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th Science textbook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 과학교과서 지문의 발문 유형 분석 및 학생들의 선호 발문 유형 (Analysis on Type of Ques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ence Types of Questions)

  • 김민정;유병길;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4-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questions of energy fiel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to know the preference types of questions of students by grade. To accomplish this study, the analyzing framework on the types of questions was made and ensured the validity. To know students' preference types of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mad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in B c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the question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he types of limited question were the most frequent(56%) and the next was the type of relevant question(41.82%). In the type of limited question, the element of propositional type was the most frequent and in the type of relevant question, the element of applicable type was the most frequent. Second,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students' preference types of questions by grade using questionnaire, we could find as follows. Most of the graders chose retrospective type of question as the easy types of questions. And 3, 4, 6th graders chose justificative type and 5th graders chose applicable type as the difficult ones. Third, as interesting type and want-to-select type, 3th graders students chose propositional type and 4, 5th graders chose retrospective type and 6th graders chose inferring type.

과학 용어 교육을 위한 과학 교과서 수록 물리 용어 분석 (Analysis of Physics Terminology in Science Textbooks for Teaching Science Words)

  • 윤은정;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35-750
    • /
    • 2013
  • 본 연구는 학생들이 과학을 학습함에 있어 용어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과학 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학생들이 과학 용어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에 대한 원인이 과학 교육에서 제공하는 용어들이 특정한 기준에 의한 걸러짐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과 학생들이 과학 용어에 대해서 제대로 교육받을 기회가 없다는 데 있다고 보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학 교육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에 의해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용어를 교육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에서 용어 사용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제 과학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를 조사하는 경험적 언어학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과학 교육에서 사용할 교육용 과학 용어를 선정하고 각 용어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기에 적절한 학년으로 배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 전체의 물리 단원에 수록된 어휘를 조사하고 이 가운데 교육용 과학 용어를 선정하여 학년별로 배치하는 작업을 통해 학년별 교육용 과학 용어 예비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물리 영역의 교육용 과학 용어 930개를 선정하였으며, 학년별로 3학년 66개, 4학년 38개, 5학년 35개, 6학년 28개, 7학년 203개, 8학년 135개, 9학년 123개, 10학년 302개의 용어를 평정하였다.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과학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cusing on Infographics)

  • 정해용;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80-91
    • /
    • 2018
  • The visualization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are very important in students' learning. Recent visualizations are increasing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fographic visual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ualization materials in $5^{th}$ and $6^{th}$ elementary science textbook focusing on infographics. Visualization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infographic and simple illustration. Infographics were classified into 8 sub-typ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fographics were 19.0%, and simple illustrations were 81.0% among elementary textbooks' visualization materials. The portion of infographic varied by content areas. In Biology and Earth Science area, the portions of infographic were high. Second, several types of infographics were us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Timeline infographic were the most frequent, and emphasis infographic, concept mapping infographic, comparison infographic were used frequently. The most frequent types of infographic were different by content area. Third, infographics used more than simple illustrations in the role of concept explan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on science textbook's infographics were discussed.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의 STS 교육 내용 분석과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Analysis of STS Contents in Chemistry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 Investigation of STS Education)

  • 박국태;이유라;김은숙;노지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3-16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단원에 대한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Yager가 제시한 STS 교육에서의 8개 필수 요소와 SATIS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에서의 9가지 활동 유형을 분석기준으로 삼았으며,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해 면담과 설문지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7종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들의 화학 단원에 STS 교육 내용이 평균적으로 22.4%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STS 교육 내용이 과학의 응용성과 지역 사회와의 연관성에 대한 필수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리고 STS 교육 내용의 학년별 분포는 2학년 과학 교과서에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학년 과학 교과서와 3학년 과학 교과서 순서였다. SATIS 활동 유형으로는 실제활동 유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과 구조화된 토론 유형의 순서였다. 중등학교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STS 교육이 과학교육에 필요한 이유로는 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STS 교육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STS 교육 관련 교수-학습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 내용이 필수 요소 2개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는 작업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 유형을 가진 중학교 과학 교과서들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STS 교육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을 통하여 STS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무용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Dance Education Content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 배명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1-270
    • /
    • 2022
  • 이 연구는 무용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3, 4, 5, 6학년 체육교과서 8종 32권을 확보하여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학년 표현 영역은 움직임 언어와 표현 요소를 중심으로 교과서를 편성하고 있었다. 4학년은 대다수 교과서들이 공, 후프, 리본을 이용한 체조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5학년의 경우 우리나라 민속춤과 관련하여 강강술래, 탈춤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외국 민속 무용과 관련하여 티니클링, 구스타프스콜이 제시되어 있었다. 6학년의 경우 주제표현과 관련하여 표현 요소 탐색과 표현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창작체조를 중심으로 주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용 무용 중 라인댄스가 대다수의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었다. 표현 영역은 그 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내외적 문제들로 인해 학교 현장교사들은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표현 영역은 인지, 심동,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현장에서의 표현 영역 수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과학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 이창훈;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inserting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enforced in all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erences in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in Singapore and Korea and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 of producing illustrations. There are not only some differences in rate of the kinds and role of the illustrations in grades, but also in both countri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illustrations for motivation, in both Korea and Singapore, interesting photos related to overall content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of the unit are used. But in the 3rd and 4th grade class in Singapore, story types of cartoons related to learning subjects are presented to draw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These need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textbook illustrations in the future.

물질의 입자적 관점 도입에 대한 초등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ational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 on Introduction of Particulate Concept)

  • 심병주;윤희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2호
    • /
    • pp.147-1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ingapore to know how the contents on particulate concept of matter is introduced and expressed. In Korea, particulate concept of matter was adopted as a term for 'molecules' in the 3rd through 6th curriculum, and the term for 'particles' was adop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NGSS adopted the term 'particle' in fifth grade. Japan presented the concept of 'particle' as a core concept of matter in the commentary, and the expressions 'particles' were being introduced in the textbooks. But it did not cover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Singapore. An analysis of elementary textbook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except Singapore showed particulate expressions in 'dissolution', 'state change of water', 'gas pressure and volume', 'combustion and extinguishment' units. Korean textbook was only being introduced in 'dissolution' and 'gas pressure and volume', but in the textbook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ater was expressed as particles in 'state change of water' unit. Discussion and implication on the introduction of particulate concept to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명제 연결에 대한 분석 (Analyses on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송혜원;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79-92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의 3학년 1학기와 6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서 명제들 사이의 연결 유형과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표지 유형을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및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명제의 연결은 강조, 상술, 예시, 나열, 추가, 차례, 대응, 인과, 조건, 목적 유형 등으로 분류하였고,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명제 관계 표지의 유형은 지시어나 접속어를 사용한 경우, 쉼표를 사용한 경우, 특정 언어 요소를 사용한 경우, 표지가 없는 경우 등으로 분류하였다. 6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 비해 적었지만, 3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 빈도가 사회 교과서보다는 낮았고 국어 교과서보다는 높았다. 명제의 연결 유형에서는 차례, 나열, 조건, 인과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3학년과 6학년 교과서 모두 명제를 연결할 때 특별한 표지가 없는 비율이 40% 이상이었고, 특히 차례와 인과 유형에서는 표지가 없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Comparison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in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High School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3호
    • /
    • pp.523-529
    • /
    • 2004
  • In Korea,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nov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nouncement in 1997. The education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is curriculum. We analyze and compare 3 kind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10-12 grade students. Descriptions of random variable, sample variance and sample standard deviation, distribution of sample mean, and etc. which are on some textbooks, are misleaded in school education. We suggest the unbiased estimator of sample variance in textbooks and distributions of sample means with normal population assumption.

  • PDF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rea in the Chemistry(II) Textbooks by the Inquiry Element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 강대호;정수군;구인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45-658
    • /
    • 2003
  •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을 제 7차 과학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이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현장 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기초 탐구요소들은 분류를 제외하고는 제 7차 화학 II교과서에 대체로 찰 반영되어 있었으나, 통합탐구 요소들은 자료해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결론도출, 자료변환 등을 제외한 통함 탐구요소들은 이주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탐구활동 요소들도 조사의 비율 이 전체 탐구활동의 100/0미만이고, 과제연구는이주적고, 견학은나타나지 않았다 제 7차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고학년의 탐구학습 일수록 다양한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현장의 탐구학습에서는 이러한 화학 R 교과서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학습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