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ecurity Martial Arts Leaders' Leadership Behaviors on Role Perception and Coaching Confidence

경호무도지도자의 리더십행동이 역할 지각과 코칭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10.31
  • Accepted : 2016.12.1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security martial arts leader's leadership behaviors on their role perception and coaching confid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role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eadership behaviors and their coaching confide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cumbent security martial arts leaders.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prior to a test of research hypothe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potential factors(< p.01). Especially, there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aching confidence, human relational coaching confidence, exercise coaching, exercise prescrip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The detailed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we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showed that leadership behavi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ole perception, supporting hypothesis 1. Second, hypothesis 2 showed that role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aching confidence, supporting hypothesis 2. Third, hypothesis 3 showed that leadership behavi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aching confidence, supporting hypothesis 3. Fourth, hypothesis 4 showed that role perception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s of leadership behaviors on coaching confidence, supporting hypothesis 4.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security martial arts leader's leadership behaviors on their coaching confidence can be maximized in combination with their role perception.

본 연구는 경호무도지도자의 리더십행동과 역할지각, 코칭자신감 간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로써 현직 경호무도지도자 들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구 가설의 검증에 앞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잠재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01) 특히 코칭자신감 중 심리적 코칭자신감과 인간관계적, 심리적 코칭자신감, 운동지도, 운동처방, 봉사활동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증 결과를 확보하였다. 첫째, 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십행동이 역할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더십행동은 역할지각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둘째, 가설 2에 대한 검증 결과, 역할지각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할지각은 코칭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셋째, 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십행동은 코칭자신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지지되었다. 넷째, 최종적으로 리더십 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총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역할지각의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리더십행동이 코칭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할지각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 되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더십행동을 통한 코칭자신감 함양에 있어서는 역할지각이 함께 병행되었을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배완(2006). 한국 민간경비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2, 51-72.
  2. 김백수, 김용국(2009).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스포츠 자신감과 내적동기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1), 587-596.
  3. 김병태, 김선응(2010).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 자신감, 경쟁상태 불안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2(3), 159-171.
  4. 김봉선, 변소현(2012). 직업무용수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관계에서 대처 전략의 중재효과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425-436.
  5. 김원배(1999). 스포츠자신감 질문지(SSCQ)의 타당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0(2), 33-42.
  6. 김윤경(2002). 스포츠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5-143.
  7. 김정만(2008). 위기관리를 위한 경호무도 교육훈련 체제 정립방안. 용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9-110.
  8. 김정묵, 정동군(2006). 자신감에 따른 직업의식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73.
  9. 김정묵, 장호중(2005). 스포츠인의 여가인식과 스포츠자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0(3), 283-293.
  10. 김향수, 김희경, 박연숙(2011). 무도인의 직업의식과 영향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 31(3), 591-606.
  11. 김현호(2005). 경호무도로서 태권도 가치와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용인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96.
  12. 김형욱(2014). 경호무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9-121.
  13. 남광우, 최영준(2015). 경호지도자의 리더십 지식과 역할만족 및 자신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6), 463-473.
  14. 대한체육회(2016). 하계올림픽대회http://www.sports.or.kr/home/010402/002
  15. 남정훈(2010). 무도인의 신체적 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3), 395-405.
  16. 박기범, 김태민(2010). 한국 합기도 기술의 경호무도 적용. 대한무도학회지, 12(3), 343-359.
  17. 박봉길, 신준옥, 최승민(2013).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과 직업의식이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학회. 17(4), 197-219.
  18. 박준석(2001). 경호무도의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지, 12(1): 15 16.
  19. 백승우(2012). 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 159-174.
  20. 서종영(2001). 경기에서 스포츠 자신감과 운동수행과의 관련성. 대구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61.
  21. 양현일, 박석돈(2012). 활동 보조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학회. 16(3), 339-360.
  22. 염상국(1997). 요인경호 시 근접경호원에게 요구되는 행동이론에 관한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5-81.
  23. 오경록(2010). 여자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3), 225-237.
  24. 오세광(2009). 경호무도지도자의 전문성 향상방안. 용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9-120.
  25. 유진(2001).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기술검사지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35(3), 107-124.
  26. 이기세(2007). 한국직업의식이 경호원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57.
  27. 이부심(2009). 직업교육수료자의 직업의식 및 윤리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7-83.
  28. 이승연, 원영신, 조성원(2013). 생활체육광장지도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업의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6), 409-422.
  29. 이철형(2007). 수발인력의 전문 직업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71.
  30. 전광수(2004). 한국 민간 경호.경비 산업의 발전방안,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7-105.
  31. 정성숙(2005). 경호무도 수련이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9-94.
  32. 정여숙(2008). 직업의 주관적 삶의 질과 통제위 성격에 관한 조사. 한국교육학회지. 14(1), 117-126.
  33. 최연숙(2005).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정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76.
  34.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직업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 및 만족도조사.
  35. 한혜원(2010). 스포츠선수의 자기관리, 자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4권 3호, 153-166.
  36. 홍이수(2010). 여성 태권도 지도자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성차별의식, 역할만족 및 직업의식의 관계.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76.
  37. 황성훈(2005). 조직몰입과 전문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75.
  38. Abma, C.L., Fry, M. D., Li, Y. & Relyea, G.(2002). Differences in imagery content and imagery ability between high and low confident track and field athlete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4, 67-75. https://doi.org/10.1080/10413200252907743
  3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0.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 soft ought and action: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 wood Cliffs, NJ:Prentice-Hall. 119.
  41. Balaguer, I., Castillo, I., Tomas, I., & Vealey, R. S.(2004). A cultural analysis of sources levels of confidence athletes Advancement of Applied Sport Psychology Conference. Minneapolis, MN. 181-189.
  42.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W. H. Freeman. 105-123.
  43. Cox, A.E., & Whaley, D.E.(2004). The influence of task value, expectancies for success, and indentity on athletes' achievement behavior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6, 103-117. https://doi.org/10.1080/10413200490437930
  44. Deci, E.L., & Ryan, R. M.(1985). In 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Plenum. 130.
  45. Denham, C. H. & Michae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rther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6(1), 39-61.
  46. Kaye, S. H., Chapman, S., Newcomer, R. J., & Harrington, C(2006). The personal assistance workforce: Trends in supply and demand. Health Affairs, 25, 1113-1120. https://doi.org/10.1377/hlthaff.25.4.1113
  47. Lenney, E.(1977). Women's self-confidence in achievement situations. Psychological Bulletin, 84, 1-13. https://doi.org/10.1037/0033-2909.84.1.1
  48. Lirgg, C. D.(1991). Teacher ver suspeer models revisited:Effectsonmotorperformance and self-efficacy.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2, 217-224. https://doi.org/10.1080/02701367.1991.10608713
  49. Lirgg, C. D., George, T. R., Chase, M .A, & Ferguson, R.H.(1996). Impact of conception of ability self-efficacy.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 426-434. https://doi.org/10.1123/jsep.18.4.426
  50. Marianne, D(2005). Change in job values dur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18(4), 385-400. https://doi.org/10.1080/13639080500327774
  51. Mead(1974). Development of a role conflict question naire for women : some preliminary findings. J Consult Clin Psychol. 42(5), 743. https://doi.org/10.1037/h0037052
  52. Perry, J. D., & Williams, J. M.(1998). Relationship of intensity and direction of competitive trait anxiety to skill level and gender in tennis. The Sport Psychologist, 12, 169-179. https://doi.org/10.1123/tsp.12.2.169
  53. Vealey, R. S., & Knight, B. J. (2002). Multidimensional sport-confidence: A conceptual and psychometric extension. the Advancement of Applied Sport Psychology Conference, Tucson, AZ. 133-150.
  54. Vealey, R. S.,& Chase, M. A.(2008). Self-confidence in sport: Conceptual and research Advances. In T. S. Horn (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3r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78-105.
  55. Williams, R. M.(1992). The concept of Values in David L.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16, 283.
  56. Wilson, R. C., Sullivan, P. J., Myers. N. D., & Feltz, D.L.(2004). Sources of sport confidence of master athletes. Journal of Sport Exercise Psychology, 26, 369-384. https://doi.org/10.1123/jsep.26.3.369
  57. Xinyi,Z., Smith, D., & Adegbola, O.(2004).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six mental qualities among Singaporean, North American, Chinese, and Nigerian professional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 103-118. https://doi.org/10.1080/1612197X.2004.967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