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0807/ksms.2022.25.3.001

A Study on the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Introduction of Concepts of Function  

Ma, Minyou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25, no.3, 2022 , pp. 225-2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sent what aspects of the concept of function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emphasize when designing a class that introduces the concept of function using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is purpose, virtual instruction and reflections on virtual instruc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consider and introduce the concepts of function as correspondences and processes. Their conception of function was consistently observed during virtual instruction and reflections on virtual instruction. The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conception of func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form of expressing functions. These results provi e implications for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education for introducing the concept of function based on the dependent relation between variabl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ion of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Keywords
Function; Introducing the concept of function; Virtual instru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구연, 전미현 (2017a). 중학교 수학교과서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함수 학습기회 탐색. 학교수학, 19(2), 289-317.
2 김구연, 전미현 (2017b). 수업지도안 분석을 통한 수학교사의 수업설계역량(Pedagogical Design Capacity) 탐색. 수학교육, 56(4), 365-385.
3 김민혁 (2013). 수학 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6(3), 503-531.
4 김선희 (2013).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수학교육, 52(4), 465-481.
5 박교식 외 (2019). 중학교 2학년 수학. 동아출판(주).
6 박선화, 변희현, 주미경 (2011). 중학교 학생의 수학과 학습 특성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1-5.
7 이명화, 김선희 (2016). 수학 예비교사의 이중 단절 극복을 위한 함수 대학교재 개선 방안. 교사교육연구, 55(3), 327-338.   DOI
8 이지현, 이규희 (2020). 변화율을 이용한 추론·해석 과제에서 드러나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30(4), 649-673.
9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8].
10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22).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11 박교식 외 (2018). 고등학교 수학. 동아출판(주)
12 변희현, 주미경 (2012). 우리나라 중학생의 함수 개념화 특성. 수학교육학연구, 22(3), 353-370.
13 Lloyd, G. M., Remillard, J. T., & Herbel-Eisenmann, B. A. (2009). Teachers' use of curriculummaterials: An emerging field. In J. T. Remillard, B. A. Herbel-Eisenmann & G. M. Lloyd(Eds.),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pp. 3-14). Routledge: New York.
14 차인숙, 한정순 (2004). 중등 예비교사의 함수 관계 상황 표현 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 43(2), 199-210.
15 황희정, 이수진 (2019). 비정형 그래프에 대한 예비 중등 수학교사 세 명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의미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9(4), 687-708.
16 Selden, A., & Selden, J. (1992). Research perspectives on conceptions of function summary and overview.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MAA Notes No. 25, pp. 1-24).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7 최승현, 황혜정 (2008).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18 최희선 (2020). 예비수학교사의 교수·학습 과정안 재구성을 통한 수업 설계 변화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1), 159-177.   DOI
19 Norman, A. (1992).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of the concept of function. In E. Dubinsky, & G. Harel(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MAA Notes No. 25, pp. 215-232).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