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15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 교과에서 인성교육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Subject)

  • 최승현;류현아;박지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189-210
    • /
    • 2015
  • Character means a person's nature and the mind and behavior to lead a desirable life personally and socially. Also character can be changed with education and environment.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will be possible to do practice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life experiences in school. In other words, we think that students will get person's character required to lead a desirable life personally and socially beyond what they just learn knowledge and skill, enter the higher schools and succeed one's way. This study accepts merits of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policy through subject(mathematics) education and focus on direction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mathematics) education for systematic and synthetic approach for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For this, we will see applicability of th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whole subject education, in particular focusing on cases of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subject.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문제 해결 역량 요소 탐색 -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Represented in the New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07-427
    • /
    • 2019
  • The six cor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are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attitude and practi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information processing. In particular, the problem solving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enhancing much higher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is compet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our elements of the problem solving such as problem solving process, cooperative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modeling, problem posing. And also this study selected the domain of function which is comprised of the content of the coordinate plane, the graph, proportionality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By the subject of the ten kinds of textbook,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our elements of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shown in each textbook.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추론 역량 요소 탐색 -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 (An Exploration on the Reasoning Competency Element Represented in the New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49-167
    • /
    • 2021
  • The six cor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are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attitude and practice, creativity and convergence, information processing. In particular, the reasoning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enhancing much higher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is compet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our elements of investigation and fact guess, justification, the logical performance of mathematical content and process, reflection of reasoning process, And also this study selected the domain of function which is comprised of the content of the coordinate plane, the graph, proportionality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By the subject of the ten kinds of textbook,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our elements of the reasoning competency were shown in each textbook.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의사소통 역량 요소 탐색 -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Represented in the New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2호
    • /
    • pp.165-185
    • /
    • 2022
  • The six core competencies have been emphasiz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5.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representing their own thinking and enhancing much higher mathematical thinking. Based on this compet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our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the representation of his own thin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others' thinking. And also this study selected the domain of function which is comprised of the content of the coordinate plane, the graph, proportionality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By the subject of the ten kinds of textbook,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our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were shown in each textbook.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in Korea, China, Japan, and USA)

  • 방정숙;이지영;이상미;박영은;김수경;최인영;선우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11-334
    • /
    • 2015
  • 본 연구는 글로벌 초등수학교육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4개 국가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면밀하게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형 영역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의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Using Topic Modeling)

  • 김성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07-615
    • /
    • 2020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산업수학과 관련한 논문들의 연구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로 1970년부터 2019년까지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 총 4910편 논문의 제목, 초록, 주제어를 수집하였으며, LDA 알고리즘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coherence score 분석 결과, 토픽의 최적 개수는 20개로 결정하였으며, 핵심 연구 주제들은 Gibbs 샘플링 방법을 기반으로 추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석학과 대수학을 중심으로 계산수학, 기하학, 수학적 모델링, 위상수학, 이산수학, 확률 및 통계학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산업수학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연대별 연구 주제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상승하는 연구 주제는 수리생물학, 비선형편미분방정식, 이산수학, 통계학, 위상수학으로, 하강하는 연구 주제는 확률론만 나타났다. 셋째, 2015개정 수학교육과정에서 반영되지 않은 분야 중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 기수법, 행렬, 공간벡터, 복소수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산업수학 활성화 방안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소수 곱셈 단원의 교과서 개선 방향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Decimal Fractional Multiplication Unit in Textbooks)

  • 김수경;김진숙;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5-496
    • /
    • 2018
  • 소수의 곱셈은 계산방법에 있어 자연수 곱셈과의 유사성 때문에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학생들은 소수의 곱셈에서 많은 오류를 보인다. 이는 개념적인 이해보다 기능적인 숙달에 치중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수의 곱셈 단원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소수의 곱셈 단원의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상의 유의점, 지도내용 및 방법을 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별 해당 교과서의 차시 구성 및 교과서별 활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수의 곱셈과 관련된 개론서 및 논문을 분석하여 소수의 곱셈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및 소수의 곱셈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살펴보고 공통적으로 제시된 방안을 요목화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의미 있는 어림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소수 곱셈의 의미에 적합한 시각적 모델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소수의 곱셈 알고리즘을 형식화하는 과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 PDF

예비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개념의 도입 방식 탐색 (A Study on the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Introduction of Concepts of Function)

  • 마민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25-2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함수 개념을 도입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 함수 개념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지도하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중 한 명의 발표자(예비교사 A)가 수행한 가상 수업과 동료 예비교사 10명(예비교사 A1~A10)이 이 수업에 대해 반성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정과 대응의 관점으로 함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우세하였고, 변화와 종속성 관점으로 도입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함수 도입에서 강조하는 측면은 상황·언어적 표현, 표, 그래프, 식, 그림 등과 같이 함수를 표현하는 양식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종속적인 변화 관계에 기반하여 함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한 예비교사 교육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하나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계산기의 활용 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lementary School in Elementary School)

  • 안병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13-729
    • /
    • 2017
  • 우리나라의 초등 수학 교육에서 계산기의 활용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것은 제 6차 교육과정이 처음이다. 그 이후 교육과정에서는 초기보다 활용 범위가 확대되었으나 실제 교과서에서 활용 상황을 보면 아직은 미흡하고 활용에 대한 안내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특히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관련 연구는 찾지 못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차 교육과정 이후의 교육과정 변화 속에서 발표된 계산기 활용에 대한 연구들의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계산기 활용방안으로 제시한 복잡한 계산, 수학적 개념, 수학적 원리 법칙, 문제해결 지도의 4가지에 대하여 적합한 성취기준을 찾아서, 그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과서의 단원과 차시별 학습내용에서 활용 과정을 제시하여 사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수학과 과학을 통합 지도한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성취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Speed of Objects' Chapter based on the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하나;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372-381
    • /
    • 2015
  • Mathematics and science are very closely related. Among the science areas, physic is strongly linked with mathematics. As the related mathematics skills were alloted later than the science cont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often suffer from science classes. Accordingly, an opinion have been claimed to teach the related mathematics skills prior to the science classes. However, it would be hard to arrange all science and mathematics contents in order. Instead of that, in this research, we taught students mathematics contents that are crucial for learning speed through science classes. We called that teaching strategy an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 Then, we examined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as well as skills of mathematics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y. We found that the average mathematics score of the whole class went up meaningfully. We also found that their science achievement was above than basic level. Moreover, the homeroom teacher of the students observed 3 aspects which showed the students were better than previous students. Finally, we divided the students into 4 groups by their sc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 and interviewed each group. As a result, we knew that interesting and confidence in science and mathematics quite exerted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