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교육과정

Search Result 46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ies curriculum based on overseas higher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38
    • /
    • 2017
  • 미국(CS2013)과 일본(J07-CS)은 고등교육의 수준에서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는 표준 정보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 정보교육과정 표준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의 표준교육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 교육과정 구성 현황 분석 및 내용 지식에 근거하여 과목을 구성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미국의 고등 정보교육과정은 변화하는 컴퓨팅 환경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으로 진화하고 있었다. 국내 대학의 정보교육과정은 CS2013의 지식영역을 52% 정도만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의 교육과정 과목 구성방침에 근거하여 과목 구성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대학의 표준 정보 교육과정이 없는 상황에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CSTA 2003과 2011 비교를 통한 한국의 정보교육과정 표준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for Informatics Curriculum Standard of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CSTA 2003 and 2011)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1-51
    • /
    • 2016
  • 교육과정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개발은 수시 개정 시 지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의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이론, 외국의 교육과정 등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CSTA 2003과 2011 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목적과 표준이 갖는 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의 교육과정 검토의 유의사항 및 평가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대학과목선이수제(UP)의 통계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Statistics for University-level Program)

  • 이종학;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53-6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수준의 심화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과목선이수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대학과목선이수제와 유사한 외국의 사례, 대학과목선이수제의 한 과목인 미적분학, 대학통계학 관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확률 통계 영역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대학과목선이수제의 과목으로 개발된 수학 영역의 통계학 표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절차, 그리고 통계학 표준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로서 학습목표, 내용 기준, 성취 기준, 교수 학습상의 유의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과목선이수제에서 통계학 표준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 및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과목선이수제에서 다른 수학 분야의 표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의 기반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2022년 개정을 위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 제안 (Proposing the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scheduled to be revised in 2022)

  • 김자미;우호성;양혜지;김민정;김성희;이소율;김보선;김영애;곽지혜;최현종;정인기;이영준;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28
    • /
    • 2020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정보기술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각 학교급에 갖추어야 할 역량에 근거하여 정보과의 표준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8개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고등 정보교육과정 표준의 지식체계를 프레임으로 하여 교육과정의 학습요소를 추출하였다. 구성된 표준 교육과정은 51인의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10차례에 걸쳐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정보과 교육과정을 통해 육성되어야 하는 역량을 정의하고, 해당 역량을 습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습요소의 구성, 그리고 학습요소의 학습을 통해 발현될 수 있을 역량 등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정보과 표준 교육과정은 향후, 2022년에 개정될 정보과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동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1-468
    • /
    • 2009
  • 사서 및 사서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서(사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각종 시험에서 채택되는 교과목에 대한 교육 영역과 교육 내용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국가고시에서 요구되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술한 현장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사서 및 사서교사의 자격기준 및 임용고시와 관련된 국가의 고시 및 령과 시행규칙 등을 검토하고 둘째,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교과목들의 타당성을 검토하며 셋째, 전술한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도출된 교과목들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도서관 현장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토의를 통하여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IS 2002 표준교육과정에 입각한 국내 정보시스템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IS-Related Curriculums in Korea Based on the IS 2002 Model Curriculum)

  • 류영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149-171
    • /
    • 2010
  • 본 연구는 독립된 학문분야로서의 정보시스템이 갖는 표준교육과정의 핵심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국내 정보시스템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정보시스템의 표준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IS 2002 표준교육과정의 핵심교과목을 기초로 국내 정보시스템 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을 비추어 보았을 때 전체 교육과정 가운데 약 58%만이 이에 해당하였다. 이는 곧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정보시스템이 아직 국내에서 충분히 학문으로서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핵심교과목에 있어서는 편중됨이 없이 대체로 각 영역에 고루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보시스템이 경영학을 모태로 출발하였음을 나타내는 증거가 인접학문의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인접학문 가운데 거의 독보적으로 70% 이상의 교과목이 경영학분야(회계학 포함)로 편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한편으로 정보시스템이 경영학에 의존하는 바가 커서 경영학으로부터 독립하여 독자적인 학문영역을 구축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국립대학 및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대학에서 독립된 학과(학부)를 개설하는 대신에 경영학과(학부) 내에서 몇 개의 관련 교과목을 편성하는 수준으로 전공을 운영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

  • 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7-231
    • /
    • 2012
  • 지리는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이해를 증진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을 갖춘 도구 교과이지만, 중국의 지리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에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 과정과 최근의 교육과정인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지리교육과정은 정치적 이념과 사회적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번창${\rightarrow}$위축${\rightarrow}$진흥${\rightarrow}$발전의 과정으로 발달하였다. 둘째, 최근의 지리과정표준은 종합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내용표준 중심의 개혁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생 중심 그리고 지리적 지식과 기능의 유기적 연계를 추구하는 활동 중심으로의 변화가 가장 큰 특징이다. 셋째, 지리과정표준은 크게 서언, 과정목표, 내용표준, 실시건의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초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지구와 지도, 세계지리, 중국지리, 향토지리 4영역의 기초적인 지리 지식과 기본적인 지리 기능을 강조한다. 다섯째, 고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은 3개의 필수과목과 7개의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직업과 지역 실정을 고려한 지리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 PDF

일본의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 (Implications toward the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Korea through Standard Analysis of Japan's Liberal Arts Informatics Curriculum)

  • 김미정;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3-22
    • /
    • 2020
  • 본 연구는 일본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J07-GE, J17-GE와 관련된 다양한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두 표준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개정판인 J17-GE가 반영하는 정보학에 대한 지식의 범위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CS에 관한 교육과정 표준들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팅 사고력 관점과 일본 정보학 정의에 기반한 J07-GE, J17-GE를 통해 정보의 원리와 지식은 보편적인 교양으로서 전체 대학생의 역량을 길러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지식체계 뿐 아니라 시수, 방법 등에 대한 논의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 정보교육의 내실화 및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지리교육내용의 표준설정 방법 - 지적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tent Standard of Geographical Education)

  • 조성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6-291
    • /
    • 2002
  • 현행 교육과정의 지리교육내용은 포괄적이고 추상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전체 교육의 일부분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지리교육 자체의 교육 내용 체계화를 이루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지리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법으로, 지리학에 기반을 둔 지리교육 내용의 표준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지리교육의 표준 설정 방안으로 대주제, 기본 주제, 주요 표준, 표준, 상세 표준을 제시하였다. 대주제는 지리교육 전반을 통찰하는 대개념으로서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해', '장소 또는 지역에 대한 이해', '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 이해'의 3개를 선정하였다. 기본 주제는 '지리적 기능', '자연 환경' '인문 환경', '장소 및 지역', '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의 5개를 선정하였다. 표준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지리교육내용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주요 표준'표준', '상세 표준'의 3단계로 상세화했다.

한국 고등정보교육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Higher Informatics Education in Korea)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03-105
    • /
    • 2017
  • IT의 급속한 발달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각국은 불확실한 사회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정보교육을 강화하고 있는 것도 IT의 발전이 국가의 경쟁력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미국의 고등정보 교육과정 표준인 CS2013에 근거하여, 층화표집과 무선추출로 선정된 한국의 7개 대학 정보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나의 대학을 제외한 모든 대학은 소프트웨어 개발 기초(SDF)와 프로그래밍 언어(PL)과 관련된 과목개설 비중이 15%이상 29.2%이하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플랫폼 기반 개발과 병렬 및 분산 컴퓨팅 지식영역을 세 곳의 대학만 포함하고 있었으며, 정보 보호와 보안영역은 네 곳의 대학만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황에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단초 및 고등교육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