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여디자인

Search Result 60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Effect of Field-Based Participation Design on Agricultural Direct Sales Facilities: Process Change of Awareness on Participant (농특산물 직거래판매시설에 관한 현장중심의 참여디자인 효과: 참여자의 의식변화를 중심으로)

  • Seo, Aeeun;Hong, Jungpyo;Ha, Eunyoung;Chae, Hyes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1
    • /
    • pp.165-176
    • /
    • 2018
  • A demand for user's participation in the designing process, which is called the participation design, is increasing with social change. Practically,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in actual design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design effe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field-based participation design effect in view of user's change of awareness on participation design,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the change of awareness through a design workshop in which all stakeholders have participated on the subject of agricultural direct sales facilities as a part of participation design programs. Many references were reviewed first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 design principles and their current research trend. Next,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an effectiveness verification model for an effective analysis. A design workshop as one of the participation design programs was organized and applied for the field respons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the survey on participants' change of awareness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bout motivation, knowledge, recognition, function, and participation and asked the design study graduates. The participation design effect was supplemented by additional open questions. As a consequence, the participants in the participation design program showed the noticeable effect in knowledge and function about the agricultural direct sales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also highly satisfied with the participation design result and they recognized an importance of collaborati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a sufficient time schedule considering agricultural village life should be given for a smooth operation of the program and also a working environment is necessary for designing work.

A Study on the Design Case of Posters Based on Participation Design (참여디자인 방식을 기반으로 한 포스터디자인 사례 연구)

  • Kang, ji-yeong;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7-188
    • /
    • 2018
  • 본 연구는 참여디자인 방식을 기반으로 한 포스터디자인 사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기존의 포스터는 마무리된 작품을 통해 보는 이들에게 일방적으로 메시지만을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반면 참여디자인방식을 통해 열린 생산 시스템으로 변화되고 있는 포스터의 확대된 기능은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쉽고 빠르게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단기간에 새로운 가치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참여디자인기반의 포스터디자인이 변화된 디자인 환경과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봤을 때 기존 포스터디자인의 활용범위를 넓힌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참여 디자인을 기반으로 디자인된 포스터는 '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영향력이 있다. 이러한 포스터디자인의 새로운 가치를 활용해 현대의 사회적 이슈를 단기간에 해결하기 위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 PDF

A Study on Public Service Design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Focused on Participatory Public Service Design Group- (국민 참여를 통한 공공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디자인단을 중심으로-)

  • Baek, Su-Hyun;Kim, Sun-A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321-326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how to realize citizen participation for public service design development. Firstly, after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public service development process improvement,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design and citizen participation, the summary of how to realize citizen participation for public service design development centered on the Participatory Public Service Design Group. The study found that in order to realize citizen participation, the citizen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public service design development process, and it was important to adopt a citizen participation-oriented process and methodology based on service design.

Case Study: Children's Participatory Design associated with the Kindergarten (사례: 유아 교육 기관과 연계한 어린이의 참여적 디자인 방법)

  • Park, Hyun-Mi;Choi, Seung-Eok;Jin, Young-Gyu;Cho, Soo-Ho;Park, Sang-Hyun;Woo, Joo-Ky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46-251
    • /
    • 2006
  • 참여적 디자인은 사용자의 경험을 디자인 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자신이 디자인의 주체가 되어 자신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제안하고 반영하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는 만 3~5 세의 미취학 아동을 참여 디자인의 사용자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 연령대의 어린이는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정확히 전달하기 어려우므로 전통적인 참여적 디자인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사례를 통하여 실제 어린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참여적 디자인 방법을 소개한다. 실제 유치원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현직 유치원 교사가 전체 디자인 프로세스에 참여하였다.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검증하는 단계와 프로토타입의 파일럿 테스트 단계에서 어린이들이 직접 참여하였으며, 그들의 반응과 의견이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어린이 제품의 디자인을 위해 실제 어린이 교육 기관과 연계한 새로운 형태의 참여적 디자인 방법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사례를 보여준다.

  • PDF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ith Concept Generation Toolkits - A Case Study of Designing the Stroller and Its Renting System for Department Stores - (컨셉도출 툴킷을 활용한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 - 백화점 유모차 및 대여 시스템의 디자인 사례연구 -)

  • 성기원;신현경;강학화;남택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73-82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designing the stroller and its renting system for department stores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in particular the concept generation toolkits and the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s the concept generation toolkits to draw active user participation, a Velcro Covered stroller model and a Block Layout System were developed and used in a series of the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the users want and allows designers to avoid false expectation about the design context. It was also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design team with the users in the workshop was a good source of design ideation.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can become more effective by developing the concept generation toolkits which are more appropriate for design problems and the methods to smoothly transform the concepts from users into synthesized design solutions.

  • PDF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Design by Applying Infographics under Participation of Users (사용자가 참여하는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방재디자인 연구)

  • 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121-122
    • /
    • 2014
  • 본 연구는 방재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경감, 예방디자인 분야에서 재난을 예방하고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사용자가 참여하는 인포그래픽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더욱 인터랙티브해지고 파워풀한 인포그래픽이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 또한 다양화, 개성화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직관과 경험을 통한 과거의 설계방법만으로는 최선을 길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참여의 디자인 방법론이 요구된다. 참여디자인은 모든 구성원이 자기가 알고 있는 환경 부분을 만들어 가는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이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참여를 통한 인포그래픽은 디자이너들은 과거의 획일화된 해결책을 개혁할 수 있으며 참여문화를 번창시키고 우리를 둘러싼 인적재난을 막기 위한 창조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 PDF

Management Strategy for Bidding Intention on Web-based Auction -Empirical Study of Argentina (웹 기반경매 사이트에서 입찰경매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 연구 -아르헨티나 사례연구)

  • 김관영;박명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9-99
    • /
    • 2001
  • 웹기반 경매사이트는 전자상거래시장을 대표할 만한 높은 수익성을 올리고있는 인터넷비지니스 수익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온라인경매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경매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풍부한 정보의 양에 의존하여 전자상거래를 접하고 있다. 기존연구는 온라인 경매사이트의 제공자는 소비자의 입찰에 대한 태도와 참여 의도을 유인하기 위하여 온라인 경매 모델의 형태와 정보의 질에 집중하였던 것을 언급하고 있다. 온라인경매는 웹 인터페이스(Web Interface)를 활용하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요인은 온라인경매에서 매출액 신장과 입찰에 대한 태도와 입찰 참여 의도를 유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경매사이트의 매출액 증진을 위하여, 온라인경매에서 입찰 참여 의도와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 요인간의 관계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 요인과 소비자의 입찰 참여 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아르헨티나를 사례연구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 요인은 (1)사이트 구조측면과 (2)정보의 디자인 측면 그리고, (3)정보의 내용측면을 추출하였다.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요인과 소비자의 선호도 변수들과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진다. 소비자 선호도 변수는 (1)웹디자인의 유용성 인지도와 (2)정보의 유용성 인지도 그리고, (3)웹사이트의 용이성 인지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3가지 디자인요인에 해당하는 사이트의 구조측면과 정보의 디자인측면 그리고, 정보의 내용 측면은 모두 소비자의 입찰에 대한 태도와 입찰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이 입찰 참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결과로 제공하고 있다.

  • PDF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 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 Hue, Youn-Sun;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5
    • /
    • pp.1-11
    • /
    • 2010
  • The outdoor space of an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familiar and most educational area for children.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has demanded a new role and direction for these outdoor spaces. The construction of children-friendly spaces, however, lags behind. The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s very meaningful at a time when many outdoor spaces hav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varied and specific demands of children. This study realized the necessity for a design that includes a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n construction the outdoor space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reference study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related laws, this study established a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model and applied it to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The design process included playing games and providing interesting tool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suggesting and presenting their opinions more freely. The design process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five steps(eliciting interest in and recognition of the target space, Understanding children's expectations and the expressing thereof, Establishing factors for planning, Visualizing and arranging spaces, and Decision-making and building a final design plan). This process was appli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an outdoor space for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design of the participators and experts have a different purpose. Thus, the process of the design has more meaning than the final produc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n improvement in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designs will be seen. Using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his study successfully improved the facilities and arrangement planning of an outdoor space. At the same time, it also enhanced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kind of school they desi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suggested an effective model to reflect the demands of children, the true users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results we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outdoor planning and designing. This study enhanced the awareness of school members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school's outdoor spac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Space Design by User Participation Design (사용자 참여 설계에 의한 학교 공간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 Choi, Jin Si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0
    • /
    • pp.27-3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spatial restructuring by user participation design as one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and applying various requirements and specific ideas while communicating through the user participation process targeting Y Elementary School in Busa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pace design was pursued in various ways, away from the uniform educational space of grades 1-6.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pace design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level,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built-in cabinet for each person to secure a personal space. For a space created by innovation, It can be seen that for a space created by innovation, it is essential to design based on the user participation of various people who use the space.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 Design Supporting System for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주민참여를 위한 환경디자인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eo, Wook-Hyun;Kim, Mi-Yun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12 no.2
    • /
    • pp.25-32
    • /
    • 2012
  • 환경디자인은 건축, 도시, 조경 등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 및 대상 지역 거주하는 일반시민 등 많은 참여자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협조설계 단계에서는, 시행착오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디자인 초기단계에서부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계획에 관해서 협의하여 디자인 내용을 변경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대상지 지역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으며 계획 후 이 지역에 살게 될 주민들의 참여도 환경디자인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 또는 비전문가들이 서로 커뮤니케이션하고 협조하기 위해서는 누구나가 쉽게 디자인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빠른 구축속도, 대화형 기능, 빠른 표현속도, 사실적인 표현기술 등이 필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디자인 분야의 전 분야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디자인 안을 검토할 수 있는 3D CG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 시스템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시켜서 활용하면서 개발된 시스템의 기능강화를 추진하며, 실제 프로젝트 적용을 통한 시스템의 평가를 진행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증명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한다.