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n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명제 연결에 대한 분석

  • Received : 2021.11.08
  • Accepted : 2022.01.17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positional connections and markers for connecting propositions in the texts of the 3rd- and 6th-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 selection of texts from Korean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ose from science textbooks as well. The propositional connections were classified into emphasis, elaboration, exemplification, listing, addition, order, correspondence, causal relation, condition, and purpose types. The markers for the relationship of propositions were classified as demonstrative, using conjunctive, using a comma, using distinctive linguistic elements, and no marker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the 6th-grade textbooks was lower than that of Korean and/or social science textbooks. However, the frequency of the propositional connections in the texts of the 3rd-grade textbook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social science textbook but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textbook. The types of order, listing, condition, and causal relation were dominant in science as well as Korean and social science textbooks. Over 40% of the markers for the relationship of propositions were found to be the no marker type, with the ratio of the no marker type being especially higher in the categories of order and causal relation.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의 3학년 1학기와 6학년 2학기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서 명제들 사이의 연결 유형과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표지 유형을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및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명제의 연결은 강조, 상술, 예시, 나열, 추가, 차례, 대응, 인과, 조건, 목적 유형 등으로 분류하였고, 명제의 연결에 사용된 명제 관계 표지의 유형은 지시어나 접속어를 사용한 경우, 쉼표를 사용한 경우, 특정 언어 요소를 사용한 경우, 표지가 없는 경우 등으로 분류하였다. 6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 비해 적었지만, 3학년 과학 교과서는 텍스트에 사용된 명제의 연결 관계 빈도가 사회 교과서보다는 낮았고 국어 교과서보다는 높았다. 명제의 연결 유형에서는 차례, 나열, 조건, 인과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국어나 사회 교과서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3학년과 6학년 교과서 모두 명제를 연결할 때 특별한 표지가 없는 비율이 40% 이상이었고, 특히 차례와 인과 유형에서는 표지가 없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정, 이성은(2003). 텍스트 구조 학습이 아동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설명문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4(2), 131-148.
  2. 김봉순(1995). 텍스트 구조 표지의 독해에서의 기능. 국어교육학연구, 5, 75-97.
  3. 김봉순(1996a). 텍스트 의미구조 표식의 기능에 대한 실험 연구. 독서연구, 1, 151-193.
  4. 김봉순(1996b). 텍스트 의미 구조의 표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봉순(2000). 학습자의 텍스트구조에 대한 인지도 발달 연구: 초, 중, 고 11개 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교육, 102, 27-85.
  6. 김봉순(2002). 국어교육과 텍스트구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7. 박소영, 김혜숙, 남창우, 윤지훈, 이동엽(2013).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교과서 일반 모형 개발. 연구보고 CRT 2013-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박진용(2013). 텍스트구조 관련 읽기교육 내용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51, 67-100.
  9. 박진용, 권영락, 김정효, 이동엽(2014). 미래 사회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안. 연구보고 RRT 2014-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서명석(2012). 교과서를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과 해석. 교육철학, 47, 55-74.
  11. 서정수(1994). 국어문법. 서울: 뿌리깊은 나무.
  12. 서혁(2011).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 상세화 연구 (I):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2, 433-460.
  13. 양태영(2010). 설명텍스트의 표지와 텍스트구조 분석. 한국어 의미학, 31, 109-142.
  14. 이삼형(1994). 설명적 텍스트의 내용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성영(2011). 초등 교과서의 이독성 비교 연구: 국어, 사회,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41, 169-193.
  16. 이종국(2013). 한국의 교과서 평설. 서울: 일진사.
  17. 이해영(2016). 텍스트구조표지를 활용한 초등사회교과서 서술 분석: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역사영역)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27-50.
  18. 임희준, 김연상(2010). 정보적 과학 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내용 이해도와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29(4), 526-537.
  19. 조영돈(2006). 논술문 생산의 텍스트 언어학적 책략. 파주: 태학사.
  20. 홍혜란, 박지순(2020). 한국어 교육을 위한 텍스트 장르별 메타 담화 표지 연구. 국제어문, 84, 79-114.
  21. Graesser, A. C., McNamara, D. S., & Louwerse, M. M. (2011). Methods of automated text analysis. In M. L. Kamil, D. Pearson, E. B. Moje, & P. Afflerbach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ume IV (pp. 34-53). New York: Routledge.
  22. Meyer, B. J. F. (1985). Prose analysis: Purposes, procedures, and problems. In B. K. Britton, & J. B. Black (Eds.), Understanding expository text. Hillsdale: LEA.
  23. Purcell-Gates, V., Duke, N. K., & Martineau, J. A. (2007). Learning to read and write genre-specific text: Roles of authentic experience and explicit teaching. Reading Research Quarterly, 42(1), 8-45. https://doi.org/10.1598/RRQ.42.1.1
  24. Walpole, S., Hayes, L., & Robnolt, V. (2006). Matching second graders to text: The utility of a group-administered comprehension measure.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46(1), 1-22. https://doi.org/10.1080/19388070609558458
  25. Wright, J. D., & Spiegel, D. L. (1984). Teacher-to-teacher: How important is textbook readability to biology teachers? American Biology Teacher, 46(4), 221-225. https://doi.org/10.2307/4447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