lass, the frequency of the execution, the way of forming groups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etc.. The operation of the in-depth and supplementary class at middle school were prevented by following factors such as too many class time of teachers, overpopulation in class, insufficiency teaching materials and so on.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approaches should be adapted such as effective teaching method, teacher training program, specialized classroom, independent teaching on the part of teacher and so on.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8학년) 학생들과 중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상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이 우리나라의 교육 실정에 맞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지만, 심화 보충 수업을 받아본 학생들의 반 수 이상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수준별 교육과정을 무조건 비판하기보다는 문제점을 찾아 보완하고 수정함으로써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하겠다. 제7차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자료와 학습환경을 요구하는 만큼 행정적, 재정적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학생,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학교 교육과정이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러 교육전문가들의 제7차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현장에서 잘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II). 서울: 대한 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부(1997).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박승재, 서혜애, 송진웅, 이규석, 이면우, 이양락, 이혜숙, 임성민, 현종오(2002). 초중등 학교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001-20-2
  4. 박승재, 임성민, 박종호, 유준희, 이용복, 정은숙, 홍준의(2003). 탐구.실험 중심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서울특별시교육청
  5. 박제윤. (1999).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김재복, 이경환, 허경철(편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25-150. 서울: 교육과학사
  6. 유준희(1998).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 자료. 한국교육평가원 세미나 자료집 연구자료, OMR 98-4-2. 1998
  7. 인천연성중학교(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모형캔발몽점용.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교육과정 연구학교 보고서
  8. 전주호성중학교(1999). 수준별 교육과정 모형개발.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 연구학교 보고서
  9. 조미란, 최경희(1999). 수준별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조사. 제35차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회. 한국과학교육학회
  10. 한국교육개발원(1997). 수준별 교육과정 현장 적용 개발
  11. 황윤한(2000). 제7차 교육과정의 기대와 현실.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편). 21세기를 여는 초등교육의 쟁점들. 147-189. 서울: 교육과학사
  12. Black, P.(1998). Testing: Friend or foe?- Theor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testing. London: Falmers Press
  13. Postlethewaite, K.(1993). Differentiated science teaching.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4. Versey, J., Fairbrother, R. W., Parkin, T., Bourne, J., Dye, A. & Watkinson, A.(1993). Differentiation: Managing differentiated learning and assessm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Science). The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