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 보습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8초

갈근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oisturizing Effects of Puerariae Radix Ethanol Extract)

  • 홍철희;이성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7
    • /
    • 2017
  • Objectives : 갈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Methods : HaCaT 세포주에 갈근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고 Retinoic Acid $1{\mu}M$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MTT assay, RT-PCR, Hyaluronidase enzyme assay, HA-ELISA kit를 통해 Hyaluronic Acid의 합성량, Hyaluronidase 저해율, 농도별 Hyaluronic Acid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실제로 피부에 도포 시 보습 능력이 있는지 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Results : 갈근 에탄올 추출물은 뚜렷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는 않았고, 모든 농도에서 Hyaluronic Acid 합성과 관련된 hyaluronic acid synthase 2 유전자가 발현되었고, 실제로 Hyaluronic Acid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임상 효능 평가에서는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Conclusions : 갈근을 한방 외용제로 사용할 때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를 토대로 갈근의 최적 사용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 연구와 복합 처방으로 사용했을 경우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한방 외용제로서 잠재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미노산 동시분석을 통한 피부보습능과 각질 중 아미노산 함량과의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Dryness and Amino Acids in Stratum Corneum)

  • 주경미;한지연;손의동;남개원;정혜진;임경민;조준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5-82
    • /
    • 2012
  •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는 정상 피부 내의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용성, 친수성 성분을 총칭하는 말로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을 증가시키며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의 유연성과 가수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NMF는 주로 아미노산과 아미노산의 대사산물로 구성되며 이들은 필라그린(filaggrin)이 분해되면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각질층의 22종의 개별 아미노산의 함량분석을 통하여 피부보습능과 개개의 아미노산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15명의 건강한 지원자들의 전박과 이마로부터 tape stripping한 각질 시료 중 22종의 아미노산 함량을 UPLC-PDA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질 표면보다는 안쪽에서의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 부위별 비교에서 전박이 이마에 비해 아미노산 함량이 1.5배 정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전박부위의 아미노산 총 함량과 보습능(TEWL)과의 상관 관계분석을 통해서는 보습능이 클수록 총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Ser, Glu, Gly, Ala 및 Thr은 각질 내 존재하는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보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NMF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질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각질층의 아미노산의 통합적인 분석법은 보습, 노화, 미백, 피부 염증질환 등 다양한 피부 상태와 아미노산류들의 변화와의 관계를 깊이 이해하고 피부 기능과 관련된 새로운 분자적 타겟을 발굴하고 증명하는데 기초적인 방법으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추출물 식이공급이 무모생쥐의 표피보습 개선 및 유리아미노산 생성 관련 대사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hydration improvement and metabolism of free amino acid generation in epidermis of UV-irradiated hairless mice)

  • 최수민;신지혜;이보민;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269-2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병행하여 녹차 추출물의 식이공급을 10주간 공급한 무모생쥐 (UV+1%GTE군)의 표피 보습과 filaggrin 의 대사물질 및 관련 효소인 PAD3의 발현 및 함량 변화를 정상대조군 (UV-군) 및 자외선 조사군 (UV+군)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UV+군의 피부 보습은 UV-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UV+1%GTE군 의 피부 보습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UV-군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UV+군의 profilaggrin 함량은 UV-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ilaggrin의 함량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 에서 profilaggrin은 UV- 및 UV+에비해 현저히 높았고, filaggrin은 UV-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높았다. UV+군의 PAD3 효소 발현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UV+1%GTE군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UV-군에 비해 높았다. 자연보습인자의 주요 아미노산인 serine 및 glycine, alanine의 함량은 UV-군과 UV+군간 유사하였으나 UV+1%GTE군에서는 UV- 및 UV+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UV-군과 비교하여 UV+군의 피부 보습함량이 낮게 측정된 것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변화가 없어 자외선에 따른 피부 보습에 관여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인 표피 지질함량 분석과 함께 녹차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녹차 추출물 식이 공급은 (pro)filaggrin의 함량 및 PAD3의 발현이 높게 나타남에 의한 표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궁극적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피부건조를 완화시켰다.

건조한 가을철 피부를 촉촉하게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0권10호통권335호
    • /
    • pp.32-33
    • /
    • 2006
  • 가을철 피부는 여름 내내 검게 타고 각질이 두꺼워 졌으며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 피부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다. 피부는 건조하고 버석거려 잔주름이 쉽게 눈에 띄고 여름동안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기 위한 작용으로 멜라닌 색소가 증가되어 기미, 주근깨가 두드러진다. 그러므로 다양한 팩 손질과 보습 관리 등으로 건조해지는 날씨와 기온에 대응하는 피부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 PDF

글루코실세라마이드 함유 파인애플과실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피부 장벽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Pineapple Fruit Extract Containing Glucosylceramide on Skin Barrier Function Improvement in Animal Model of Atopic Dermatitis)

  • 미야케 야스오;조호영;김영동;염명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5
    • /
    • 2021
  • 본 연구는 PFEG(글루코실세라마이드 4.0% 함유)가 저 미네랄 특수사료(HR-AD)를 섭취시킨 헤어리스 마우스에서 발생하는 피부장벽 붕괴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4주간의 투여를 통해 정상군(Rabo MR Stock)과 비교하여 대조군(HR-AD)에서는 경피 수분 손실량(TEWL)이 서서히 상승하여 피부장벽기능의 붕괴가 발생함과 동시에 표피 수분량 및 각층 수분량도 서서히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육안적으로는 깊은 주름 형성이 확인되었으며 조직학적 소견에서는 표피의 비후와 각화 항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PFEG를 섭취시킨 시험군에서는 대조군에서 유발되는 피부장벽기능 붕괴에 대한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글루코실세라마이드 0.01% 배합군 및 0.1% 배합군에서는 섭취 시작 2주일째 이후 야기되는 TEWL 상승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또한, 저하되는 표피 수분량, 각층 수분량에 대해서도 유의하게 억제하여 피부 보습 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육안적으로도 깊은 주름 형성은 억제되었으며, 조직학적인 검토에서도 표피의 비후나 각화 항진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HR-1 마우스의 피부 세라마이드 생산 개선에 기인한 결과라고 예상된다. 즉, HR-AD 섭취에 의해 HR-1 마우스는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피부 지질의 함량 및 구성에 이상이 생기고, 피부 수분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피부 보습 능력이 저하된다. 그런데 PFEG의 혼합 투여는 손상된 피부의 세라마이드 함량 및 구성을 정상과 가깝게 만들어, 대조군에서 나타나는 증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FEG의 섭취는 피부장벽기능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보습 개선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FEG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성 원료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세톤에 의해 손상된 개 피부장벽 모델에서의 경표피수분소실도 및 각질층보습도 평가와 전자현미경적 관찰 (Transepidermal Water Loss, Stratum Corneum Hydrati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 on Acetone Damaged Canine Skin Barrier Model)

  • 오원석;박성준;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146
    • /
    • 2010
  • 본 연구는 실험적으로 개의 피부장벽 손상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아세톤을 이용하여 개 피부장벽의 손상을 유도하고 손상의 정도를 경표피수분소실과 각질층보습도 수치를 측정하였다. 손상 후의 각질층세포간 지질구조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및 임상병리학적 검사에서 건강한 2~4세령의 수컷 비글 개 6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아세톤에 의해 피부는 삭모 후 48시간후 에 손상되었다. 경표피수분소실도와 각질층보습도는 아세톤 손상전보다 손상후에 유의성 있게 저하되었다. 아세톤 손상표피의 전자현미경학적 평가에서는 손상된 각질세포간 비정상적이고 불완전한 지질층판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세톤을 이용한 개의 피부장벽손상은 개 아토피나 건성피부 연구를 위한 손상모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Antibaterial Activity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 김선영;이민혜;조나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5-3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여 인체 피부를 대상으로 보습 효능을 측정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네 가지 피부 상재균에 대한 MIC를 측정한 결과, P. acnes과 S. aureus에 대한 MIC는 각각 0.13 %, 0.03 %로 비교 물질인 methyl paraben보다 더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P. ovale과 E. coli에 대한 MIC는 모두 0.25 %로 methyl paraben 보다 낮은 MIC를 나타내었다. 피부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을 0.25 %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14명의 피실험자의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랑과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각각 30 min, 60 min 간격으로 180 min 동안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보유량은 placebo 크림에 비하여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함유 크림이 10 ~ 15 % 정도 더 큰 수분 보유량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을 때, 무도포(control) 상태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8.9 g/$m^2h$, 추출물 함유 크림은 6.7 g/$m^2h$으로,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피부 표면의 수분 손실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대한 결과로부터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잎새버섯이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체의 보습력과 자극완화 효과 (Anti-irritation and Moisturizing Effects of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Grifola frondosa)

  • 이범천;김진화;배준태;이동환;심관섭;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1
    • /
    • 2005
  • 잎새버섯 균사체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세포외 다당체(exopolysaccharide, GF-glucan)의 피부보습과 SLS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한 자극완화 효과를 연구하였다.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손실량 또한 전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GF-glucan을 함유한 화장품의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 피부에 $0.5\%$ SLS 첩포로 유발된 자극성 피부염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한 결과, SLS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정도가 피검자의 피부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GF-glucan이 함유된 제품의 도포 부위에서 대조 부위에 비해 홍반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자극유발 후 피부에 대한 수분유지와 피부 수분 손실량을 감소시킴으로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잎새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하여 생산한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세포외 다당체인 GF-glucan을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와 자극 완화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Ganoderma lucidum 균사체의 액체배양의 의한 sphingolipids의 생산 및 피부 보습 효과 (Production of Sphingolipids by Submerged Culture of Ganoderma lucidum and Cutaneous Hydration Effect)

  • 류일환;김정은;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55-661
    • /
    • 2004
  • Ganoderma lucidum 균사체의 액체 배양을 통하여 균체 내 sphingolipid를 분리 정제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피부보습을 비롯한 각종의 기능성을 탐색하여 화장품 소재 및 새로운 생물 산업소재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배양한 Ganoderma lucidum로부터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crude sphingolipids를 얻고, methanol침전, Dowex AG $50W-X8(H^+\;form)$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행하여 sphingolipids를 분리하였다. 생산량은 0.4g/L였으며, 수율은 1%였다. UV/VIS spectrum, FT-IR 및 1H-NMR 분석을 행하여 구조를 해석한 결과 phytosphingosine 유도체로 판명되었다. 이 phytosphingosine 유도체의 피부에 대한 보습효과는 $5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20% 정도 skinmate 값이 증가하였으며, $100{\mu}/mL$ 이상의 농도에서 거칠기 감소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noderma lucidum이 생산하는 sphingolipids는 피부보습 및 거칠기 개선에 유의성이 확인되어 화장품 소재 및 새로운 생물 산업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기계적 평가와 이미지를 이용한 얼굴의 번들거림과 윤기의 분류 기준의 연구 (The Differentiation Criteria between Greasiness and Shininess on The Face Using Mechanical Evaluation and Image)

  • 장윤정;김보라;문태기;김남수;이선화;이혜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1-238
    • /
    • 2018
  • 얼굴 피부는 신체 건강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매력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윤기 나는 피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호하며 윤기 나는 피부 표현을 위해 다양한 화장품들이 만들어져왔다. 하지만 윤기 있는 피부는 주관적 평가이기 때문에 기름진 피부의 경우 기존의 피부 윤기 평가 방법으로는 명확한 윤기 있는 피부로 평가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윤기와 유사하게 광이 있지만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번들거리는 피부와 명확한 분류 기준 또한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측정 파라미터 5개[피부 광채, 피부 보습, 피부 투명도, 피부 피지, 안면 이미지]를 측정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이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근거하여 각각의 윤기 있는 피부와 번들거리는 피부의 이미지를 선별하여 피부 측정의 정량화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번들거리는 피부에서 피부 광채 및 피지 증가, 투명도 감소, 보습 감소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윤기 있는 피부의 경우 피부 광채, 피지, 투명도는 유사한 패턴을 보였지만 보습이 유의차 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기측정 및 정량적 평가를 통해서 윤기 있는 피부와 번들거리는 피부를 분류하는 객관적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