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코칭 리더십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9초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국내 학술지(2011년~2020년)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and Scales of Coaching Leadership: Focusing on Academic Journals in Korea(2011~2020))

  • 조성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35-34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척도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2011년~2020년에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코칭 리더십 관련 논문 총 85편이고, 224명의 코치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owell의 견해가 가장 많이 인용되었지만, 정작 그는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지 않았다. 둘째, 코칭 리더십 척도를 국내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은 조은현·탁진국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스스로 일부 항목의 불안정성을 인정했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향후 코칭 리더십 연구를 진행할 때, 코칭 리더십 구성요소에 관한 조작적 정의, 개발된 구성요소에 대한 코칭 현장과의 일치성 검토와 통계적 검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이바지하고 있다.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경력계획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y of Impact of Leader's Coaching Leadership on members' Career planning and Attitudes)

  • 원상봉;이지현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47-157
    • /
    • 2011
  • 경영환경의 변화로 인해 리더에게는 새로운 리더십 스타일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등장하고 있는 것이 코칭리더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이 경력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성원의 경력계획에 한정하여 살펴보고, 또한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코칭리더십의 하위 구성요소를 방향제시, 촉진, 지지, 경청 및 질문으로 제시하고 경력계획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 대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코칭리더십의 하위요소는 구성원의 경력계획의 구체성 및 도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력계획의 구체성과는 방향제시와 경청이, 경력계획의 도전성과는 지지가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도 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이직의향과는 부(-)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코칭리더십의 하위 요소 중 조직몰입에는 촉진과 질문이, 직무만족에는 촉진이, 그리고 이직의향에는 방향제시와 질문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리더십이 제대로 발휘될 경우 구성원이 경력계획을 보다 구체적이고 도전적으로 수립하게 되며,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이 커지며, 이직의향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해 조직에서 리더의 리더십 육성프로그램으로 코칭리더십을 도입할 경우 조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PDF

경호무도지도자의 리더십행동이 역할 지각과 코칭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curity Martial Arts Leaders' Leadership Behaviors on Role Perception and Coaching Confidence)

  • 권영우
    • 시큐리티연구
    • /
    • 제49호
    • /
    • pp.97-129
    • /
    • 2016
  • 본 연구는 경호무도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역할지각, 코칭자신감 간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로써 현직 경호무도지도자 들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구 가설의 검증에 앞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잠재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1) 특히 코칭자신감 중 심리적 코칭자신감과 인간관계적, 심리적 코칭자신감, 운동지도, 운동처방, 봉사활동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증 결과를 확보하였다. 첫째, 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십행동이 역할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더십행동은 역할지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둘째, 가설 2에 대한 검증 결과, 역할지각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할지각은 코칭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셋째, 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행동은 코칭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지지되었다. 넷째, 최종적으로 리더십 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총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역할지각의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지각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 되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더십행동을 통한 코칭자신감 함양에 있어서는 역할지각이 함께 병행되었을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간호사의 코칭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s Coaching Leadership on Self-Efficacy,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in Hospital)

  • 박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60-27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울산의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제고를 위하여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적극적인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치과위생사(치과종사자)의 코칭리더십이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직무만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that Coaching leadership of Dental Hygienist (Dental practitioners) affects in the Motivational self-concept,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t)

  • 윤성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61-267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종사자들의 코칭리더십이 직무 만족도,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경북지역 205명의 치과위생사(간호조무사)를 조사하였다. 코칭리더십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2.67, 개발코칭 2.61, 관계코칭 2.61로 나타났다. '나의 상사는 나의 발전을 위한 연수교육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 준다'가 2.50으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징에 따른 코칭리더십은 20-25세, 경력 1-5년, 미혼, 수입 2000만원 이하, 직속상관은 여성, 직속상관 나이 20-30세, 직속상사 직위는 팀장, 선임치과위생사가 높았다(p<.05). 코칭리더십에 대한 직무만족도,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삶의 질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따라서 올바른 코칭리더십은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개인의 발전을 높이기 위한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삶의 질도 높인다.

코칭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n Performance Appraisal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 이정희;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45-7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코칭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의 관계에서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코칭리더십이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서 종사하는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과 인사평가효과성의 관계에서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코칭리더십과 부정피드백 추구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의의와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미래 연구과제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코칭리더십과 조직 효과성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Dental Hygienists)

  • 이숙정;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33-140
    • /
    • 2017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코칭리더십과 조직 효과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2016년 12월 7일부터 2017년 1월 15일까지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21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코칭리더십이 리더와 구성원 간의 라포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의 방향제시(p<0.001)와 관계(p<0.001)로 나타났고,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의 관계(p<0.001), 방향제시(p<0.05), 역량개발(p<0.05), 수행평가(p<0.05)로 나타났다.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의 관계(p<0.001), 역량개발(p<0.01)로 나타났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코칭리더십은 조직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코칭리더십 교육 훈련이 체계적이고 융합적으로 이루어져 리더와 조직구성원 간의 신뢰를 쌓고, 소통하면서 효율적인 업무의 몰입과 성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직무특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코칭 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Coaching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 우형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425-435
    • /
    • 2015
  • 코칭에 대한 실무적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정의와 발전은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현장에서 이미 광범위하게 수용된 코칭이 직무성과에 기여하는 실제적 영향과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이다. 대다수 선행연구들은 코칭교육의 우수성이나 효과성에 대한 선언적 평가에 그쳤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코칭 리더십(managerial coaching)이 직무특성이론의 동기부여과정에 개입하는 영향을 실증하고, 코칭교육이 아니라 관리자의 코칭활동에 집중하는 행동주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금융기업의 조직구성원 453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직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핵심직무특성 중에서 직무유의성(job meaningfulness) 및 자율성(autonomy)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코칭리더십이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수준 간 영향(cross-level moderating effect)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무특성의 요건에 따라 집중해야 할 코칭의 기술과 방향이 최적화 관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는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수행된 코칭교육이 간과했던 실천적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의 융복합 환경에서 코칭리더십, 직무특성,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Coaching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vergence Environment)

  • 권기창;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247-262
    • /
    • 2016
  • 융복합 환경에서 창의성을 포함한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특성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코칭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의 행동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코칭활동은 직무특성에는 정적,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은 코칭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코칭리더십 자체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코칭 활동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될 때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코칭리더십이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Resili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Job Performance)

  • 박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68-381
    • /
    • 2018
  •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이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작용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의 U대학교 병원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회복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대인관계능력과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칭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회복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칭리더십, 회복탄력성 및 대인관계능력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