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생이해지식

Search Result 64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분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위한 관련 지식의 연결 관계 분석

  • Jeon, Pyeong-Guk;Park, Hye-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71-76
    • /
    • 2003
  • 학생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이해는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분수 나눗셈은 많은 학생들이 기계적인 절차적 지식으로 획득할 가능성이 높은 내용이다. 이것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분수 나눗셈을 학습할 때에 일상생활에서의 경험과 선행 학습과의 연결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 큰 원인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분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경험적 지식과의 연결 관계를 활용한 교수 방안을 실험 교수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로서 번분수를 활용한 수업은 분수 나눗셈의 표준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이유를 알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되나 여러 가지 절차적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분수 막대를 직접 잘라 보는 활동을 통한 수업은 분수 나눗셈에서의 나머지를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경험과 학교에서 이미 학습한 분수 나눗셈들의 관련 지식들을 적절히 연결하도록 한다면 수학적 연결을 통해 분수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이끌 수 있다.

  • PDF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넓이 측정과 관련된 지식 상태의 분석

  • Park Hye-Gyeong;Kim Yeong-Hui;Jeon Pye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10a
    • /
    • pp.79-90
    • /
    • 2006
  • 새로운 것을 학습할 때 학생들은 자신이 어떤 지식 상태를 갖고 있는지에 따라 상당히 다른 이해의 정도를 나타낸다. 유의미한 이해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사전 지식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학습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어떤 단원을 학습한 후에 학생들의 지식상태를 파악해 보는 방법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C도시 4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85명에게 수학 5-가 6단원을 학습한 후 넓이 측정과 관련된 지식상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Doignon & Falmagne(1999)의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답안에서 평면도형의 넓이 측정과 관련된 지식의 상태를 파악하고 세 가지 범주-측정의 의미 파악, 공식 활용, 전략의 사용-에서 지식 상태의 위계도를 작성하였다. 첫 번째 범주인 측정의 의미 파악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둘레나 넓이의 속성 파악에서 혼동을 보이거나 직관적으로 넓이를 비교해야 하는 과제에서도 계산을 시도하는 지식 상태가 반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범주인 공식 활용과 관련해서는 학생들의 상당수가 부적합한 수치를 넣어 무조건 넓이 계산을 시도하고 있었다. 또한 세 번째 범주인 전략 사용에 관해서는 분할이나 등적변형 등의 전략을 알고 있는 학생 중에도 40% 가량은 문제를 표상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해결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수학교사의 지식에 관한 연구

  • Sin, Hyeon-Yong;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297-30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교과, 학생,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필요함을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에 관한 세 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학생의 학습과 효과적인 교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학에 대한 바른 이해는 학생의 질문에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수업을 계획하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담화를 수학적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었다. 따라서 수학을 잘 아는 것이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보장하지는 못하지만, 교사가 잘 알지 못하는 것을 가르칠 수는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Probability (확률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 Shin, Bo-Mi
    • School Mathematics
    • /
    • v.10 no.3
    • /
    • pp.463-48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probabilit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probability was analyzed in detail into 2 categories: (a) subject matter knowledge, (b)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The results showed,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that the teachers have some probability misconception. And, it showed, in the point of the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they could not explain why students have difficulties to solve some tasks with regard to probability. This study raised several implica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 PD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Respect to Division (나눗셈 개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도 분석)

  • 김민경
    • School Mathematics
    • /
    • v.5 no.2
    • /
    • pp.223-2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division through open-ended problems focused on the following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division : connectedness between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as well as the knowledge of units.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division such as the making word problem including division of fraction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units in division operation.

  • PDF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ddress Student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Ratio and Rate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 Kang, Hyangim;Choi, Eun Ah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4
    • /
    • pp.613-632
    • /
    • 2015
  • In this study, we hope to reveal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ddress student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ratio and rate. The instruments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3 in-service primary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consists of profound knowledge about ratio and rate beyond multiplicative comparison of two quantiti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definitions of textbook.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is the ability to recognize students'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the representation about ratio and rate.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is made up of knowledge about various context and visual models for understanding ratio and rate.

발생론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교실 - C. Kamii의 '두 자리 수 더하기 두 자리 수' 수업을 중심으로 -

  • Kim, Ji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71-382
    • /
    • 2004
  • Kamii는 피아제의 발생론적 인식론이란 이론을 모태로 수학을 지도해야 학습자가 수학을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믿음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Kamii가 이런 신념을 갖고 실시한 수업을 녹화한 비디오 자료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특징은, 교사가 가르쳐야 할 지식을 직접적으로 지도하지 않는 대신에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매개자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두번째, 기저지식으로서 학습자의 비형식적 지식을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분위기이다. 세 번째, 두 번째와 관련되어서 학습자의 사고과정은 성인이나 학문적 체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사고 흐름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 준다. 네 번째, 교사의 역할이 가르쳐야 할 지식을 가르치는데(전수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생성해 낸 여물지 않은 아이디어들을 익힐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다섯 번째, 학습자마다 기저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학습주제라 할지라도 이해의 폭과 깊이가 다르다. 따라서, 전체학급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중이라 할지라도 개별적 학습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학생들의 수학적 이해력이 저하된다는 염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학생들이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업을 받아 보지 못하기 때문이며, 이런 원인은 아마도 교사 자신이 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업 경험이 간접적으로든 직접적으로든 없기 때문일 것이다. Kamii가 실시한 수업이 학생 스스로 수학을 학습할 수 있다는 구성주의 원리를 적용한 성공적인 사례이며, 이와 같은 방향으로의 교수법의 변화가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스키마와 스키마 사이의 간격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의 관계적이해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Deok;Kim, Hwa-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77-86
    • /
    • 2003
  • 초등학교 영재들은 여러 사설 교육기관이나 국립기관 그리고 개인 교습을 통하여 많은 양의 선수학습을 행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방법과 이유를 아는 관계 이해를 하기보다는, 주어진 규칙을 적용하여 정답을 찾아내는 도구적 이해를 하고 있다. 그들은 수학을 능동적이기보다는 수동적인 입장에서 받아들이기에 새로운 수학적 지식을 창출하지 못하는 성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초등학교 영재들이 가지고 있는 수학적 스키마와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스키마 사이의 간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대전에 있는 영재교육기관에 등록된 초등학교 3학년 영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한 결과, 스키마와 스키마 사이의 간격이 멀수록 학생들이 방법과 이유를 아는 관계적 이해를 하기보다는 주어진 규칙을 적용하여 정답을 찾아내는 도구적 이해를 하고, 그 간격을 줄일수록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고학년의 수학내용까지도 스스로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성향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 간격이 적을수록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학습받은 내용을 자신의 지식으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문제에 적용을 쉽게 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학생들의 수학적 스키마와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스키마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이 학생들이 수학을 관계적 이해를 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잇음을 보이려고 한다.

  • PDF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spects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이 인식하는 이해 측면 분석)

  • Kim, Myung-hee;Chu, Cho-won;Kim, Yo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1 no.4
    • /
    • pp.600-608
    • /
    • 2011
  • The ultimate goal of instruction is for learners to understand contents they have to learn in class. Therefore, shedding light is nee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when class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o do this, 87 middle school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down questions they ask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in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Wiggins & McTighe's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data. A survey was conducted on 90 teachers and 370 ninth-grade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emanded explaining, interpreting and perspective a lot, but applying, empathy and self-knowledge were scarcely required. Second, the teachers demanded explaining the most, and the students as well. The next aspect of understanding in both groups was interpreting, followed by perspective, applying, empathy and self-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p<0.05). Third, the students persevered explaining, applying and self-knowledge the same way as the teachers demanded, but not for interpreting, perspective and empath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to achieve the instruction objectives of understanding successfully.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Eye in Biological Science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부산광역시 중고등학생의 눈에 대한 생물교육학적 이해도와 지식도)

  • Lee, Jeong-Ha;Choi, Woon Sang;Kim, Yoon Kyung;Lee, Jae Yoon;Lee, Myung Su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4 no.4
    • /
    • pp.89-96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eye in biological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Methods: A total of 82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schools particip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est.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grade and gender. Results: In the survey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ye in the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re learning of the eye in biological science lecture led to the mor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eye.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the eye between learned and unlearned students in biological sciences lecture was significant (p<0.01). In the survey of the knowledge of the eye, students did not know about myopia and astigmatism (average value <50). Conclusions: As biological science educat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eye, this result suggests that more information about the eye in the curriculum of biology is inclu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