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생의 전략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3초

학생의 수직선을 이용한 분수 문제 해결 전략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이해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on students' strategies for fraction tasks with number lines)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3호
    • /
    • pp.375-396
    • /
    • 2022
  • 교사가 학생의 문제 해결 전략을 이해하고 이에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64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직선을 이용한 분수 문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해결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학생들의 이해와 지도 방안을 서술하게 하는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초등학생들의 해결 전략을 통하여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다양한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해결 전략에서 드러난 오류를 교정하기 위한 지도 방안으로 측정으로서의 분수 개념을 강조하는 다양한 수직선 과제 및 활동을 제시하거나 영역모델만을 활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예비교사들이 학생들의 문제 해결 전략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분수 모델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예비교사교육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 요인 분석 (The Factor Analysis on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서순식;조나영;서원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23-432
    • /
    • 2009
  • 이 연구는 e-러닝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습전략의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에게 효과적인 e-러닝 학습전략의 구조 변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기존에 e-러닝 수강 경험이 있거나 현재 e-러닝을 수강하는 수도권 소재 초등학생들이며, 면대면 학습 상황과 e-러닝 학습상황의 학습전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학습전략 검사 도구를 분석하여 e-러닝 환경에서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학습전략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은 학습활동전략, 학습태도전략, 자원활용전략, 계획전략, 과부하관리전략의 다섯 가지로 규명되었으며, 각 전략은 제시한 순서대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전략 검사결과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Learning Strategies between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and Averag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김유미;류성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17-239
    • /
    • 2010
  •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최근연구 경향과 요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초등수학영재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학습전략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이 일반학생보다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 초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의 활용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영재의 경우 성별에 따라 자원관리전략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내며, 일반학생은 성별에 따라 학습동기에서 차이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학습동기 및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수학영재는 학습 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사이의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일반학생의 경우도 인지 초인지전략과 자원관리전략 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으나,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 사이에서 모두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 개발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est-taking Strategies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염시창;유현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80
    • /
    • 2015
  •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접을 시행하여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의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문항을 개발한 다음, 초등교원 및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또한 G광역시 소재 1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857명을 대상으로 변수중심 검사타당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 검사에서 각각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학습자원관리전략의 3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여 타당화한 결과, 3요인 23문항의 수학 시험준비전략 검사와 3요인 24문항의 수학 시험수행전략 검사가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의 각 요인별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요인별 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 김예람;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51-7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그룹 A와 그룹 C의 안구운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A는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읽고 문제의 주요어에 집중했으며, 단서들을 비교하고 경향성을 찾고 답을 재확인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룹 C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으며, 주요어와 단서를 찾지 못하고, 무의미한 짧고 빠른 도약 안구 운동을 보였다. 둘째, 그룹 A와 C의 안구 운동의 고정, 도약, 시선 경로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안구 운동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안구운동 분석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인지 전략을 유동전략과 고착전략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은 교사들이 과학적 예상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예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promotion strategies using Thinking maps on Reflective think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백동국;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3호
    • /
    • pp.219-23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학년 2개 학급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서 실험반에는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반에는 전통적인 지도서 위주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반성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셋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넷째, 생각 지도를 이용한 반성적 사고 전략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f Image of Science Teacher Desir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tific Inquiry-Based Instruction)

  • 채유정;박재용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3호
    • /
    • pp.366-389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한 후, 이들 요인 사이의 구조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교사의 모습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EF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산출된 요인 구조를 토대로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EFA 결과,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을 이루는 요인으로 5개 요인(교수 전략, 평가 전략, 사전 지도, 학생 이해, 학습 발달)을 추출하였다. CFA 결과, 교수 전략과 학습 발달, 교수 전략과 학생 이해 사이에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추출된 요인 구조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서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들은 과학 교사가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여 학습 발달을 지원하고, 효과적인 수업 전략과 적절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uccessful Intelligence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he Scientific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박영희;최선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612-624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B 교육지원청 관내에 있는 3교의 단위학교 영재학급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에서 초등과학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1). 둘째, 학년별로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을 비교했을 때, 5, 6학년 모두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평균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 < .001). 셋째, 성별에 따라 성공지능과 학습전략을 비교했을 경우, 남녀 모두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 PDF

일반학생, 영재학생, 예비교사, 현직교사의 다전략 수학 문제해결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Ordinary Students, Gifted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19-44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생, 영재학생, 예비교사, 현직교사들의 다전략을 가진 수학 문제해결 전략을 분석하여 각 그룹 간의 해결 전략을 비교하여 수학 문제해결 학습 및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초등학교 6학년 일반학생 98명, 초등 영재학생 96명, 초등 예비교사 72명, 초등학교 현직교사 60명을 선정하여 '닭과 돼지' 문제를 제시하고, 30분 동안 자유롭게 문제를 해결하면서 해결 전략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 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한 해결 전략과 시간적으로 효율적인 전략을 사용하고, 다른 그룹에 비하여 가장 많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4가지 이상의 전략을 제시한 비율은 각각 일반학생은 1%, 영재학생 54%, 예비교사 42%, 현직교사 43%로 전략의 다양성에서 영재학생, 현직교사, 예비교사, 일반학생들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별로 가장 많은 문제해결 전략의 제시는 일반학생 4가지, 현직교사 6가지, 예비교사 7가지, 영재학생 8가지 순서로 나타났다. 제언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다전략을 가지는 양질의 다양한 수학 문제해결 경험의 제공, 문제해결 전략에서 시간적 효율성 추구, 다전략 문제의 개발 및 현장에 보급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 등을 주장하였다. 후속 연구로, 다전략의 수학 문제를 교실수업에 적용하면서 보다 학생들의 의사소통 및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협력적 문제해결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다양한 전략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런 연구 결과를 수업연구 방법 등을 활용하여 교사연수에 적극 반영하여, 교사들이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의 문제해결지도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평소 학습과 시험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The Us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earning and Testing Situations)

  • 노태희;장신호;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7-33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평소 학습과 시험 상황에서의 인지 전략 및 메타인지 전략 사용을 성취 수준, 동기 수준 및 성에 따라 비교하고, 이들 전략과 학업 성취도, 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한 후 학업 성취도에 대해 설명력이 큰 학습 전략을 조사하였다.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평소 학습에서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을 하위 집단에 비하여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시험 상황에서는 인지 전략의 사용을 하위 집단보다 더 많이 하였다. 학습 동기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평소 및 시험 상황에서 인지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을 하위 수준의 학생들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평소 학습에서 전략 사용을 활발히 하는 반면 시험 상황에서는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 사용에서 성차가 없었다. 학업 성취도 및 동기와 이들 학습 전략들과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평소 학습에서 사용하는 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도에 대한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